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lla’s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World Order as Seen through Diplomatic Documents

        Heejoon Choi(최희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4 No.2

        본 논문은 신라가 주변국과 주고받았던 외교문서의 형식을 분석하여 7~10세기 동아시아의 외교 시스템 속에서 신라가 갖고 있었던 국제질서 인식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도모한 결과물이다. 신라국왕은 당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에서 스스로 당황제의 蕃臣으로 규정하였고, 당황제 또한 신라국왕을 자신의 번신으로 관계설정하고 있었다. 신라는 당의 번국이라는 지위를 기본으로 삼아 자신을 포함한 당 주변의 국가들에 대해서는 당의 번국으로 인식하여 관계설정하였다. 한편, 기록에 따라서는 신라국왕이 주변국의 군주를 책봉하거나 그로부터 조공을 받는 등 종주국의 지위에서 종속관계를 맺는 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이는 당황제의 번신이라는 지위를 표방했던 신라국왕이 취했던 또 하나의 예적 지위로, 전근대 중화사상의 자장 속에서 전개되었던 동아시아사의 보편적 현상 중 하나로 이해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ward structural understanding about Silla"s recogni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under the Sinocentric diplomacy system in East Asia from the seventh to tenth century through analyzing diplomatic documents. It proved that the Silla king regulated himself as the Tang Emperor’s vassal servant in their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Tang Emperor also reciprocated by establishing relations with the Silla King as his own vassal. Taking itself as the Tang’s vassal servant, Silla would also recognize Tang’s neighboring countries as vassal states (with itself included) and established relationships with them accordingly. Because of this, Silla would also utilize conventions showing that it considered itself on an equal position with Japan in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m and treated them as a neighboring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confirm that the king of Silla installed the monarchs of neighboring countries, thereby receiving tributary from them and from the position of a suzerain state, maintained the appearance of the venerable relationship. This can be understood as another formal position the king of Silla chose, who claimed to be a vassal of the Tang emperor.

      • KCI등재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 시점 재고 - 「旅遊唐城贈先王樂官」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희준(Choi, Heejoon)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3

        본 논문은 최치원이 신라로 귀국한 후 국왕의 명을 받고 사신으로 다시 당에 건너갔던 시점을 구체적으로 밝힐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관련사료의 미비로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 시점은 구체적으로 전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학계에서는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주장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 시점에 대한 기존의 주장들을 대별하고, 각각의 주장을 비판적인 입장에서 재검토하였다. 그리고 최치원이 사행 과정에서 작성했던 漢詩「旅遊唐城贈先王樂官」을 그의 재입당 시점에 대한 분석과 논증의 중요한 사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은 효공왕 즉위 초에 해당하는 898년에서 900년 10월 사이의 어느 시점에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clarify the timing when Choe Chiwon re-entered the Tang Dynasty as an envoy at the command of the king of Silla.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f when he re-entered Tang, so the exact time is not known. For this reason, historians have made various claims about it. In this paper, I classified the previous arguments and reviewed them from a critical standpoint. Then, what this paper found and analyzed chinese poem written by Choe Chiwon on his way to Tang as an envoy, and used it as the logical basis for argument about the re-entry timing of Ta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hoe Chiwon"s re-entry took place between 898 and October 900, which corresponds to the early reign of King Hyogong of Silla.

      • KCI등재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羅唐關係

        최희준(HeeJoon Choi)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7 No.-

        본 논문은 신라의‘党項城’에 대해서 기존연구들이 가지고 있던개략적인 이해를 비판하면서, 그 구체적인 연혁을사료에입각하여새롭게밝혀보고자한 결과물이다. 党項城은신라의對唐교류에있어교두보이자관문과같은역할을담당한城이다. 본래신라는당항성을“唐으로 가는 길목의 城”이라는 의미로 ‘唐項城’이라 한자 표기하고, 治所로 삼아남양 지역 일대를唐城郡으로편제하였다. 여기서唐城郡의‘唐城’은‘唐項城’에서‘項’자를생략한뒤郡의명칭으로 삼은 것이다.이후 신라는 善德王2년(633)에 ‘唐項城’의 한자 표기를 ‘党項城’으로 수정하였다. ‘党項’이란隋•唐代중국의 서쪽 변경에서 활동하던 이민족, 탕구트(党項, Tangut)를 가리키는 특수한단어였는데, 신라가이를 對唐교류의 관문성명칭으로차용했던것이다. 여기에는전해(632)에 있었던 당 태종의 탕구트 복속과 서쪽으로의 당 영토 확장을 축하하는 의미뿐만 아니라,당 태종이 탕구트에 대해 펼친 위무책으로 인해 서방 진출의 중요한 발판을 확보할 수 있었던사실을환기시키고, 이에견주어선덕왕에대한책봉을긍정적으로재검토하게끔만들명분을 제시하고자한계산까지도담겨있었다. 이는새롭게왕위에오른善德王이여왕의왕위계승문제를 두고 불거진 정통성과 정당성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꺼내든 여러 외교적 카드 중하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이후党項城은7세기삼국통일전쟁과정에서도지속적으로對唐통교의관문으로서핵심적인 역할을수행하였다. 그러다가삼국통일전쟁이종결되자신라는 神文王代전국적으로지방행정구역의 정비를 단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당항성에 위치해 있던 唐城郡의 治所가 평지로이전되게 되었다. 이에 党項城이 지니고 있던 郡治로서의 지위와 對唐관문으로서의 역할은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 Sill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党項城) w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and bridgeheadof diplomat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illa and Tang. Originally, the name of the castle hadbeen written as Tanghang Castle(Tanghang sŏng ; 唐項城). in Chinese characters, meaning a “castleon the road to Tang.” Silla organized Namyang region into Tangsŏng county(唐城郡), with TanghangCastle as the capital city of the county. The name of the county, Tangsŏng(唐城), came from theTanghang Castle, omitting the word “hang(項)” from Tanghang Castle(唐項城).Later, Silla changed Chinese characters of the name from Tanghang sŏng(唐項城) to Tanghangsŏng(党項城) in the second year of King Sŏndŏk(善德王). The new Chinese characters for the castle,Tanghang(党項), referred to Tangut(党項), an ethnic group in the west frontier of the Tang Dynasty.Silla’s intention to change the name was to congratulate the Emperor of Tang on Tangut’s submissionto his rule. It was a desperate diplomatic measure of King Sŏndŏk, who was embroiled in controversyabout her legitimacy of succession because of her gender; the king attempted to conciliate EmperorTaizong(太宗), who had boycotted installation of King Sŏndŏk, and ultimately pacify the oppositionin the political sphere of Silla.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cation war in the 7th century, Tanghang Castle consistently playeda critical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from Silla. Yet after the end of the war, Silla reorganizedthe system of regional governments on a nationwide scale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神文王).In this process, the capital city of Tangsŏng county transferred to flatland, and evidently TanghangCastle lost its status as a capital city, and role as a gateway to the Tang Dynasty.

      • KCI등재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최희준 ( Heejoon Choi ),이정아 ( Junga Lee ),손희정 ( Heejung Sohn ),조동길 ( Donggil Cho ),송영근 ( Youngkeun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 (TCA)이 1,61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 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with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and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reen patches, thereby introducing urban garden for generating green networks in residence areas. To this end, Yeoksam-Dong was selected as the site area since it is classified as both green initiative zone and alienated area of park service in Seoul.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green spaces in Yeoksam-Dong was identified by five categories: Street trees,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rooftop garden, and park. Then, the landscape index analysis through FRAGSTATS and connectivity assessment via multi-buffer zone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green network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value of green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green areas in the site were distribu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street tree,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park, and rooftop garden. In case of the street trees whose total core area (TCA, 1,618㎡) is as high as the park`s (1,128㎡). Private garden has potential for green network 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by gardening since the shape of the patches are irregular (ED = 78.1m/㏊)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tches is close (ENN=33.9m). Public pocket garden has also potential for garden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evenly (LPI=5.7%, SHEI=0.9) with exposing external disturbance (TCA = 66㎡). For the green network, 84% of all the study site is covered by small green network in 50m butter range of connected green area. The effect of green network was expected through gardening in public pocket garden (27%) and street tree (26%). Accordingly, it is encouraged to actively utilize street tree, private gardens, and rooftop gardens and to establish the urban gardens like local-based community gardens in public pocket garden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near residential areas. By doing so, green networks can effectively be established in built up area with high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fostering the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urban garden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