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성 구성 개념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홍정순(Jung Soon, H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30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있는 사람’의 특징을 묻는 설문 조사를 통하여 문화적 관점을 반영한 진정성의 다차원적인 구성 개념을 암묵이론을 통하여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 이상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QR-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수정된 합의적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정성있는 사람’의 특징으로 2개의 영역과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개의 영역은 개인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이다. 개인적 차원에는 3개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는데, 가장 많은 응답 빈도를 보인 범주는 ‘일치성’으로 내적 경험과 외적 표현의 일치, 말과 행동의 일치를 의미한다. 두 번째 범주는 ‘외부영향에 휘둘리지 않음’으로, 사회적 기준이나 사람들의 시선, 기대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 핵심 주제이다. 세 번째 범주는 ‘내적 경험에 대한 자각과 수용’인데, 자신의 감정, 생각, 욕구 등에 대하여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수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관계적 차원은 대인 관계에서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 서구의 개념화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집단주의 문화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여진다. ‘정성을 다함’은 상대의 입장이나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형식적이거나 건성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이면서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순수한 마음으로 상대를 대함’은 나의 이익이나 필요에 따라 상대를 이용하지 않는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대로 상대를 대한다 등이 핵심 주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진정성 구성 개념을 확인함으로써 진정성의 본질적 의미와 현실적 적용 방식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ffirm in an empirical way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authenticity i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viewpoints. Free-listing questionnaires asking for characteristics of an "authentic person"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turucture of authenticity. A total of 171 adults over the age of 20 participa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CQR-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odified). In result, two domains, the individual-oriented and the relationship-oriented, and five categories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of an "authentic person". The most listed of three categories in the individual-oriented domain was "congruence", which implies congruence between inner experience and external expression and a matching of speech and behavior. The Second most listed category was "indifference in the face of external factors", which suggests that one’s behaviors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social standards or opinions or expectations of others. The third category was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inner experiences", which primarily discusse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accepting one’s feelings, thoughts, and desires without any modification. The relationship-oriented domain contained two categories, "devoting oneself to someone" and "treating other in earnest", which relate to how people treat others. The relationship-oriented domain is not commonly found in Western culture, so it is possibly influenced by collectivism. "Devoting oneself to someone" means that a person should treat others with respect and care. Lastly, "treating others in earnest" emphasizes an attitude of serving others in a cordial manner and avoiding self-centered attitud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data on the nature of authentic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through confirming the structure of Koreans’ authenticity concepts.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존감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

        신재욱(Jae-Wook Shin),홍정순(Jung-Soon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및 자기구실 만들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34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실패공포, 자기구실 만들기, 학업지연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존감과는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존감, 자기구실 만들기의 완전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실패공포와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기구실 만들기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실패공포는 직접적으로 자기구실 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간접적으로 자존감을 낮추어 자기구실 만들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패공포는 자존감을 낮추고 자기구실 만들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접적으로 자기구실 만들기를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 fear of failur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348 colleg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model. Results First,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ly proscribed perfectionism, fear of failure, self-handicapp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whereas self-estee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of fear of fail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Conclusio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s been confirmed to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by indirectly lowering self-esteem and increasing self-handicapping. Whereas, Fear of failure directly affected self-handicapping which led to impac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y indirectly lowering self-esteem and increasing self-handicapping. Such increased self-handicapping affected directly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research and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20~30대 여성의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우울, 전위공격성의 관계: 자기침묵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손지빈(Jivin Son),홍정순(Jung-Soon Ho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우울 및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30대 여성 370명을 대상으로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 척도, 우울척도, 전위공격성 척도, 자기침묵 척도, 분노억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2.0,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자기침묵, 분노억제, 우울 및 전위공격성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분노억제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억제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and anger-in between perceived gender microaggres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participants were 370 women in 20s to 30s and they completed the online survey which measured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depression, displaced aggression, self-silencing and anger-in.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 among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depression, displaced aggression, self-silencing and anger-i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silencing arising from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was the complete medi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ger-in arising from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pression was the partial mediation. Forth, the self-silencing and anger-in show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and displaced aggression. Finall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원가족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주화윤 ( Ju Hwa Yun ),홍정순 ( Hong Jung So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원가족 애착표상,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원가족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원가족 애착표상(곽소현, 2005)’, ‘양육효능감(최형성, 정옥분, 2001)’, ‘유아의 자기조절력(이정란, 2003)’ 척도를 사용하여, 만 3-5세 자녀를 둔 부모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4쌍(아버지 124부, 어머니 124부)의 자료를 SPSS,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원가족 애착표상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상관관계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둘째, 어머니의 원가족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원가족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관련 변인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부, 모를 하나의 구조모형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부, 모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family of origin, parenting self-efficacy, child’s self-regulation, and to look into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elf-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child’s self-regulation. “parent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family of origin”, “parenting self-efficacy”,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used as criterion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for 124 parents.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and AMOS programs; the following is the main result. First, correlations of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family of origin, parenting selfefficacy, child’s self-regulation each showe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arenting self-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family of origin and child’s self-regul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of p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on family of origin and child’s self-regulation was not meaningfu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variables concerned with parents, examined father and mother inside one structural model to confirm relative influences of father and mother on children’s self-reg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격려를 통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은(Kim Kyeong),홍정순(Hong Jung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를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를 통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20세~39세의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불안, 자기격려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한 기간은 8월 14일부터 9월 1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순으로 검증하였으 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경향성 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자기격려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비교경향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매개효과가 자기격려에 의해 완화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was verified in early adults. To that end, 429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living in Gyeonggi-do and Seoul were administered fo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ocial anxiety, and self-encouragement. The period of time tha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was from August 14 to September 13.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based on SPSS Macro to analyze the mediated, moderated,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self-encouragemen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significant. That i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ends to affect social anxiety throu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se mediating effects have been confirmed to be mitigated by self-injury. Finally, suggestions on the significances, limitation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as described.er-centered education, even though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rather vaguely and diversely understood and interpreted among the practitioners in the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사용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

        황희진(Hwang Hee Jin),홍정순(Hong Jung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사용유형의 상호작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지역의 중학생 59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스마트폰 중독수준 척도, 스마트폰 사용유형 척도, 사회불안 척 도, 자기통제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한 기간은 2018년 3월 12일부터 3월 16일까지였다. 수거된 513부 중 스마트폰 이용동기,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실제 사용 시간을 모두 동일한 유형으로 표기된 308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에서 고위험군은 다른 군에 비해 대인불안, 수행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은 일반군에 비해 소극/회피적 대처와 공격적 대처를 많이 하며, 자기통제감, 학교수업적응이 낮았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검증에서 오락추구형은 다른 유형보다 학교생활적응 및 교사관계, 교우관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적극대처, 학교규칙적응이 낮았다. 학교수업에서 오락추구형, 관계추구형이 정보추구형보다 수업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사용유형의 상호작용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에서는 중독수준이 높아질수록 오락추구형이 관계추구형에 비해 수행불안, 공격적 대처가 많아지고, 교사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sychosocial charcateristic based on middle school sudent’s smart phone addiction level and usage type.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591 middle school students and measured smart phone addiction level, smart phone usage type, social anxiety, self-control, stress coping behavior,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nalysis of difference in psychosocial characteristic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usage typ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performance anxiety, aggressive measur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genera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However, when the students had higher smart phone addiction level, entertainment-seeking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 anxiety and aggressive measure while having lower score in relationship with teacher compared to relation-seeking grou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