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second language motivation of Chinese undergraduates in Chinese-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 context

        Duan, Huali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Chinese-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s (CFCRS) as a new form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China has far-reaching significance and aroused the widespread concern of the researchers. In such a learning context, second language (L2)—especially English, plays an important role. L2 learning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has alway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determinants of L2 achievement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field. A new theory frame was put forward by Dörnyei in 2005—L2 Motivational Self System (L2MSS), which consists of ideal L2 self, ought-to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 providing a new and comprehensive theoretical support for L2 motiv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2 learning motivation of Chinese undergraduates in CFCRS context based on L2MSS theor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and involved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A total of 426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82 students were studying in CFCRS context, and 244 were non-CFCRS students. The results in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CFCRS students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English than the non-CFCRS students, and they had a significantly stronger ideal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 than the non-CFCRS students. Moreover, the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ubstantial contributions from the L2MSS of students to their learning effort of English. For both CFCRS and non-CFCRS students, ideal L2 self explained the most variance in students’ intended effort, followed by L2 learning experience, with the ought-to L2 self has only a moderate impact. Fin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nstructors were put forward to stimulate the enthusiasm of students to learn English.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L2MSS in the CFCRS and non-CFCRS context. 중국에서 고등교육 국제화의 핵심적인 정책 중에 한 가지로서 중외합작판학(中外合作辦學)은 연구자들의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대부분 중외합작판학은 영어로 강의를 하기 때문에 제2 언어 중에서 특히 영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제2 언어 학습 동기는 제2 언어 습득 분야에서 제2 언어 성취의 주요 결정 요인 중 하나로 항상 간주되어 왔다. 2005년 Dörnyei에 의해 새로운 이론 프레임이 제시되었다. 이상적 제2 언어 자아(ideal L2 self), 필연적 제2 언어 자아(ought-to L2 self) 및 제2 언어 학습 경험(L2 learning experience)으로 구성된 제2 언어 동기 자아 체계(L2MSS)는 제2 언어 동기 연구에 대한 새롭고 포괄적인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Dörnyei의 제2 언어 동기 자아 체계(L2MSS) 이론의 3가지 핵심 요소를 이론적 분석 틀로 사용하여 중외합작판학 및 비 중외합작판학에서 중국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의도적 노력 즉, 학습 행위 간의 관계를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양적 연구방법으로, 총 426명의 학생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에서 182명의 학생은 중외합작판학 학생이고 244명의 학생은 비 중외합작판학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외합작판학 학생은 비 중외합작판학 학생보다 영어를 배우려는 의욕이 더 강하고, 그들은 비 중외합작판학 학생들보다 더 강한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와 제2 언어 학습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학생들의 제2 언어 동기 자아 체계는 그들의 영어 학습의 노력 투자에 대해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관련이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외합작판학 학생과 비 중외합작판학 학생 모두는 이상적 제2 언어 자아가 영어 학습에 대한 의도적 노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제2 언어 학습 경험, 필연적 제2 언어 자아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열정을 자극하기 위해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외합작판학 학생들은 비 중외합작판학 학생들보다 더 강한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와 제2 언어 학습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외합작판학 맥락에서 교사들은 동기식 전략의 사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상적 제2 언어 자아와 제2 언어 학습 경험이 학생들의 의도적 학습 노력을 자극하는 주요 동기로 작용하므로 교사가 교육 전략을 사용할 때 학생들의 이상적인 제2 언어 자아와 제2 언어 학습 경험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프란츠리스트(Franz Liszt)의 연가곡 《페트라르카의 3개의소네트》 (Tre Sonetti di Petrarca)에 관한 분석 연구

        DUAN YU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359

        본 논문은 시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의 서 정시《칸초니에레》(Canzoniere)중 세 편의 시를 바탕으로 만든 프란츠 리스트 (Franz Liszt, 1811-1886)의 가곡집《페트라르카의 3개의 소네트》(Tre Sonetti del Petrarca)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14세기 그리스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 자 페트라르카의 서정시와 19세기 음악사를 대표하는 리스트의 낭만주의 음악을 탐구함으로써 이 작품의 가곡 특징과 창작기법을 깊이 이해한다. 그 다음으로 분 석을 통해《페트라르카의 3개의 소네트》의 의미와 영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19세기 헝가리 낭만주의 음악가인 프란츠 리스트는 피아니스트, 지휘자, 편곡가, 교육자이자 교향시의 창시자이다. 그의 다양한 음악적 시도와 그의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성향으로 인해 이후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 향을 끼쳤다. 리스트의 음악 작품은 낭만주의 색채와 감정이 매우 풍부하 였고 당대 사람들의 사랑과 추앙을 받았으며 지금까지도 여전히 널리 연주 되고 있다. 《페트라르카의 3개의 소네트》는 리스트의 독특한 음악 특색을 가진 작 품으로, 시와 음악, 피아노를 결합해 표현력이 풍부한 선율과 화음, 화려한 피아노 반주, 이탈리아 오페라의 연극적 요소를 작품에 사용했으며, 리스트 초기 가곡 작품의 드라마틱하고 독창적인 특징을 잘 풀어냈다. 본 논문은 리스트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시인 페트라르카와 그의 시집 《칸초니에레》를 세부적으로 연구한다. 그 다음으로 리스트의《페트라르 카의 3개의 소네트》중 세 곡의 가사, 멜로디, 화음, 반주와 초판과 바리톤 버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세 작품 사이의 음악적 특징과 연관성을 제시한 다.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리스트의 작곡기법과 음악과 시의 조화 로운 결함과 더불어 그의 가곡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앞으로 이 곡을 연주하는 많은 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 다.

      •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Parasocial Interactions and Self-Authenticity in the Relation between Self-Monitoring Factors and Luxury Consumption

        DUAN XIAOWE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359

        The self-related motives rooted in individuals’ luxury consumption experience yet still remain empirically unexplored, albeit with a dramatic growth of luxury consumption over the last decade, especially in some emerging luxury markets. Empirical evidence from relevant literatures have predicted the pivotal role of a perceived sense of authentic self in shaping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terms of luxury consumption. Seen in this light, grounded in a parasocial interaction theory, the current study develops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exploring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s and self-authenticity on the link between individuals’ distinctive behavioral tendencies (i.e., high vs. low self-monitoring factors) and their purchase intentions for luxury good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this study verifies the established hypotheses and the multiple mediation model. The three-pathway mediation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s and self-authenticity are found in three sub-models (i.e., susceptibility to normative influence, attitude homophily, and value congruence), expect for the peer pressure model. Moreover, as expected, the results significantly support the most proposed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Nevertheless, the association between peer pressure and parasocial interactions and the linkage between peer pressure and self-authenticity are not confirmed. Instead of the negative relatio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sceptibility to normative influence and self-authenticity is demonstrated in this study. At last, conceivab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further discussed.

      • H. Berlioz의 연가곡 「Les nuits d'été, op.7」분석 연구 -악곡 분석을 통한 문학과 음악의 융합 예술에 관한 분석 연구-

        DUAN YUANYUAN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359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1869)는「환상교향곡」(Symphonie Fantasique, Op.14)으로 대표적인 표제교향곡의 창시자이자 낭만주의 프랑스의 예술가곡을 멜로디(Mélodie)로 새롭게 구축한 작곡가이다. 본 논문은 베를리오즈의 연가곡 「여름밤 (Les nuits d'été)」 op.7의 악곡 분석을 통한 문학과 음악의 융합예술에 관한 분석 연구를 하였다. 연가곡「여름밤」은 프랑스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유명한 테오필 고티에의 시집 「죽음의 희극」(La Comédie de la Mort) 가운데 베를리오즈가 여섯 편을 직접 선정하여 작곡한 가곡 모음집으로 프랑스의 예술가곡 멜로디(Mélodie)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힌다. 베를리오즈가 시의 구조를 존중하며 그 내용을 최대한으로 반영하였으므로, 그의 음악은 시어에 함축된 의미와 행간에 숨겨진 내용을 청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름밤」작품분석을 통해 그가 작품에 사용한 음악적 요소들에서 그가 시 속의 서사와 정서, 감정 등을 독자적으로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여름밤」에서 문학과 음악이 결합한 방식을 파악하고자, 먼저 19세기 낭만주의의 시대적 배경과 독일의 예술가곡, 프랑스의 예술가곡을 고찰하였고, 독일과 프랑스의 예술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였으며 베를리오즈의 「여름밤」이 창작된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베를리오즈의 생애와 그의 교향곡 및 성악작품들을 분류하여 작품 경향을 고찰해보고, 연가곡 「여름밤」의 여섯 개의 가곡이 지닌 형식과 선율의 구조, 화성, 그리고 피아노 반주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시와 음악이 맺고 있는 밀접한 관계의 방식을 파악하며, 베를리오즈가 시를 청각화하기 위해 성악과 기악의 다양한 기법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름밤」의 각 악곡들은 각각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으나 그 이야기는 감정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사랑을 함의하고 있는 서정시를 가사로 하여 대체로 대화체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위의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베를리오즈는 이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피아노 반주에서 시 속의 배경이 되는 풍경보다는 시에 담긴 감정과 정서를 뒷받침하여 훨씬 입체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데에 집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악 선율에는 화자의 감정에 따른 어조가 실감 나게 표현되었으며 이를 위하여는 셈여림과 지시어뿐만 아니라 특정 선율 패턴이 사용된 것이 특징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의 면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연가곡 「여름밤(Les nuits d'été)」의 곡 전체 음악구조와 문학 및 음악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속적으로 프랑스 예술가곡에 대한 더욱 심도 깊은 연구가 있게 되고, 음악 요소에 담긴 문학적 의미와 화성을 정확히 이해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풍부한 연주를 할 수 있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엑토르 베를리오즈, 19세기 낭만주의, 프랑스 예술가곡, 테오필 고티에, 표제음악, 표제교향곡.

      • 틱톡(TikTok) 관광 콘텐츠 품질이 목적지 친숙도, 목적지 이미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윈난성을 중심으로

        Duan, Xiaomi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트렌드도 함께 변화했다. 각 트렌드의 최전선에서 수많은 관광 마케팅 캠페인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중국에서 틱톡(TikTok)은 소셜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트먼트, 그리고 관광 마케팅의 영역까지 다양한 문화 서비스의 분야에서 종횡무진하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틱톡(TikTok)은 유사한 스타일의 콘텐츠를 모아 시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틱톡(TikTok) 서비스를 길게 사용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관광 마케팅 캠페인에도 거듭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유로 현재 틱톡(TikTok)은 다양하고 독특한 방식으로 관광지 마케팅 활용 수단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틱톡(TikTok)에서 관광 콘텐츠 품질의 구성요인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고, 목적지 친숙도, 목적지 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상에서 틱톡(TikTok)의 관한 이론, 윈난성의 관한 이론, 관광 콘텐츠 품질에 관한 이론과 관광 목적지 친숙도에 관한 이론, 관광 목적지 이미지 인식 및 형성에 관한 이론, 관광 방문의도에 관한 이론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틀을 마련하였으며, 인터넷을 통해 틱톡(TikTok)에서 윈난성 관광 콘텐츠를 접한 적인 이용자를 연구대상으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관광 콘텐츠의 내재적 품질의 독창성, 생생함, 외재적 품질의 사용 편리성, 상황적 품질의 적합성, 적시성 및 목적지 친숙도, 목적지 이미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고 내재적 품질의 정확성, 외재적 품질의 접근성, 상황적 품질의 가치 제공성이 미치지 않다는 결과가 노출되었다. 사용자들은 저작권 이슈와 관계없이 편하게 직접 관광 콘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 있으며 관광 콘텐츠의 품질이 중요한 영향요인이 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틱톡(TikTok)의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 마케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소비가치가 미치는 영향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의 조절효과

        Duan, Ya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Home furnishing is one of the markets tha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consumers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home furnishing accessories that provide everyday enjoyment but do not represent a significant economical burden get a good response among consumers. As the leisure culture is spreading along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relaxing and resting functionality and the personalization of the home spac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Contemporary consumers who dream of a life differentiated from others have begun to pursue aesthetic value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demand for such added value has caused fashion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designing the home space to one’s own style have become a tren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s changed consumers' consumption values ​​and patterns. As consumers show their homes to the outside world through SNS, houses become a social space that must be decorate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home furnishing and to shed additional light on the social aspect of the once private backdrop of our daily life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consumption that is shared on SNS. Considering these problem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ims at three main contributions. First,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purchases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by domestic consumers and find out th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Second, to find out how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change with respect to the intention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s according to the use of SNS. Third, to find whether different consumption values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and wether the moderation effect of S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varies in different consumption situations. A study conducted on 380 male and female adults on their 20s to 40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n this thesis.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was 3.38 points, showing a slight positive effect. In addition, consumers are only willing to spend a modest amount of money on home furnishing accessories. Second, the aesthetic, the self-expression and the other-oriented values a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Especially, the aesthetic value emerge as the strongest influence. Thus, rather than the price and function, consumers prefer to pursue aesthetics, the expression of their taste and the recognition of others through the consump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Third, it is proved that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situation. The aesthetic value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across different situations. In the case of the specific situations such as moving, marriage and the substitution of existing object due to poor condition, the other-oriented valu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contrast, the self-expression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non-specific situations. By purchasing home furnishing accessories, consumers in specific situation are more other-oriented as they seek to brandish their social condition and gain recognition from others. In contrast, consumers in non-specific situations are more self–oriented, focusing on achieving one's own images and characteristics. Fourth, the variation of the moderation effect of SN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proved. In the case of specific situations, the higher the degree of SNS usage, the bigger the positive effect of the hedonic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people who make and share contents positively on SNS have an intention to purchase home furnishing accessories with strong hedonic and amusing nature that can be shared on S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specific situations, with a high degree of SNS usage, the price-oriented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is means that because consumers in non-specific situations intent is driven by the self-oriented value, as opposed to the other-oriented value, the more positive usage of SNS in searching consumption related information results in a more likely pursue of economic value in the purchase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Fifth, the variation of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N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valu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proved. In the case of specific situations,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expression on SNS, the bigger the positive effect of the other-oriented value and the smaller the positive effect of aesthetic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al, with a high degree of self-expression on SNS, the hedonic value has a positive effect and the price-oriented valu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self-expression on SNS, the living space has a social function as a display to others. As the study has suggested, with a higher visibility of the product, consumers put more emphasis on the social and symbolic value rather than the functional and economic valu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home furnishing accessories in non-specific situations. 홈퍼니싱은 근래에 소비자에게 주목받고 있는 시장 중 하나이다. 특히 경제적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한도 내에서 일상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홈퍼니싱 소품은 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경제 성장과 더불어 여가 문화가 확산되면서 집이라는 공간에서 누리는 휴식이 중요해지고, 그에 따라 자신의 취향대로 꾸미는 것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타인과 차별화된 삶을 꿈꾸는 현대 소비자들은 패션을 넘어서 주거공간에서도 미적인 가치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 같은 소비자의 부가 가치에 대한 요구에 따라 주거공간의 패션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집이라는 공간을 자신의 취향대로 디자인하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발달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SNS를 통해 자신의 집을 외부에 공개할 수 있게 되면서 집도 꾸며야 할 사회적 공간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일상이 SNS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게시되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가 공유되고 있기에, 홈퍼니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 다른 깊이를 제시할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홈퍼니싱 소품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홈퍼니싱 소품 소비의 현황 및 구매의도를 파악하며 홈퍼니싱 소품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가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SNS 사용에 따라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소비가치가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소비 행동에 차이가 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착안하여 소비상황에 따라 홈퍼니싱 소품 소비에서 추구하는 소비가치의 차이가 있는지, 또 SNS 사용이 소비가치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에서 40대의 성인 남녀 380명의 조사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주요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 수준의 전체 평균은 3.38 점으로 약간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큰 비용 지출보다는 적은 금액의 소품을 선호하는 상황이었다. 둘째,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 소비가치 요인 중 심미지향가치, 자기표현가치와 타인지향가치가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그 중 심미지향가치가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퍼니싱 소품에 대해 소비자는 상품의 가격, 기능 등의 특성보다 심미성을 우선적으로 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가 홈퍼니싱 소비를 통하여 자신의 미적 감각과 취향을 표현하고 타인의 인정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소비가치 요인이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상황과 관계없이 심미지향가치는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지향가치 외에 이사·결혼·기존 제품 고장이나 변형 등 대체품을 필요로 하는 특정 상황의 경우, 타인지향가치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그러한 상황 아닌 경우, 자기표현지향가치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특정 상황 집단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등의 타인에 의한 영향을 받아 과시하고 싶은 성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홈퍼니싱 소품 소비에서 비 특정 상황 집단은 자기의 이미지와 개성을 표현하는 등 자기지향적이고 자기만족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넷째, 상황에 따른 소비가치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SNS 사용이 가지는 조절효과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특정 상황의 경우, SNS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쾌락지향가치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인 정보공유와 콘텐츠 포스팅하기 위하여 시선을 끌 수 있는 쾌락적이고 유희성이 강한 홈퍼니싱 소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가지게 됨을 시사한다. 반면 특정 상황 아닌 경우, SNS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저가지향가치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 특정 상황에서 홈퍼니싱 소품 소비가 자기지향적인 성격을 띄는 것과 같은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다. 다섯째, 상황에 따른 소비가치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SNS상 자기표현의 조절효과에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정 상황의 경우, 타인지향가치는 SNS상 자기표현이 강하면 강할수록,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미지향가치의 긍정적인 영향은 약화되었다. 또한 SNS상 자기표현이 강할수록, 홈퍼니싱 소품의 구매의도에 쾌락지향가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저가지향가치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NS상 자기표현을 통하여 ‘집’이라는 공간이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이 부과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들이 제품의 가시성이 높을수록 기능적·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상징적 가치를 더 추구한다는 주장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특정 상황 아닌 경우, 소비가치와 홈퍼니싱 소품 구매의도 관계에서 SNS상 자기표현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 저전압 고정밍 밴드갭 기준 회로

        Duan, Quanzhen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359

        This dissertation presents low-voltage, low-power and high-precision bandgap reference (BGR) circuits for portable and mobile devices. In this dissertation, the principle of BGR circuits has been explained in detail. Traditional BGR circuits using normal-supply voltage and low-supply voltage also have been introduced. In addition, several traditional high-accuracy compensation techniques have been summarized. Then, a novel high-order high-precision compensation technique is proposed, and the proposed BGR circuit is implemented by using a standard 0.13-μm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technology.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significance of compensation technique in conventional circuit, and proposes a simple and efficient curvature-up technique to achieve a low-power efficiency and high precision. The proposed BGR circuit without any trimming circuits achieves a temperature coefficient (TC) of as low as 4.2 ppm/◦C with a wide temperature range from −40 to 120 ◦C at a power supply voltage of 1.2 V. For 8 random samples, the average TC is approximately 9.3 ppm/◦C, which is the best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published results. The total current is 120 μA for this BGR circuit at the room temperature. A measured power-supply rejection ratio (PSRR) of −30 dB is achieved at a frequency range from 100 Hz to 100 kHz. The total chip size is approximately 0.063 mm^2 in a standard 0.13-μm CMOS process.

      • Half life extention study on nematocide fungi, esteya vermicola

        Duan, Bei-Bei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7359

        E. vermicola lunate 포자를 생산하는 새로운 방법이 여기에서 연구되었다. 액체 E. vermicola 시드를 쌀과 PDB를 포함한 고체 배지(1:1)에 분주하였다. 26℃ 에서 4 일간 배양. 이 방법을 통해 많은 양의 Lunate 포자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장에서 대량 생산의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E. vermicola 의 저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 물질도 여기에서 연구했습니다. 원추 저장고를 위해 5개의 물질인 Sorbitol (5%), Glycerol(20%,PEG4000 (20%), Tween20 (1%), DMSO (1 %)이 사용되었습니다. E. vermicol blasto 포자와 lunate 포자를 WA에 배양한 후 1, 3, 7, 14, 28, 50일에 blasto 포자와 lunate 포자 발아율을 비교했다. 소르비톨 (5 %)은 Blasto 포자 및 Lunate 포자의 수명을 0 일에서 50 일까지 연장시키는 최상의 저장 물질입니다. Blasto 포자와 Lunate 포자를 비교하면, Blast 포자의 발아율은 Lunate 포자보다 우수하다. 글리세롤 (20 %)은 1 주일 내에 Blasto 포자와 Lunate 포자를 발아하는데 좋습니다. E. vermicola 포자가 소나무 재선충류를 죽이고 큰 소나무에서 자랄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먼저 E. vermicola를 큰 소나무(No.1)에 주입하고, 20일 후에 소나무 재선충을 같은 소나무(No.1)에 접종을 하였다. 각각 다른 기간에 선충의 수를 확인하였을 때, 선충의 수가 감소하고 마침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나무 내부에 E. vermicola가 존재하는 것을 PC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E. vermicola가 소나무 재선충 병을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이는 장래에 여러 사람들이 소나무 재선충 병을 방제하기 위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될 것입니다. A new method to produce the E. vermicola lunate spores was studied here. Liquid E. vermicola conidia seed were poured into the solid medium including rice and PDB (1:1). Cultured at 26℃ for 4 days. Through this method, it can produce a great amount of lunate spores. It provides a possibility for factory production. To serve the storage of E. vermicola, storage agents were also studied here. Five agents for the conidial store were used, such as sorbitol (5%), glycerol (20%), PEG4000 (20%), tween20 (1%), DMSO (1%). After storing 1d; 3d; 7d; 14d; 28d; 50d, inoculated the E. vermicola blasto spores and lunate spores into the WA, compared the blasto spores and lunate spores germination rates. The sorbitol (5%) is the best storage agent to extend the life of blasto spores and lunate spores from 0 day to 50 days. Compared the blasto spores and lunate spores, the germination rates of blasto spores are better than the lunate spores. The glycerol (20%) is both good for blasto spores and lunate spores within one week. To further proved that the E. vermicola conidia can kill the pine wood nematodes and grow inside of big pine trees, the research was studied in Jeju Island of the South Korea. The E. vermicola conidia were injected into the big pine tree first, after 20 days, inoculated the pine wood nematodes into the pine tree No.1. Checked the nematode numbers at different time, nematode numbers were gradually decreased and finally disappeared. Also used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to check and the E. vermicola can exist inside of the pine tree. By this, it can make more people to accept the E. vermicola. So the E. vernicola, as an biological control can control the pine wilt disease and used for the big areas in the fields in the future.

      •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해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재의 예시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DUAN, LIA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59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오해가 많이 생길 수 있다. 특히 교과서에서 제시한 대화문을 학습할 때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자기 나라의 표현 방식과 상이할 때 오해가 더 많이 생기고 이러한 오해로 인해 실제 한국어 의사소통할 때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수집하여 오해 원인을 분석하고 화용적 오해 양상을 줄이는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비교문화와 화용론 두 가지의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아직 이루지 못한 한계점을 밝혀내 본 연구의 방향과 연구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교과서에 관한 비판, 비교문화 화용론적 관점에서 교재 대화문 분석의 중요성, 화용적 실패 원인에 대한 분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 교과서에서 화용 문화와 맥락에 따른 담화 구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둘째, 비교문화 화용론의 정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화용적 오해와 화용적 실패의 차이와 공통점, 교재에서 제시한 대화문이 실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할 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하여 교재 대화문 분석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셋째, 선행연구의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본고의 분류 기준을 세워 화용적 실패 원인을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5개 대학교에서 출판된 고급 한국어 교과서를 선정하여 교과서에서 제시한 대화문을 분석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선정하였다. 선정은 크게 연구자의 주관 선정과 연구자 외에 2명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검토를 통했다. 먼저 일차적으로 연구자의 주관 판단을 통하여 오해할 수 있는 대화문을 3가지로 나눴다. 그 다음에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 외에 2명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화문을 학습할 때 오해 정도에 따라 4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오해하기 쉬운 대화문을 선정한 후 필요성과 중요성을 고려하고여‘매우 높다’와‘높다’2가지 등급으로 나누었다. 선정된 모든 사례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10가지의 화용적 실패 원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10가지 화용적 실패 원인은 선행연구와 겹치는 부분도 있고 겹치지 않은 부분도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크게 선행연구와 겹친 화용적 실패 원인과 겹치지 않은 실패 원인 유형을 나눠서 각각 해당된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교재에서 제시한 대화문에서 어떤 화용적 오해가 많이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용적 오해 양상을 줄이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화용적 오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 방안을 제시할 때 한‧중의 문화적, 언어적 차이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오해 사례를 사용하여 언어‧문화 통합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언어적 측면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는 한국어 교사의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명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측면에서 언어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들은 상황 맥락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맥락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게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재에서 제시된 대화문을 학습할 때 쉽게 오해할 수 있는 오해 사례를 선정하여 비교문화 화용론 관점에서 오해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오해하는 대화문을 분류하는 데에 각 유형 간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본다. Due t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and linguistic, foreigners often experience many misunderstandings when learning Korean. In particular, when learning about dialogues in textbooks, there will be more misunderstandings when the explanations are not sufficient or the expressions are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their own country, and because of such misunderstandings, they will encounter a lot of difficulties in actually communicating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collects dialogues that are more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alyzes their reasons, and prepares a plan that can reduce the situation of pramatic misunderstanding. Firstly, the Chapter I show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paper conducts the leading research from the two aspects of comparative culture and language application ability. It points out the defects of the leading study, thus expounding the direction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The Chapter II observes the three aspects that is the critique of Korean textbooks,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dialogues i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First, it points out and criticizes the scarce part of conversation conversations based on the culture and context of language use in the Korean textbooks. Second, it clearly grasps the definition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common grounds of pramatic misunderstanding and failure of language use, and discusses what impact the dialogues presented in the textbook have on the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the dialogue analysis of the textbook. Third, this article refers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leading research, and sets up a classification benchmark of this paper to classify the failure causes of the language use. In Chapter 3, the paper selects advance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analyze the dialogues presented on the textbooks and select some dialogues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asily misunderstood. The methods of selec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ers’ supervisor and the other is based on a review of two Chinese senior learners except for the researchers to re-select dialogues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asily misunderstand. Firs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researchers, it divides the easily misunderstood dialogues into three levels. Later, in order to improve objectivity, the degree of misunderstanding of two senior Korean learners except for the researchers according to learn dialogues were divided into four levels. After selecting the misunderstood dialogues, the paper divides it into two grades of “very high” and “high” according to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Analyze all selected cases and finally classify them into 10 types of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Through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10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classified of the paper have some overlapping parts with the leading research and there are also non-overlapping parts. This paper takes examples on overlapping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and non-overlapping failure causes of language use with the leading research then analyzes them. Through this analysis, it is to grasp how difficult the Chinese Korean learners experience, and can also analyze which the misunderstandings of language use in the dialogues suggested by the textbooks will appear multiple times. In chapter IV, the paper uses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III as the background, in order to reduce the misunderstanding situations of language use, prepares an education program for Chinese Korean learners. First of all, in order to reduce the misunderstanding of language use due to the differences of cultural and linguistic, the article puts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that reinforces the cognitio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and language differences in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It also uses misunderstanding cases to reveal a close approach to language and cultur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because Chinese Korean learners need explanations of Korean teachers that are in line with their requirements, the article proposes explanation solutions. From the view of cultural, for the parts that only using language are hard to explain, it provides an education program to enable learners to flexibly use the context of situation to grasp meaning. This study takes Chinese Korean learners as the object and selects the examples that were easily misunderstood in the course of learning the dialogu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analyzes the reasons of mis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oss-cultural pragmatic theory.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for this is very meaningful. However, when classifying easily misunderstood dialogues, the boundaries between various types are not very clear and have become the constraint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