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월동하는 캐나다기러기(Branta hutchinsii) 아종의 분포 및 도래 현황

        박종길(Jong-Gil Park),진경순(Kyoung-Soon Jin),박창욱(Chang-uk Park),남동하(Dong-Ha Nam)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캐나다기러기류(White-cheeked Goose, Branta canadensis와 B. hutchinsii)는 형태적인 유사성 때문에 종 또는 아종 구별이 어려워 정확한 도래 실태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7년 동안의 사진자료와 관찰기록을 통해 국내에 도래하는 캐나다기러기의 분포와 아종 현황을 분석하였다. 캐나다기러기는 1992년 첫 관찰 이후 2018년 3월까지 41회의 관찰기록이 있으며, 거의 매년 몇 개체가 관찰되는 매우 드문 겨울철새이다. 한국을 찾는 캐나다기러기(B. hutchinsii) 아종은 leucopareia, minima, taverneri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minima와 taverneri는 기존에 공식적인 한국조류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아종이다. 아종 중 leucopareia가 가장 흔하게 도래하며, 그 다음으로 minima가 찾아오고, taverneri는 매우 드물게 찾아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 도래하는 캐나다기러기의 아종 구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White-cheeked Geese (Canada Goose and Cackling Goose) occupy a wide breeding range and diverse habitats in North America. This species as the most morphologically variable of all anatids is divisible into 11 subspecies that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on the basis of body size and geographical genetics. Canada Goose (Branta canadensis) and Cackling Goose (B. hutchinsii) are separable from differences in their mitochondrial DNA, but the degree to which the two species overlap geographically and morphologically is poo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work was to examine patterns of geographic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White-cheeked Geese overwintering in Korea from 1992 to 2018. Of the White-cheeked Geese, the small-bodied Cackling Geese were overwintered predominantly where at least three subspecies (leucopareia, minima, and taverneri) occupied a wide range in wintering habitats in Korea. However, two subspecies such as minima and taverneri have not been recorded officially. Of the three Cackling Geese subspecies, leucopareia was the dominant form of populations, followed by minima and taverneri. This work provides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subspecies of Cackling Geese overwintering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방울새(Grey-capped Greenfinch, Chloris sinica)의 지리적 변이에 대한 연구

        박종길(Jong-Gil Park),김주은(Joo-Eun Kim),진경순(Kyoung-Soon Jin),박춘구(Chungoo Park),남동하(Dong-Ha Nam)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방울새는 지리적 분포와 형태형질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5 또는 6아종으로 분류하지만, 분류학적 위치와 유전적 분기 정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방울새 집단의 형태 및 유전적 형질을 바탕으로 방울새 아종의 지리계통학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방울새 집단의 형태형질 조사 결과, 울릉도 서식 개체군은 내륙 개체군보다 부리 높이와 부리 길이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mtDNA의 COX1 염기변이와 분자계통분류 결과에서도 두 집단 간에 뚜렷한 유전적 분기가 나타났다. 제주도 개체군은 내륙 개체군과 형태적으로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유전적으로 울릉도 개체군과 유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거제도 일대에서 비번식기에 채집한 일부개체의 외부 측정값은 울릉도 개체군과 비슷하였고, 이러한 특징은 계절에 따른 일부 개체군의 이동을 반증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적 거리 및 염기다양성은 국내의 방울새 집단이 최근에 섬 집단과 내륙 집단으로 양분되어 분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종에 대한 지리적 분포, 계절별 이동성, 형태형질과 유전적 흐름, mtDNA 유전체를 통한 분자계통분류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The Grey-capped greenfinch (Chloris sinica) is a polytypic species that exhibits complicated geographical variation in morphology. This study provides an intraspecific phylogeographic variability of C. sinica populations in Korea with their morphometric data. The observed morphometric variations were that Ulleung island population was morphologically distinct in bill length and depths as compared to the mainland population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mitochondrial COX1 regions provided evidence for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Ulleung and mainland populations. However, their genetic distances and nucleotide diversities were very low, highlighting their recent divergence. The needs for additional research is heightened to substantiate if the genetic clines in different localities may arise in C. sinica subspecies, each of which could have different breeding and wintering habitats, distribution patterns, and migration pathways.

      • KCI등재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와 사할린되솔새(Phylloscopus borealoides)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박종길(Jong-Gil Park),정시윤(Si-Yun Jeong),김양모(Yang-Mo Kim),진경순(Kyoung-Soon Jin),남동하(Dong-Ha Nam)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 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는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을 비롯한 고지대 산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확인되었으며, 사할린되솔새(P. borealoides)는 봄․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확인되었다. 솔새과 내에서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ND2에서 4.12%, COX1에서 4.25%로 측정되었다. 두 종의 계통분석 결과 ND2 유전자의 경우 대략 203만년, COX1 유전자의 경우 244만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DNA 정보를 기준으로 두 종의 형태 분류 시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외형적 색깔로 구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익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81.8-96.2% 수준으로 종 구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의 종 동정 시 형태분류와 분자유전학적인 계통분류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야 종 구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se two species of leaf warbl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The Pale-legged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summer visitor that commonly breeds in the highland forests of Jiri, Seora, and Sobaek mountains, while the Sakhalin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relatively common spring and autumn passage migrant. The estimate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Phylloscopus species was 4.12% based on ND2 and 4.25% based on COX1. The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diverged approximately 2.03 (ND2) to 2.44 (COX1)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 plumage color patterns, bare-part colors, and biometrics of Pale-legged and Sakhalin leaf warblers identified as such based on DNA barcodes were near-identical, the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g formula (81.8–96.2%). Integrated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wo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Phylloscopus species.

      • KCI등재

        Population trends and migration patterns in the critically endangered Yellow-breasted Bunting (Emberiza aureola) in the Republic of Korea

        Jong-Gil Park(박종길),Chang-uk Park(박창욱),Kyoung-Soon Jin(진경순),Yang-Mo Kim(김양모),Hee-Young Kim(김희영),Dong-Ha Nam(남동하) 한국조류학회II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1

        검은머리촉새(Emberiza aureola)는 구북구 북쪽에 폭넓게 분포하지만 동북아시아 철새 이동경로를 따라 만연한 불법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위기에 놓여있다. 검은머리촉새는 최근 IUCN의 Red List에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었지만 한국 내에서 개체군 변동에 대해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철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인 신안군 흑산도에서 가락지부착조사와 Line transect method를 통해 검은머리촉새의 개체군 변동과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Line transect method 분석 결과 2006~2016년 사이에 개체수가 감소한 패턴을 보였으며, 2017년 이후에는 약간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봄・가을철에 총 262개체를 포획조사 하였으며, 깃 패턴을 조사한 결과 봄철에는 미성숙 개체가 83.1%, 성조는 16.9%에 불과였다. 가을철에는 미성숙 개체가 83.8%였으며, 성조는 16.2%에 불과하였다. 봄・가을철 모두 암수 간 성비는 1:1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도래시기에 차이가 있었다. 봄철 수컷이 암컷보다 5.4일 일찍 도착한 반면, 가을철에는 암컷이 수컷보다 6.2일 빨리 도착하였다. 연구 결과 검은머리촉새의 이동 패턴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체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종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국가 간 정보 교환 및 개체군 변동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이 시급하다. The global population of the Yellow-breasted Bunting (Emberiza aureola) has plummeted toward extinction owing to rampant illegal hunting along its East Asian migratory flyway, although the species is broadly distributed from the northern Palearctic region to Far Eastern Russia. The threat category of E. aureola has recently been upgraded to critically endangered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but its population dynamics in Korea are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population trends and migration patterns of the Yellow-breasted Bunting using data from a bird banding project obtained between 2006 and 2018 at a key stopover site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line transect census data showed the decreasing patterns of the number between 2006 and 2016, and appeared to slight recover the number after 2017. The age of 262 birds trapped during spring and autumn migration between 2006 and 2018 was estimated based on their plumage patterns: 83.1 (spring)–83.8% (autumn) were immature and 16.2 (autumn)–16.9% (spring) were adult, with a non-biased sex rati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ing of arrival between the sexes during migration. Males arrived earlier than females by 5.4 days during spring migration, whereas females arrived earlier than males by 6.2 days during autumn migr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Yellow-breasted Bunting vary with age and sex, and the magnitude of the population changes necessitate international conservation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factors causing its fluctuation along the East Asian migratory routes.

      • KCI등재

        Lead exposure of Cinereous Vultures (Aegypius monachus) overwinte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Sub Hur(허섭),Jung-Hoon Kang(강정훈),Gil-Pyo Hong(홍길표),Jong-Gil Park(박종길),Gab-Soo Han(한갑수),Doo-Pyo Lee(이두표),Dong-Hyun Lee(이동현),Dong-Ha Nam(남동하) 한국조류학회II 2019 한국조류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보호종이면서 천연기념물인 독수리를 대상으로 폐사원인과 환경오염물질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군사접경지역(DMZ 일원) 및 통영지역에서 수거한 총 76개체를 대상으로 폐사원인을 추정한 결과, 외상, 탈진, 감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특히 관통상이 19.7%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물질 중 특히 약 15%의 폐사체에서 납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고농도(>25 mg/g dry weight)의 납이 간 조직에서 검출되었다. 폐사요인에 따른 간과 근육 조직에서의 납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 월동하는 독수리가 납 오염에 심각히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향후, 독수리 월동개체군에 대한 생태독성영향 평가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necropsies on globally threatened Cinereous Vultures (Aegypius monachus) overwinte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 levels of lead (Pb) in their tissues. We investigated 76 carcasses, and identified trauma, injury caused by shot, emaciation, and electrocution, and the complex patterns that are associated with 19.7% of deaths from a shot-related wound. The livers of approximately 15% of the carcasses contained levels of Pb compatible with death from Pb intoxication (> 25 mg/g dry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b among samples with factors that were the probable causes of dea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nereous Vultures overwinte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succumbing to abnormal Pb contamination. They raise further questions as to whether such toxicant exposure is affecting the populations of this globally protected v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