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Angle씨 제3급 부정교합 환자 치료 전후의 안모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손병화,김재우 대한치과교정학회 198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3 No.2

        The soft tissue covering of the face play an important role in facial esthetics, speech and other physiologic functions. Thus, it is recognized by all clincial orthodontists that success of orthodontic treat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soft tissues of the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bony and soft tissu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Ⅲ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18 males and 37 females, pretreatment age of 9 years to 11 years. For this study 11 Landmarks were plotted, 14 linear length, 4 soft tissue thickness and 2 angle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linear measurements of bony and soft tissre changes, A, Is, Ss, Ls and Li were located more anteriorly in both sexes. However Si and B showed more remarkable anterior movement in female. 2. In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of the soft tissue thickness, Ss and Li in male subjects and Ss in female subjects increased. 3. In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soft tissue profile and changes in the skeletal profile, Is: Ls, Il: Li and B:Si in both sex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However A:Ss had remarkable significant correlation in female.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ange in ∠A and change in ∠B in all sexes. 5. There were littl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distance difference of Is and Ii and Change in distance difference of Ls and Li in all sexes.

      • SCOPUSSCIEKCI등재

        전치부 반대교합 성인의 저작양상에 관한 연구

        손병화,유형석,박종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1

        저작은 기본적으로 Brain system의 central pattern generator(CPG)에 의해 조절되며, CPG로부터 target 기관까지의 출력(output)은 oral sensory feedback에 의해 변형된다. 전치부 반대교합은 이 feedback mechanism에 영향을 미치어 muscle activity와 jaw movement를 바꾼다. 본연구는 정상교합자와 전치부 반대교합자의 muscle activity와 jaw movement pattern의 차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은 각각 성인남녀 30명씩으로 하였으며 측정은 Biopak system의 EMG와 EGN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esting시 실험군이 정상군보다 모든 근육(좌측 악이복근 제외)에서 높은 근활성도 를 보였다. 2. Clenching시는 정상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우측 악이복근 제외) 3. Swallowing시는 정상군이 좌우측 교근과, 우측 후측두근에서 실험군보다 높은 근활 성도를 보였다. 4. 최대 개폐구속도는 정상군이 실험군보다 큰 값을 보였다. 5. 최대개구량과 최대전후방운동량 및 측방변위량은 정상군이 실험군보다 큰 값을 나 타냈다. Mastication is basically regulated by central pattern regulator(CPG) of brain system target organ output from CPG is modulated by oral sensory feedback. anterior cross bite pattern infuluence the feedback mechanism and change muscle activity and jaw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anterior cross bite group from normal group the selected sample groups were 30 normal patient, 30 anterior cross bite patient. EMG and EGN of Biopak system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resting state of mandible, anterior cross-bite showed the higher muscle activities in all the muscle.(exception:left digastric muscle) than normal group. 2. In clenching stat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ies of normal group and anterior cross bite group was noticed. 3. In swallowing state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muscle activities in left and right masseter muscle, right posterior temporal muscle. 4. In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anterior cross-bite. 5. In the mean value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r-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occlusion, normal group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anterior cross-bite group. .

      • SCOPUSSCIEKCI등재

        HLD (Handicapping Labiolingual Deviation), TPI (Treatment Priority Index)와 HMAR (Handicapped Malocclusion Assessing Record)를 이용한 지역간 부정교합 양상에 관한 연구

        손병화,황충주,황현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3 No.1

        We tried to evaluate frequencies and severities of malocclusion of various socioeconomic areas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To obtain objective validity, we used Handicapping Labiolingual Deviation(HLD) suggested by Draker, Treatment Priority Index(TPI) by Grainger, Handicapped Malocclusion Assessing Record(HMAR) by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nd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 Seoul and Kwangju were selected as an urban group, Ahnyang as an middle socioeconomic group and Hwasun near the Kwangju area as an rural group. 140 (male 63, female 73) of 5th grade in '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202 (male 101, female 101) of '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207(male 105, female 102) of '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wasun, and 100(male 49, female 51) of 'M'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n Ahnyang of all the same grade were analyzed and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 1. TPI, HLD, and HMAR showed high coincidence and reproducibility between different observer. (p<0.01) 2. In comparison of TPI, HLD, and HMAR according to clinical decision,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p<0.01) 3. As the severity of malocclusion increases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PI and HLD, and between HLD and HMAR. (p<0.05) 4. With respect to differences between areas in TPI and HLD,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Ahnyang and other areas. 5. In Seoul as an urban group there was a high incidence of periodic checkup and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than other area. 6. Mode of feeding and posture during sleeping did not affect the severity of malocclusion. As a conclusion, TPI, HLD and HMAR are so reproducible and coincident that they can be used as a guide on evaluating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and determining the priority of orthodontic treatment to determine the need and supply of orthodontic treatment. Furthermore these indices can provide objectively valid data for establishing public health problem solution.

      • SCOPUSSCIEKCI등재

        치열궁의 성장 변화

        손병화,백형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치열궁의 성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와 결과의 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치열궁의 형태는 자연 인류학과 치의학 특히 보철학과 교정학 분야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교정학 분야에서는 상,하악 치아의 기능적인 면과 치료후의 치열과 교합의 안정성 유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일찍 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대한 연구로는 이미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보고 되어 오고 있다. 초기에는 두개골을 직접 측정하여 치궁의 성장 변화를 설명하였고, 그 후 방사선이 소개 됨으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계측과 또한 경석고 모형을 사용한 선계측 방법도 많이 시도 되어 왔다. 그 방법으로는 치열궁의 폭경, 치열궁 장경 및 주위경 등을 계측하여 치열궁의 성장 변화를 연구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과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교정 치료를 받지 않고, 건강한 심신과 정상적인 성장 발육을 하고 있는 정상 교합자 3세에서 12세까지의 남,녀 아동 600여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두부 측면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사진, 그리고 치열궁 모형을 두해 연속해서 채득을 한 이후 계속 follow up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follow up된 두해에 걸친 각각 200여 쌍, 총 400여쌍의 모형을 채택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의 근원심 폭경,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 견치 치열궁 장경, 구치 치열궁 장경, 그리고 치열궁 주위경을 측정하여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 편차를 내고 도표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치간 폭경은 계속 완만히 증가하다가 10세이후 12세까지는 증가하지 않았다. 2. 제1대구치간 폭경에 대해서는 상악은 완만한 증가를 보이지만 하악의 경우는 유의성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9세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3. 견치 치열궁 장경은 6세이후 비교적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하악의 경우 더욱 뚜렷하다. 4. 구치 치열궁 장경은 상,하악 모두 서서히 증가하다가 10세 이후 부터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감소경향은 하악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5. 치열궁 주위경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그 증가량이 점차 완만해지고 10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하악에서 약간 크고 빠르게 나타났다. Study on growth change of dental arch is considered to both an important data in orthodontic diagonsis and treatment planning as well as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also, arch form is important in anthropology and dentistry, even more so in prosthodontics and orthodontics. In the field of orthodontics, studies on the functional aspect of upper and lower teeth and maintenance of stability of dentition and occlusion were carried out form the early days. Some of the early studies include explanation of growth change in dental arch form measuring directly form human skill, and afterwards, cephalometrics x-ray were introduced; accordingly, studies using cephalometric measurement and linear measurements of study models were often performed. By this method, arch width, arch depth and perimeters were measured, and growth change of dental arch was studied.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600 children(boys and girls) of ages from 3 years to 12 years from Kang-won district and Seoul, who has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who show healthy status and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Cephalometric x-ray, panoramic x-ray, and study model were taken for each subject consecutively for 2 years, and the subjects are still followed up. 400 pairs of study models from the past two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mesio-distal diameater of each tooth, intercanine width, intermolar width, canine depth, molar depth and arch perimeters were measured. Afterward, mean value and each standard deviation of each age group and each gender were obtained, and representation graph wer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obtained. 1. Intercanine width showed gradual increase until the age of 10-years and after that, showed no increase. 2. Intermolar width in upper arch showed gradual increase: intermolar width in lower arch showed no significant chang, and after the age of 9-years, showed increase. 3. Cainine arch depth showed relatively rapid increase after the age of 6-years, and this pattern was more obvious in lower arch. 4. Molar arch depth increased gradually in both archs and it decrease after the age of 10-year: this phenomenon was more prominent in the lower arch. 5. Arch perimeter showed gradual increase and convert to plateau at the age of 10-years, after that, it decreased. this pattern was more prominent in lower arch.

      • KCI등재후보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에 의한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전후의 비교

        손병화,경승현,김범수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은 다수의 평균에 의한 정상치와 비교하는 분석법과는 달리 개개인에서 두개안면의 구성양상이 발달되어온 해부학적, 발육학적 특징의 복합체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 80명(남자 40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를 비교하고,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에 의해서 주로 하악지 전후방 길이(B3)가 감소되어 상하악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해소되었다. 2. 수술에 의해서 하악지의 배열(R3, R4)이 후방으로 재배열되었으며 교합평면(R5)은 후하방으로 회전되었다. 3. 수술후와 정상교합자의 비교결과 수술후에 골격성 Ⅲ급 양상은 해소되었으나 두개저수준(R1, R2)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4. 수술방법에 따른 비교결과 양악수술은 상악골의 길이(A4), 하악지의 배열(R3, R4), 교합평면의 각도(R5)에서 하악수술과 차이를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한국인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특징을 살펴본 지난 연구에서 골격적 원인은 두개저의 후상방회전, 상악골의 후방위치, 하악지의 전방경사, 하악골체부의 길이증가였는데 본 연구 결과 실제 수술에서 개선되는 요소는 주로 하악지의 전후방 길이 감소, 상악골의 전진이기 때문에 상대적인 개선으로 골격성 Ⅲ급 양상이 해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적인 수술부위가 상악골과 하악골의 일부에 국한되기 때문이다. Enlow's counterpart analysis explains the complex with anatomic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here craniofacial aspect of individuals has been developed. Counterpart analysis does not compare individual measurement with the normal value from the average of majority but analyzes by comparison of values that each individual has. In this study we examined surgical changes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male 40, female 40) and compared them with normal occlusion patients using counterpar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 1. Skeletal anterior-posterior discrepancy was relieved by shortening of the ramus width(B3). 2. The ramus alignment(R3, R4) was displaced posteriorly and the occlusal plane angle(R5) was rotated clockwise. 3. Skeletal Class Ⅲ pattern was relieved in the post-operative group, bu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cranium(R1, R2) was remaining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patients. 4. In the comparison of surgery methods, the two-jaw surgery group presented changes in the maxillary length(A4), ramus alignment(R3, R4) and occlusal plane angle(R5) compared to the one-jaw surgery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past study about Korean skeletal Class Ⅲ patients, the skeletal characteristics are upward backward rotation of the cranial base,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maxilla, forward inclination of the ramus and lengthening of the mandibular body, but in this study, skeletal Class Ⅲ pattern was relieved by shortening of the ramus width and maxillary advancement by orthognathic surgery, because orthognathic surgery is usually performed on limited areas i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제 1 세부과제: 치열궁의 성장 변화 Part Ⅰ: Growth and Development of Arch Form

        손병화,김형순,이정구,김석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한국인 남,녀 6세에서 17세 사이의 악안면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의 일부로 시행되었으며 3년간에 걸쳐 남,녀 아동 736명을 대상으로 치열궁의 성장변화를 관찰하고자 치아의 근원심 폭경,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 견치 치열궁 장경, 구치 치열궁 장경 그리고 치열궁 주위경을 측정하여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도표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론 1. 치아의 근원심 폭경 측정에서 상악은 중절치, 제2대구차, 하악은 견치, 제2대구치에서 남,녀 성차이를 인정 할 수 있었다. 2. 견치간 폭경은 11세까지 완만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3. 구치간 폭경은 상악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그 양상은 9세에서 14세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하악에서는 9세까지는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이후 14세까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견치 치열궁 장경은 상악에서는 13세까지, 하악에서는 11세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5. 구치 이열궁 장경은 남자에서는 10세, 여자에서는 9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변화는 상악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후 상하악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상악에서는 15세, 하악에서는 12세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6. 치열궁 주위경은 상,하악 모두 10세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양상은 상악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10세와 14세 사이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양상은 하악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semi-longitudinal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with purpose of observing the growth change in arch form, 736 pairs of study models were taken for 3 years, Mesio-distal diameter of each tooth, intercanine width, intermolar width, canine arch depth, molar arch depth and arch perimeters were measured. Afterwards, mean value and each standard deviation of each age group and each gender were obtained, and corresponding graphs wer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Mesio-distal diameter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2nd molar, mandibular canine, and mandibular 2nd molar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2. Intercanine width shows a gradual increase until age of 11. 3. Intermolar width in maxilla shows continuous increase, and the tendency of increase is more apparent between age of 9 and 14, In mandible, various pattern was shown until age of 9,and after, a slight increase. 4. Canine arch depth shows the increasing tendency until age of 13 in maxilla and 11 in mandible. 5. Molar arch depth shows the pattern of increase until age of 10 in male and 9 in female, which is more apparent in maxilla. After age of 9 or 10, dereasing pattrn was significantly shown until age of 15 in maxilla and age of 12 in mandible. 6. Arch perimeters in maxilla and mandible showed gradual increase until age of 10, and the tendency of increase was more apparent in maxilla; however, between the age of 10 and 14, arch perimeters of maxilla and mandible showed gradual decrease which was more apparent in mandible.

      • SCOPUSSCIEKCI등재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Counterpart Analysis)에 의한 한국인의 악안면 두개 골격형태에 관한 연구

        손병화,이윤정,양춘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5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은 개개인에서 두개안면의 구성양상이 발달되어온 해부학적, 발육학적 특징의 복합체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수의 평균에 의한 정상치와 비교하는 것이 아니고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값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개안면의 골격형태에 인종적, 지역적으로 골격형태의 변이가 있으므로 한국인에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적용해봄으로써 한국인 정상교합자에 나타나는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모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 교합자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계측점과 계측선을 설정하고,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PCF와 PMV 간의 각도는 한국인 남자 평균 38.54 ± 2.93˚, 여자 38.43 ± 2.90˚으로 나타났고, Wits' appraisal은 한국인 남자 평균 -2.51 ± 3.25와 여자 -2.3 ± 2.26으로 나타났다. 하악지 배열을 나타내는 R4는 한국인 남자 1.89 ± 3.15, 여자 2.36 ± 2.84를 나타냈다. 2.후두개저와 하악지의 골격적인 수평 길이 차이를 나타내는 A3-B3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성있게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하악지가 후두개저(PCF)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3.상악골과 하악체의 길이 차이를 나타내는 A4-B4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성있게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하악체가 상악골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4.상악과 하악의 수평적인 전체 길이차를 나타내는 A1-B1에서는 남녀에서 성차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하여 중안면부가 함몰되고 하악골은 전돌되며 하악지가 후하방으로 회전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한국인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하악지가 후두개저에 비해 더 크며 이에 보상적으로 하악체는 상악골에 비해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인해 결과적으로 상악과 하악의 전체적인 길이 차이에서는 남녀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nlow's counterpart analysis explains the complex with anatomic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here craniofacial aspect of individuals has been developed. The analysis does not compare individual measurement with the normal value from the average of majority but analyzes by comparison of values that each individual has.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Korean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using Enlow's counterpart analysi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raniofacial skeletal pattern has racial and regional variation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in the future for growth research and research of the orthognathic surgery. For this study,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00 Korean adult subjects(50 males and 50 females) who had normal occlusion and pleasing face. Measurement points and lines were established using Enlow's counterpart analysis and they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he resells indicated that : 1.The average angle between PCF and PMV was 38.54˚ in males and 38.43˚ in females, and the average Wits' appraisal was -2.51 in males and -2.3 in females. The ramus alignment(R4) was 1.89 in males and 2.36 in females. 2.It shows that females have a longer ramus than the PCF compared to the males,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mus/PCF horizontal dimensions (Skeletal A3-B3) between female and male subjects. 3.It shows that males have a longer mandibular corpus than the maxilla compared to the females,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llary/Mandibular arches(Skeletal A4-B4)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4.In cranial floor+maxilla/ramus+corpus at A and B points(A1-B1), which represents difference in total horizontal length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conclusions, compared to Caucasian, Korean have more depressed midface, prognathic mandible, and ramus that rotates inferioposterior. Also, we observe that Korean women have larger ramus posterior cranial base, as compared with Korean men. Consequently, the total length of maxilla and mandible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ecause man's mandible is longer than maxilla in comparison with woman's one.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7-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손병화,김형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1

        한국인 7세-17세 아동의 두 개저, 상악, 하악의 사춘기 성장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251개, 여자 286개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이용, 10개의 계측점과 16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하고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치와 각 연령별 년간 누년차를 산출한 다음 이들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계측항목을 두 개저, 상악, 하악의 세군으로 분류하고 또 남녀별 로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의 성장은 남자 아동에 비해 여자 아동이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2. 두 개저, 상악골, 하악골 모두 사춘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나 두 개저의 성장은 안면골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3. 두 개저 성장에 있어서 전두개저 길이의 증가에 비해 중두개저 및 후두개저의 길이 증가가 현저했으며 사춘긱 성장증가(circumpuberal growth spurt) 양상도 보다 명확했다. 4.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은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과 상악골 주위 봉합부의 성장에 따른 변위가 종합된 결과로 두 개저에 대한 상악골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Ar-ANS와 Ar-Pr 이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을 나타내는 ANS-PNS 보다 많은 성장량을 보였다. 5. 하악골은 수평 성장량에 비해 수직 성장이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할 수준은 아니다. 6. 상악 치조골과 하악 치조골은 유치 탈락후 영구치 맹출시기에 최대 성장률을 보인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하악 치조골의 수직성장에서는 사춘기 성장증가가 관찰되었다. Lateral cephalograms of 251 males and 286 females were taken and pubertal growth pattern of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le of 7 to 17 years old Korean children was evaluated. 10 landmarks and 16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Analytical measurement and annual difference for each age group was calculated and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which were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ular measurements and also classified into make and female measurements. Following results were achieved. 1. The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earlier in Korean females than in males. 2. Cranial base, maxilla and mandible showed circumpuberal growth. The cranial based showed a relatively smaller amount of growth than the facial complex. 3. Middle and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also more definite. 4. the forward and downward growth of maxilla results from maxillary growth itself and transposition of the maxilla due to circumsutural growth aroud the maxilla. Ar-AN S and Ar-Pr which represent maxillary position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showed more growth than ANS-PNS which represents maxillary bone growth. 5. mandible showed more vertical growth than horizontal growth but without significance. 6. Alveolar growth of maxilla and mandible show maximum growth rate of the time of permanent teeth eruption following loss of deciduous teeth. After this period alveolar growth shows a decreasing tendency.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Ⅱ급 1류 부정교합에서 Teusher 장치의 치료효과

        모성서,손병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4

        골격성 Ⅱ급 1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Activator, FR(Functional regulator), Headgear, Herbst 장치, Twin-block등의 많은 장치가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때 기대하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는 상악골의 수평적, 수직적 성장의 억제와, 하악골의 성장이 촉진되어 바람직한 골격적 관계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토대 위에 치아들이 적절하게 배열되는 것일 것이다. Teuscher 장치는 Headgear의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억제작용과 Activator의 하악골성장촉진 작용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실제 임상 중에 이러한 효과가 잘 구현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성장기 남녀 각각9명(평균연령 남자8세 11개월, 여자9세4개월)을 대상으로 Teuscher appliance를 평균남아는 평균 10개월, 여아는 평균 11개월간 사용하였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상악골의 전방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주었다. 2. 상악 dentoalveolar complex의 전하방 성장을 억제하여 주었다 3. 하악골의 전방 성장 촉진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4. Overjet, overbite, molar key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5. 장치의 사용으로 상순의 돌출도의 개선과 안모가 향상되었다.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o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Ⅱ division 1 malocclusion. The activator, Fra¨nkel appliance, headgear, Herbst appliance, and Twin-block appliance are some examples. The ideal treatment effect using these appliances would be to inhibit horizontal and vertical growth of the maxilla while promoting mandibular growth and obtaining optimum dentition. The Teuscher appliance has a simultaneous combined headgear effect with maxillary growth inhibition and an activator effect with mandibular growth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well these effects were clinically obta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orward growth of the maxilla was effectively inhibited. 2. The downward-forward growth of the maxillary dentoalveolar complex was inhibited. 3. Growth promotion of the mandible was not observed. 4. The overjet, overbite, molar key were effectively improved. 5. The protruded upper lip and facial profile were improved

      • SCOPUSSCIEKCI등재

        외과적 수술을 받은 선천성 구순 구개열자의 두개 안면 형태에 관한 연구

        도송희,손병화 대한치과교정학회 199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3 No.4

        A cephalometric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of craniofacial morphology of operated congenital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 and control subject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consisted of 73 subjects with operated congenital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53 males, 20 females) and 110 control subjects (7 males, 34 females) ranging from 3 to 14 years ol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3-5, 6-8, 9-11, 12-14 year) and analyzed by Coben's method and Burstone's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 1. In Wit's appraisal, there was no difference the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 and the control subjects. 2. In the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 they had smaller and more retrusive maxilla than the control subjects in both sexes. 3. In the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 they had more retrusive mandible than the control subjects in both sexes. 4. In the cleft lip and palate subjects, they had more concave profile than the control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