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류상 현황 비교를 통한 정맥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승우 ( Seung Woo Han ),박치영 ( Chi Young Park ),김인규 ( In Kyu Kim ),신용운 ( Yong Un Shin ),강태한 ( Tae Ha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우리나라 산맥은 크게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계곡이나 강을 건너지 않고 산줄기만으로 지리산 천왕봉까지 이어지는 큰 줄기를 뜻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으로 개념되어 있다. 이러한 백두대간에서 장백정간과 13개 정맥이 갈라지면서 한반도의 산줄기가 구성된다. 이러한 산줄기는 백두산을 뿌리로 하여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구성되어있고, 대간에서 갈래쳐나온 산줄기는 모두 14개(1정간 13정맥)로 구성되어있다(산악문화 2005). 이 중 정맥은 100㎞ 이상의 연속된 산줄기로서 독특한 산지-분수계(산지분수령)를 형성하며 동식물 서식지 및 이동로 등 자연 환경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백두대간에 대해서는 보존과 이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만 9개 정맥(13개 정맥 중 남한지역의 정맥)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광역 생태축의 주요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보전 및 이용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 필요한 실정이다(산림청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광역 생태축의 주요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정맥의 조류상 현황 파악을 통해 보전 및 이용에 필요한 가이드 라인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정맥의 조류 서식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2009년 낙동정맥을 시작으로 호남정맥(2010년), 금북정맥(2011년), 낙남정맥(2012년), 한남, 금남정맥(2013)이 수행되었고, 2014년에는 한북정맥 조사를 계절별로 수행하고있다. 조사는 각 조사지점 별로 등산로나 도로 및 계곡부를 따라 시속 2㎞로 보행하면서 육안과 쌍안경(8×32)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조사 범위는 시야(또는 쌍안경)에 보이는전 지역을 조사하였으나 개체수는 중복되지 않게 고려하여 조사하였다. 집중 조사지역내 마루금을 중심으로 계곡부 및 저지대 등 조류상이 가장 잘 확인될 수 있는 지역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이나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동물 등의 법적보호종의 구분은 문화재청(2005)과 환경부(2012)의 기준에 근거하였으며, 조사결과의 집계는 한국조류학회(2009)에 의거 지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군집 분석은 우점도, 종다양도 등을 분석하였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8개의 정맥의 주요지역을 조사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87종 5, 523개체로 확인 되었으며, 종다양도 지수는 3. 24로 높은 편이었다. 각 정맥별 출현종은 한남정맥에서 56종으로 가장 많았고, 낙남정맥 53종, 호남정맥 46종, 금북정맥 44종, 한남금북정맥 43종, 낙동정맥과 금남정맥에서 36종, 호남금남정맥에서 35종의 순이었다. 개체수는 한남정맥이 1, 112개체로 가장 많았고, 낙남정맥 1, 051개체, 금북정맥 1, 023개체, 한남금북정맥 694개체, 낙동정맥 575개체, 호남정맥 503개체, 금남정맥 316개체, 호남금남정맥 249개체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참새 Passer montanus가 15. 2%로 최우점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붉은 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12. 2%,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8. 2%. 박새 Parus major 7. 1%,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7. 0%의 순으로 상위 5%이상의 우점종은 모두 텃새로 나타났다. 최우점종인 참새 Passer montanus와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는 저지대 조사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특성상 개체수가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각 정맥별 출현 조류 현황을 보면 모든 정맥에서 출현한 조류는 참새 Passer montanus,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박새 Parus major 등 20종이었고, 이러한 산림이나 인가 근처 야산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종의 출현이 높은 것은 조사지역이 저지대 부분도 포함된 결과 때문으로 판단된다. 법적보호종은 총 11종이 출현하였고, 그중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Ⅰ급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멸종위기 Ⅱ급종으로 새호리기 Falco subbuteo,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새매 Accipiter nisus, 참매 Accipiter gentilis, 올빼미 Strix aluco,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팔색조 Pitta nympha의 7종이 확인되었다.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은 원앙 Aix galericulata,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새매 Accipiter nisus, 참매 Accipiter gentilis,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 소쩍새 Otus sunia, 올빼미 Strix aluco,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팔색조 Pitta nympha 10종이 확인되었다. 백두대간(산림청 2010)에서 관찰된 종은 총 89종으로 8개 정맥에서 출현한 87종과 비교했을 때 출현종수는 백두대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정맥 또한 우수한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출현한 조류는 총 108종이었으며,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모두 출현한 조류는 총 67종(62%)이었다. 백두대간에서만 출현한 조류는 21종(19%)이었고, 정맥에서만 출현한 조류는 19종(18%) 이었다. 백두대간의 주요우점종은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박새 Parus major,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물까치 Cyanopica cyana 등으로 정맥의 주요 우점종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관찰된 법적보호종은 총 14종이었다. 백두대간에서 12종이 출현하였으며, 정맥에서 11종이 출현하여 법적보호종의 출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모두 출현한 법적보호종은 원앙 Aix galericulata,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새매 Accipiter nisus, 참매 Accipiter gentilis,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새호리기 Falco subbuteo,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 소쩍새 Otus sunia,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9종(75%)이었고, 백두대간에서만 출현한 법적보호종은 벌매 Pernis ptilorhynchus, 긴점박이 올빼미 Strix uralensis 2종이었으며, 정맥에서만 출현한 법적보호종은 올빼미 Strix aluco, 팔색조 Pitta nympha 2종이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 법적보호종의 종수가 9종(62%)인 것은 정맥의 자연환경이 백두대간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환경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개별적으로 관찰된 각 2종은 조사 시기, 환경에 따라 향후 조사에서 서식이 확인 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정맥의 조류 조사를 실시하여 개괄적인 조류상 파악이 이루어진 데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조사결과를 활용하는 부분까지 고려하면 몇가지 문제점이대두된다. 첫째, 정맥은 매우 광범위한 부분으로 정맥 1차기 조사에서 실시된 것처럼 샘플조사는 매우 한정적인 조사로 정맥의 조류상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조사지역을 확대하여 정맥 전체에 걸친 전반적인 조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각 정맥별 조사지역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사지역의 차이는 출현조류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2차기 조사에서는 모든 정맥의 조사지역 개수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기적인 관점(기후변화 등)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조류 종 변화상의 파악을 위해서 고정 조사구 설치가 필요하다. 고정조사구는 식생현황, 서식환경(계곡부, 능선부 등) 등을 고려하여 각 환경별로 적정한 수를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정맥에서 서식하는 조류 조사 결과 서식 종수에서 백두대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우점종 및 법적보호종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정맥 또한 광역생태축의 주요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와 위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 후 백두대간과 같이 정맥의 보존과 이용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특성

        신용운,한승우,이시완,황인서,박치영,SHIN, YONG-UN,HAN, SEUNG-WOO,LEE, SI-WAN,HWANG, IN SEO,PARK, CHI-YOUNG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1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와 연안습지 기초조사를 통한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장봉도, 무의도, 대천천하구, 서천갯벌, 유부도, 곰소만, 하의도, 증도, 도암만,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수조류의 도래현황에 대한 조사는 2008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관찰된 수조류 중 도요 물떼새류가 36종(37%) 193,111개체(67.1%)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으며, 수면성 오리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큰뒷부리도요(Limosa lapponica),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도요 물떼새류가 서천갯벌과 유부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수면성 오리류는 도암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강진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갈매기류는 서천갯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은 수조류의 유사도지수(Ro)에 의해 3개 Group으로 나뉘었다. 1 Group은 수면성 오리류와 잠수성 오리류가 우점한 지역이었으며, 2 Group은 도요 물떼새류가 우점한 지역이었다. 3 Group은 갈매기류가 우점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간 환경에 따른 종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igration status of waterbirds inhabiting the 10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Jangbongdo, Muuido, Daecheoncheon estuary, Seocheon tidal flat, Yubudo, Gomso bay, Hauido, Jeungdo, Doam bay, Gangjin bay) was examined from May 2008 to March 2013. For the most dominant taxonomical group, shorebirds accounted for 37.5%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67.1% of the total population, followed in the order of dabbling ducks, herons, and seagulls. The dominate species were Calidris alpina, Larus crassirostris, Limosa lapponica, Charadrius alexandrinus, and Calidris tenuirostris. Shorebirds were observed most at Seocheon Tidal Flats and Yubudo Island, and dabbling ducks were found most in Doam Bay. Diving ducks were observed most at Gangjin Bay and seagulls were seen most frequently at Seocheon Tidal Flats. The ten coastal wetlands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of waterbirds (Ro). Group 1 was the area wher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were dominant, group 2 was the area where shorebirds were dominant, and group 3 was the area where seagulls were dominant.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regional environments.

      • SCIESCOPUSKCI등재
      • IRFPA용 CMOS readout 회로를 위한 저잡음 OP-AMP

        김소희(So Hee Kim),박민영(Min Young Park),최충기(Chung Ki Choi),강명훈(Myung Hoon Kang),문준희(Jun Hee Mun),박치영(Chi Young Park),박용수(Yong Soo Park),송한정(Han Jung Song),전민현(Min Hyun Jeon) 대한전자공학회 200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11

        A CMOS ROIC (ReadOut Integrated Circuit) for IRFPA (InfraRed Focal Plane Array) detector is a key component in uncooled thermal imaging systems. For a good IR (InfraRed) detector, low noise ROIC is needed. In this paper, a low noise CMOS OP-AMP for ROIC circuit of the 32×32 IR bolometer detector has been designed. HSPICE simulation results with a 0.35 ㎛ CMOS technology are unit gain bandwidth of 12.8 ㎒, 89 ㏈ open loop gain, 8 V/㎛ slew rate, 600 ㎱ settling time and 67° phase margin.

      • KCI등재

        다시기 항공사진과 DSAS 기법을 이용한 을숙도 해안선 변화 분석

        이재원(Lee, Jae One),김용석(Kim, Yong Suk),박성배(Park, Sung Bae),박치영(Park, Chi Yo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1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을숙도는 생태환경의 중요한 지역으로서 국제적인 해안습지 지역이기도 하다. 을숙도 지역은 많은 변화를 통하여 지금의 지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 을숙도 서편에는 대규모 수문 공사로 인한 해안선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보전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을숙도에 대한 지난 30년간(8개년도 구분)의 항공사진을 취득하여 정사영상으로 제작한 뒤, 수치도화 과정을 거쳐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벡터 자료는 DSAS(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4.2 프로그램을 통하여 SCE(Shoreline Change Envelope), NSM(Net Shoreline Movement), EPR(End Point Rate)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011년 10월에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측량을 실시하여 을숙도 서편에 대한 기준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을숙도 수문 공사 전부터 지금까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문 공사 전(2009)의 경우 연간 해안선 변화량이 약 ?0.34m/yr이었으나, 공사 중(2011)에는 약 ?0.50m/yr로 점차 퇴적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Eulsukdo located in the Nakdong Estuary plays important role in ecosystem and coastal wetland. There have been various changes in Eulsukdo up to now. Recently, we expect a great change of the western part of shoreline in Eulsukdo due to the floodgate construction but there is few databases. In this study, shorelines were digitized after we had produced the ortho-images by using aerial photos taken for 30 years(8 times). SCE, NSM and EPR were analysed by DSAS 4.2 program using vector data. In addition, the changes of shoreline were analysed in October 2011 from before Eulsukdo water gate construction to now by adding field surveying with VRS. The amount of years shoreline change is -0.34m/yr in 2009(before water gate construction) and -0.50m/yr in 2011(during the water gate construction), and the change trend shows an accumulation aspect.

      • 요관결석 환자에서 강성요관경하 제석술과 요관절석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홍섭,황선태,노용수,양상국,박치영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5 건국의과학학술지 Vol.5 No.-

        Patients with ureteral calculi may be managed by expectant, invasive, or noninvasive treatments, depending on the stone composition, size and location, expectations of the patients, and experience of the surgeon. Currently ureteroscopic removal of stone(URS) has been popularly used for the treatment of ureteral calculi.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4,we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87 URS's to those of 31 ureterolithotomies and analys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sult of URS. The clinical results of two group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 stone size was 7.6㎜ in URS group and 12.1㎜ in ureterolithotomy group. In 81.6% of URS group, the stone was located in the lower ureter and 71% of ureterolithotomy group in the upper ureter. The mean operation time, hospital stay and costs of the URS group, 96.6% of the stone were removed or disintegrate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uccess rate of URS along the sex difference, the location and size of stone. However, the higher the location of stone was, the more operation time spent. The complication rate of URS was estimated 26.5% but most of complications were resolv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We conclusively suggest that the URS is the acceptable alternative modality of the ureterolithotomy for the treatment of the ureteral calcu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