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배의 생장시기에 따른 페놀성물질과 펙틴의 변화

        장선(Xian Zhang),이범수(Fan-Zhu Lee),은종방(Jong-Bang Eun)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1

        배 생산지원의 충분한 이용과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개발을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른 부위별 페놀성물질과 과육의 펙틴 변화를 측정하였다. 배의 생장시기에 따라 과피, 과육, 과심부의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생장초기 과피에서는 20.61-22.98 ㎎/g 과육에서는 0.87-1.23 ㎎/g, 과심부에서는 6.39-37.96 ㎎/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다. 동일한 품종내에서 대부분 시기에 걸쳐 과피중의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과육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생장초기 3품종과 각 부위에서 모두 arbut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이 검출되었고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과피와 과심부에서는 caffeic acid, catechin 그리고 4-hydroxymethyl benzoic acid(4-HMBA)도 검출되었으며 그 중 arb-utin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배 과육의 총펙틴 함량은 알코올 불용성 고형분(AIS)의 감소와 함께 생장초기 약 6 ㎎/g에서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생장초기 hydrochloric acid-soluble pectin(HSP)의 함량이 3.21-3.45 ㎎/g으로 가장 많았고 또한 과실의 생장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AIS중 water-solubel pectin (WSP)의 증가가 가장 컸다. 따라서 배의 성숙된 과실에 비하여 미숙한 과실이, 과육에 비하여 과피가 기능성식품소재 개발에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현재 미이용되고 있는 미숙과니 낙과 등의 과피를 이용하여 알부틴과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을 추출하여 기능성 물질로의 이용을 위해 앞으로 추출 방법 등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The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and pectin content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growth of 3 cultivars (Hosui, Niitaka and Chuwhangbae) of Asian pear (Pyrus pyrifolria) fruits. The amou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peel, flesh and core was 20.61-22.98 ㎎/g, 0.87-1.23 ㎎/g and 6.39-37.96 ㎎/g during early growth, respectively, and decreased with pear growth. Arbutin, chlorogenic acid and epicatechin were detected in each part of all three cultivars during early growth; of these, arbutin content was the highest. Caffeic acid, catechin and 4-hydroxymethyl benzoic acid were detected in the peel and core during the ripening process. The total pectin content in the flesh of Hosui, Niitaka, and Chuwhangbae cultivars decreased from 5.93 ㎎/g, 5.99 ㎎/g and 5.40 ㎎/g to 1.07 ㎎/g, 1.60 ㎎/g and 1.63 ㎎/g, respectively. Of the soluble pectins, the hydrochloric acid-soluble pectin content was the highest, 3.21-3.45 ㎎/g, and decreased during growth.

      • SCOPUSKCI등재

        생장단계별 배 과육에서 추출된 펙틴의 이화학 특성 및 포도당 흡수 저해 효과

        장선(Xian Zhang),이범수(Fan-Zhu Lee),은종방(Jong-Bang Eun)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5

        상품성이 낮은 배의 부가가치 증대와 배 펙틴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라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처리법에 의한 펙틴의 추출수율은 배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과로부터 추출한 펙틴의 L<SUP>*</SUP>값은 미숙과나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L<SUP>*</SUP>값에 비하여 낮았고 a<SUP>*</SUP>값과 b<SUP>*</SUP>값은 더 높았다. 순도는 22.77-43.07%로 비교적 낮았고 메톡실함량은 3.44-6.73%, DE값은 21.08-41.25%로 저메톡실펙틴이었으며 품종내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메톡실함량이 가장 높았다. 고유점도는 1.90-3.81 dL/g이었고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는 약 30% 혹은 그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과를 보였다. 메톡실함량과 DE값은 고유점도와 5% 수준에서, 포도당 흡수 지연 효과와는 1% 수준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고유점도는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과육에서 산처리법으로 추출한 펙틴은 저칼로리 식품 생산에 그리고 기능성 식품 개발에서 좋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펙틴 추출 시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Asian pear in 3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extraction yields of pectin by the acidic treatment decreased during the growth. The L<SUP>*</SUP> value of young fruit was lower than unripe and ripe fruit, and a<SUP>*</SUP> and b<SUP>*</SUP> value were higher in the same cultivars. The degree of esterification (DE) and intrinsic viscosity of pectin were 21.1-41.3% and 1.90-3.81 dL/g, respectively. The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pear showed about 30% glucose retarding effect. The DE valu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retarding effect on glucose transport and intrinsic viscosity (p<0.01 and p<0.05).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pectin seems to affect the retardation of glucose transport in blood. Pectin extracted from flesh of Asian pear by acidic treatment could be a good source to develop low calorie and functional food.

      • KCI등재

        Knockdown of the olfactory co-receptor Orco impairsmate recognition in Tenebrio molitor (Coleoptera: Tenebrionidae)

        Xiao-Ming Liu,Bang-Xian Zhang,Shi-Guang Li,Xiang-Jun Rao,Dong-MingWang,Xiao-Xuan Hu,Su Li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19 No.2

        The yellow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Coleoptera: Tenebrionidae), is a common insect pest that damages stored grain. The insect olfactory co-receptor (Orco) is a transmembrane protein localized on the surface of the dendrites of olfactory sensory neurons and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olfactory perception. In this study, an Orco ortholog (named as Tmol\Orco) inT.molitorwas characterize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mol\Orco shared significant high identities with Orcos in other insect species from distinct Orders.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CR (RT-qPCR) analysis showed that Tmol\Orco was predominantly expressed in the antennae of both male and female adul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tennae and female antennae was not significant. Double-stranded RNA (dsRNA) directly against the Tmol\Orco mRNA was synthesized and injected into the T. molitor male adults, RT-qPC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ranscription level of Tmol\Orco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6 d after the injection. The mate-seeking behavior of Tmol\Orco-silenced beetl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 to the control individuals, the percentage of Tmol\Orco-silenced beetles successfully find mates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average time they spent for searchin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provided first direct evidence that suppression of Tmol\Orco transcription contributes to the decline in mate recognition of T. molitor

      • Directional Forces by Momentumless Excitation and Order-to-Order Transition in Peierls-Distorted Solids: The Case of GeTe

        Chen, Nian-Ke,Li, Xian-Bin,Bang, Junhyeok,Wang, Xue-Peng,Han, Dong,West, Damien,Zhang, Shangbai,Sun, Hong-Bo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8 Physical review letters Vol.120 No.18

        <P>Time-dependent density-functional theory molecular dynamics reveals an unexpected effect of optical excitation in the experimentally observed rhombohedral-to-cubic transition of GeTe. The excitation induces coherent forces along [001],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unique energy landscape of Peierls-distorted solids. The forces drive the A(lg) optical phonon mode in which Ge and Te move out of phase. Upon damping of the A(1)g mode, phase transition takes place, which involves no atomic diffusion, defect formation, or the nucleation and growth of the cubic phase.</P>

      • KCI등재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이 '향수'배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장선,강귀훈,이범수,은종방,Zhang, Xian,Jiang, Gui-Hun,Li, Fan-Zhu,Eun, Jong-Bang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3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이 '향수'배에 대한 신선도 유지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농도로 희석한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을 '향수'배에 분무처리하고 실온에 저장하면서 그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기간 중 열분해액을 20배로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의 중량 감소와 부패 지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호흡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총산 함량 및 총당 함량은 저장 12일 후 열분해액 20배를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가 무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그 함량이 0.19% 및 7.19%를 나타내었다. '향수'배의 비타민 C 함량에 있어서, 저장 12일째에 열분해액 20배를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의 비타민 C 함량이 2.21 mg/100 g으로 그 감소량이 가장 작았다. 결론적으로 바이오매스 열분해액 처리가 '향수'배의 선도유지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0배로 희석한 열분해액의 처리가 '향수'배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가장 적게 하여 그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분해액이 이화학적 특성에서 목초액과 비슷하나 구체적으로 어떤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고 또 이들이 어떤 기작을 통하여 과일의 선도유지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Xiangshui' pears (Pyrus ussuriensi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iomass pyrolysis liquid (BPL) during storage at $25^{\circ}C$ were investigated. The weight of 'Xiangshui' pears treated with BPL declined at a slower rate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ot index of BPL-treated 'Xiangshui' pear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s, and treatment with 20-fold-diluted BPL resulted in the lowest rot index after storage for 12 days. The total acid content of 'Xiangshui' pears treated with 20-fold-diluted BPL was 0.19%, and was the highest after storage for 12 days. After storage for 12 days, the total sugar content of 'Xiangshui' pears treated with 20-fold-diluted BPL was 7.19%; th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pears treated with other BPL dilutions. The vitamin C content of 'Xiangshui' pears showed a decreased trend, and pears treated with 20-fold-diluted BPL had a vitamin C content of 2.21 mg/100 g after storage for 12 days and showed the least declin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addition, respiration in 'Xiangshui' pears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treatment with BPL. In conclusion, BPL treatment exerts a protec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Xiangshui' pears during storage, with 20-fold-diluted BPL being the most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