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TRUCTURE OF THE TRINITY IN AUGUSTINE

        HAN Byung-Soo(한병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4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교리가 가진 독특성 즉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조에 대해 칼빈처럼 그의 교리를 따르는 인물들의 입장을 살피면서 논구한다. 이 교부의 삼위일체 교리는 중세, 종교개혁, 정통주의, 근세와 현대에 이르도록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나 그가 확립한 구조는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다. 심지어 아우구스티누스를 자신의 신학적인 전부라고 고백하며 이 교부의 삼위일체 교리를 계승한 칼빈의 삼위일체 교리 안에서도 교부의 독특성인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조에 대한 이해는 다소 미약하다. 교부는 삼위일체 하나님은 존재에 있어서 분리됨이 없이 그의 사역에 있어서도 분리됨이 없다는 이전 교부들의 전통을 계승한다. 그가 그런 전통 안에서 확립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조는 실체에 따른 이해와 위격적 관계에 따른 이해와 피조물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어 있다. 교부의 이러한 삼중적인 구조를 따라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해할 때에 하나님과 관련된 성경의 다양한 표현들을 구조적인 모순 없이 이해하고 설명하게 된다. 이런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구조는 제임스 어셔의 문헌에서 발견된다. 본 논문은 그가 정리한 교부의 구조를 참조하여 보다 면밀한 분석과 상세한 설명을 시도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structure of the Trinity, a most particular point of Augustine’s thought on the doctrine, in comparison with Calvin and in dialogue with his followers, like Ussher. Augustine’s doctrine of the Trinity has been influential to the medieval ages, Reformation and Orthodox eras, even up to now. His perceptive structure of the Trinity, however, has not been duly highlighted. Even Calvin, confessing Augustine as his theological wholeness, did not sufficiently pay attention to this structure of the Trinity. Augustine convoyed the faith of all the poius catholic fathers, that is,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s they are indivisible, so work indivisibly.” Augustine understood the Trinity in the tripartite structure; according to God Himself (secundum substantiam, ad se ipsum, secundum essentiam), according to the mutual relation (secundum relativum, ad unvicem atque ad alterutrum), and according to accident or creature (secundum accidens, ad creaturam). This structure is quite condusive to interpreting Scripture, especially, its abstruse texts seemingly contradictive and the unity of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James Ussher’s work shortly states Augustine’s structure of the Trinity, but this paper goes further by more minute analysis and more detailed explication.

      • KCI등재후보

        언약의 통일성

        한병수(Han Byung Soo)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1 No.-

        본 논문은 신구약 혹은 언약의 통일성을 논한다. 이런 주제와 관련하여 종교개혁 시대의 존 칼빈과 정통주의 시대의 사무엘 러더포드 견해를 비교하며, 종교개혁 시대와 정통주의 시대에도 언약의 통일성이 강조되어 왔음을 보이고 현대의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는 두 시대간의 극단적인 단절성에 대한 반례도 제공하려 한다. 언약의 통일성 개념은 종교개혁 당시의 칼빈에 의해서도 고백되어 왔고 이후의 정통주의 시대에도 보존되어 왔으나 언어의 미세한 차이를 보면서 각자가 처한 환경에서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의 차이로 인하여 강조점과 정교함의 정도가 달랐다. 당연히 종교개혁 신학과 정통주의 신학의 단절이나 대립은 최소한 칼빈과 러더포드 안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본 논문은 주장한다. 비록 러더포드 언약론에 법언약 혹은 국가적 언약의 통일성 개념이 추가되어 있지만 종교개혁 언약론의 통일성을 버리거나 왜곡하는 것은 전혀 없기에 러더포드 시대의 과제를 해소하는 고백적 경계선 안에서의 노력으로 이해함이 좋을 듯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unity of covenant or between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With regard to this issue, I intend in this paper to demonstrate, by comparing the views of John Calvin in Reformation era and of Samuel Rutherford in orthodox era, that the unity of covenant, as in the patristic and medieval ages, was also underscored in the eras of the Reformation and orthodoxy, thereby providing an evidence in opposition to the assertation of some contemporary scholars that there is a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eras. With the case of Calvin and Rutherford,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indeed, a difference in emphasis of covenantal character between the eras, not in essence of their understanding of covenant.

      • KCI등재

        루터의 율법과 복음: 유언적 관점에서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3 No.-

        본 논문은 율법과 복음의 구분에 대한 루터의 이해를 논구한다. 이에 대해서는 세 가지의 접근법 즉 원리적 기능적 구분, 연대기적 문헌적 구분, 그리고 유언적 구분이 가능하다. 루터는 율법과 복음의 구분이 성경 전체를 바르게 이해하는 신학의 총화이며, 그렇기 때문에기독교 진리의 이해를 위한 최상의 항목이며, 성경의 박사가 되는 시금석이 되며, 나아가 교황주의 및 분파주의 인물들의 본질적인 오류를극복하는 방편이며, 진실한 보편적 신학을 보존하는 열쇠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루터 자신의 진술에서 율법과 복음의 구분이 루터의 신학전체를 관통할 것이라는 사실은 쉽게 이해된다. 본 논문은 이것을 이해하기 위한 홀과 에벨링과 프로이스 및 하겐이 제시한 다양한 관점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율법과 복음이 루터 안에서 어떻게 구별되고있는지를 보다 충분하게 설명하기 위해 “유언적 접근법”을 취하였다. 먼저 율법과 복음의 이중적인 구분법을 소개한 이후에 유언적 접근법을 진술하되 위한 첫번째 단계로 “유언”을 “약속”과 “계약”과 “언약”과 구분하고 이 용어들이 서로 통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언자가죽어야 한다는 유언의 본질에 의해서 구분됨을 논하였다. 이 유언의본질은 율법과 복음의 구분에 있어서 유언자의 죽음이 유언의 유효성을 낳는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요소였다. 그리고 유언의 요소들을 일별했다. 유언은 유언자인 하나님과, 중보자인 그리스도 예수와, 유언의 대상인 택자와, 유언의 증언자인 성령과 유언수납 방식인 믿음과, 유언의 유산인 하나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언의 개념에 입각하여 율법과 복음의 유언적 구분을 시도했다. 율법은 유언이며 하나님이 비록 이 유언의 저자시나 죽음이 없는 천사라는 중보자를 통해모세에게 주어졌기 때문에 유언의 효력 혹은 그리스도 예수라는 상속물을 인간에게 제공하지 못하지만, 복음은 유언이며 하나님이 저자시며 육신으로 오셔서 죽으신 그리스도 예수가 중보자며 영원 전 택자에게 주어진 것이며 성령의 증언과 믿음의 들음으로 그 유언이 전달되고그 효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이것이 유언적 관점에 입각한 율법과 복음의 구분에 대한 루터의 이해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Luther`s approach to this issue may be explained by principle or functional perspective, chronological or documentary perspective, and testamental perspective. Luther is convinced that to know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is the summa of theology to properly understand Scripture, the supreme article for the knowledge of Christian truth, a cornerstone to be the doctor of Scrirpture, and a key for the preservation of true catholic theology. From this, it is obvious that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penetrates Luther`s theology. To see Luther`s view on the distinction, this article takes a testamental perspective in which Luther regards testamentum as the covenant between God and the elect, God as the Testator of testamentum, Jesus Christ as the Mediator of testamentum, the elect as the object of testamentum, Holy Spirit as the Witness of testamentum, faith as the means to receive testamentum, God himself as the legacy of testamentum. From this perspective, Law is the testamentum originated by God but given to Moses through angels who are immortal, accordingly having no validity of testamentum and no legacy, but Gospel is testamentum originated by God given to the elect by means of Spirit`s testimony and their faith through Christ who in flesh became mortal and consequently validates testamentum by his death and thereby gives himself as the legacy of testamentum to the elect. This is the summary of Luther`s testamental perspective on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Gospel.

      • KCI등재

        아만두스 폴라누스 교의학의 신학적 구조

        한병수(Byung Soo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본 논문은 아만두스 폴라누스 교의학의 신학적 구조를 소개하며 종교개혁 시대와 정통주의 시대의 관계성에 대한 오해들 중의 하나인 신학의 철학적 변질 문제를 해명한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종교개혁 신학은 성경적, 인문학적, 실천적, 수사학적, 후험적, 그리스도 중심적인 특징을 가졌으나 종교개혁 이후의 정통주의 신학은 합리론의 영향으로 철학적, 스콜라적, 이론적, 논리적, 선험적, 예정론 중심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둘 사이의 신학적 이질성과 단절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17세기 초반에 개혁주의 신학의 교의학적 체계를 가장 높은 차원까지 끌어올린 바젤의 신학자 아만두스 폴라누스(Amandus Polanus, 1561–1610) 역시 이러한 신학적 이질성과 단절의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바르트, 파울렌바흐, 그리고 딜은 폴라누스 신학이 철학의 영향으로 인해 종교개혁 신학을 떠났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폴라누스 신학의 면밀한 검토는 이러한 주장들의 증거력이 1차 문헌과 그 시대의 일반적인 학풍에 기반하지 않았다는 인상을 제공한다. 폴라누스 저작들은 그가 “성경의 증거”와 “모든 사람들의 보편적 동의”와 “교회의 증거”와 “참된 이성”을 순서대로 존중하되 신학의 내용에 있어서는 언제나 성경의 증거과 교회의 건강한 전통에 자신의 신학 전체를 의탁하고 있음을 증거한다. 비록 신학적 체계를 세움에 있어서 철학의 방법론적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이 각 교리의 신학적인 결론에 영향을 준 경우는 거의 발견하지 못한다. 오히려 교리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정교한 틀에 담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함이 더 타당하다. 나아가 모든 교리들을 하나의 거대한 도표에 담아 교리들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파악하게 함으로써 교리의 단편적인 혹은 단절적인 이해의 취약점도 극복하게 한다. 즉 폴라누스 같은 종교개혁 이후 세대의 교의학은 비록 철학적인 도구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왕성하게 활용하긴 하였지만 그것이 신학적 변질을 초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개혁 신학의 보다 온전하고 체계적인 수용과 계승을 견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고려 속에서 본 논문은 특별히 폴라누스 교의학의 삼중적인 신학적 구조, 즉 우리의 신학과 신학의 원리와 신학의 구조를 다루되 종교개혁 신학과 종교개혁 이후의 정통주의 신학 사이에 교리적 단절과 괴리가 있다는 주장을 반박하되 정통주의 신학의 교리적 체계화와 구조적 통합화는 종교개혁 신학과의 결별이나 이탈이 아니라 종교개혁 인물들이 확립한 계시 중심적인, 성경 의존적인 신학의 체계적인 보존과 발전적인 통합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xposition of misunderstanding in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Reformation theology and Reformed orthodox theology by digging into the theological structure of Amandus Polanus.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re had emerged many scholars who argued the difference and discontinuity between Reformation theology and Protestant orthodox theology: the former was characterized as biblical, humanistic, practical, rhetorical, a posteriori, and Christocentric, while the latter was characterized as philosophical, scholastic, theoretical, logical, a priori, and predestinational. Also charged of this argument was Polanus who established a most developed system of Reformed theology in the seventeenth century. Barth, Paulenbach, and Deal criticized Polanus for departing Reformation theology on account of depending theology on philosophy, especially, Aristotelian logic. A close examination on Polanus’ primary sources, however, shows that he, indeed, used philosophy both Aristotelian and Ramist but did not sacrafice theological doctrines as a result of basing theology on philosophy with respect to doctrinal content, rather grounding his theology on Scripture, the universal content of all people, church’s witness, and true reason. Many tables of theological distinctions as provided in his writings enable the readers to grasp a grand picture of theology by which they can perceive the theolog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doctrines so that a partial or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each doctrine may be overcame by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whole theological system. Examining Polanus’ theological structure and contending the argument that there is a doctrinal discontinuity and gap between Reformation and post–Reformation eras, this paper intends to argue that the doctrinal systematization and structural unification of Reformed orthodoxy is not the departure from Reformation theology but a result of methodical effort for the systemic preservation of revelation–centered, scripture–dependent theology already established by the Reformers.

      • 교회의 통일성: 루터의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5 조직신학연구 Vol.23 No.-

        본 논문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의 통일적인 이해를 연구한다. 기존의 루터 학자들은 루터의 교회론을 하나의 특정한 주제와 결부시켜 이해했다. 물론 루터의 교회론은 성찬론과 이신칭의 교리와 거룩함과 하나님의 말씀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 중에 하나와 교회의 본질을 결부시켜 이해하면, 오히려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 자신의 포괄적인 이해가 희석된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는 방법은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루터의 교회론을 하나님의 뜻과 예정, 신앙, 성령, 성도, 그리스도, 복음에 대한 루터의 이해와 연관시켜 논구한다. 본 논문이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의 생각을 포괄적인 방식으로 연구하는 이유는 루터 자신이 교회의 본질을 이러한 여러 주제들과 결부시켜 논구하고 있기에, “새로운 피조물 전체”(tota nova creatura), “하나님의 백성”(polulus Dei), “의인들의 연합”(communio iustae), “신자들의 연합”(communio fideles), “성도들의 연합”(communio sanctorum), “택자들의 연합”(communio electi)이라는 루터 자신의 다양한 표현들에 근거하여 루터가 생각하는 교회는 오직 하나님께 속한 백성이며,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은 참여할수 없는 신자들의 연합이며, 거룩하지 않은 자들은 참여할 수 없는 성도들의 연합이며, 하나님의 기뻐하신 뜻 이외에 인간의 노력이나 공로를 비롯한 이 땅에서의 다른 어떠한 것에도 기초하지 않은 택자들의 연합이며, 이 땅에서 거듭나지 않은 어떠한 자도 참여할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피조물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Luther’s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 Church in interrelation to other common doctrines. The previous scholarship on this issue tends to, focusing one specific aspect of Luther’s ecclesiology, present the partial observation of his view on the nature of the church, particularly in reference to either of sacraments, justification and God’s Word. But this approach could, and indeed did, cause the full picture of Luther’s ecclesiology to be distorted, or maybe unconsciously neglected. A solution to overcome the weakness of each of those sacramental, justificational, and Christological approaches is the integrative approach in which the paper deals with Luther’s integrative view on the nature of the church in doctrinal connection with Christ, faith, Holy Spirit, and Predestination. Upon this approach,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church, to Luther’s eye, is tota nova creatura, polulus Dei, communio iustae, communio fideles, communio sanctorum, and communio electi.

      • KCI등재후보

        슐라이어마허의 철학적 해석학과 기독교적 적용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5 기독교철학 Vol.20 No.-

        이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일반 해석학과 그것의 기독교적 적용을 논한다. 그의 해석학 이해는 간단하지 않다. 변증학과 문법과 수사학과 기독교 신학이 그의 해석학과 얽혀 있어서다. 보다 구체적인 이유는 일반성과 특수성, 문법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부분과 전체, 차이와 일치,언어와 사고, 비교적인 것과 예언적인 것, 내용과 형식, 경험과 사색 사이에 선명한 구분선을 그릴 수 없고 오히려 그것들이 서로 선순환적 영향을 교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은 언급된 다양한 학문들과 개념들의 종합적인 이해 없이는 오해되고 만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그래서 그의 해석학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그리고 그렇게 이해된 그의 해석학이 성경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슐라이어마허는 성경의 영감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해석학에 있어서는 성경의 영감성과 성령의 조명 혹은 내적인 증거와 해석의 도구적인 원리로서 믿음이 언급되지 않는다. 개신교의 역사적인 성경 해석학의 도식과는 다른 접근법을 시도한다. This paper deals with Schleiermacher’s general hermeneutics and its biblical application. The reason for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chleiermacher’s hermeneutics interrelated to dialectics, grammar, rhetoric, and Christian theology, is because his hermeneutics does not allow the strict dichotomy of the general and the special, or of the grammatical and the psychological, of the part and the whole, of difference and unity, of language and thought, of comparative and prophetic, of content and form, or of experience and speculation, but rather embraces the mutual relationship and reciprocation among them. Unless we make an interdisciplinary examination of mutual relationship among those aforesaid academic areas, thus, a biased understanding of his hermeneutics would be inevitable. Thus,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 synthetic analysis of Schleiermach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in order to see its applic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Holy Scripture. Scheiermacher, though approving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in Scripture, still asserts that the text of Holy Scriptur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as all other writings, an assertion that seems not to edify the historic Protestant hermeneutics of Scripture.

      • KCI등재

        우연과 섭리 -개혁주의 관점에 대한 고찰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0 No.-

        본 논문은 하나님의 섭리와 우연 혹은 운명의 관계성을 개혁주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개혁주의 교회는 하나님을 무에서 존재로 부르시는 단회적인 창조의 일시적인 주체만이 아니라 창조의 지속적인 보존과 주권적인 통치의 주체로도 생각하는 포괄적인 섭리론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를 벗어나는 어떠한 존재도 없고 어떠한 사건도 없고 어떠한 사태도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맥락에서 개혁주의 신학에는 당연히 우연이나 운명이란 개념이 들어설신학적 빈공간은 없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차적인 원인들의 본성에 따른 자유나 우연적인 일들에 대해서도 그런 현상 자체의 실존을 부정하진 않았다. 다만 우연이나 운명처럼 보이는 것들이 실제로는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의 머리로는 추적되지 않도록 은밀하고 오묘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외관상 우연인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하였다. 즉이차적인 원인들의 자유와 우연성의 실존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이에 본 논문은 특별히 존 칼빈을 비롯하여 개혁주의 전통의 형성과 발전에 적잖게 공헌한 아만두스 폴라누스(Amandus Polanus), 윌리엄 트위스(William Twisse) 및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그리고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의 섭리론을 다루면서 앞서 언급한 우연과 섭리에 대한 종교개혁 및 정통주의 시대의 개혁주의 입장을 고찰하며 그것에 얽힌 오해를 해소하려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chance and divine providence from Reformed perspective, examining the thoughts of Calvin, Polanus, Twisse, and Turretin on the issue. The Reformed thinkers, including Calvin, did not allow any pagan concept of “fate” or “chance” to invade the Christian truth. For them, those happenings that have seemingly free and contingent causality must be the actualization of God’s infallible decree done in a mysteri- ous way. According to Calvin in particular, all things, such as plans, wills, efforts, and powers of humans, good or evil, are under God’s unfathomable counsel so that there is nothing that happens by chance. He, however, made great effort not to ascribe the sub- stance and responsibility of evil to God. After Calvin, the Refor- med orthodox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ook the term “fatum Christianum” to describe the mysterious things and events having causes unknown to human sight and meeting the need of accurate reasoning in their age. In order to exposit the rela- tionship of God’s providence and human freedom, they emplo- yed several distinctions: physical and internal necessity, necessi- ty of coaction, and necessity of hypothetical event or dependence; necessity of the contingent and necessity of contingency; and ab- solute necessity and relative necessity. Their assumption and intro- duction of those philosophical distinctions to Reformed theology did not result in the rhetorical abuse or an idle ideological argu- ment, much more not pointing to the academic decadence of truth or departure from Reformation theology. In the mater of divine providence, they aimed neither to go beyond the limit that Scrip- ture draws nor to be silent of whatever Scripture says so that the Reformed view of divine providence may not be endorsed by hu- man discerning but by the testimony of Scripture.

      • KCI등재후보

        도덕과 하나님의 칸트적 우선순위

        한병수 ( Byung Soo Ha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2 기독교철학 Vol.15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ority between God and morality in Kant`s mind. A careful examination on Kant`s works would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for Kant, God is prior to morality in an epistemological sense, while morality is prior to God in an ontological sense. There is not found a conceptual conflict between these two kinds of priority between God and morality in Kant but rather a delicate harmony.

      • KCI등재

        언약의 교부적 통일성

        한병수 ( Byung Soo Ha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ACTS 신학저널 Vol.23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atristic thought on the unity of covenant. Against the Jewish emphasis on the uniqueness of God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Marcionist canonization that, removing the Old Testament and contents related to it, highlighted the superiority of benevolent God in the New Testament, who sent us Christ, to the righteous God in the Old Testament, the pious church fathers, acknowledging the accidental difference of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argued the substantial unity of divine covenant or Testament on the basis of the whole Scriptureby declaring that there is one and the same God as the unique author of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that Jesus Christ is the substance of the two Testaments; and that the same reward of the two Testaments is God the Trinity as summum bonum given to believers through the same faith. The church fathers, thus, conclud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substance between the Old and the New Testaments, but in accident, that is, the degree of perspicuity in revelation and of abundancy in grace. This is the theme of this article.

      • KCI등재

        지향성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와 후설의 이해

        한병수 ( Byung-soo Ha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이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와 후설의 사상에 나타난 지향성의 인식론적 교리를 논구한다. 의식이 선험적으로 무언가를 향한다는 지향성 교리는 존재에 대한 객관적인 의식과 지식이 가능한 것인지를 가늠하는 시금석과 같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 의식의 본질적인 속성인 이 지향성 때문에 사물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에 이를 수 없다고 주장하고 후설은 그러한 교부의 주장을 거부한다. 후설은 오히려 지향성 개념을 가지고 인간이 객관적인 진리에 도달하되 그 주체는 순수한 자아라고 주장한다. 자아의 순수성을 부정하는 아우구스티누스는 지향성이 인간의 의식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태생적인 주범이며 인간의 가장 심각한 비극은 무엇을 하든지 자신을 향한다는 사실에 있다고 강조한다. 나아가 교부는 정신적인 활동의 중추인 영혼의 의지와 이 지향성이 결부되어 있어서 영혼의 의지가 부패하면 지향성도 그 부패성에 물든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후설은 지향성이 자아의 의식과 결부되어 있고 자아가 순수하면 얼마든지 진리의 객관적인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이 논문은 교부의 주장이 후설의 주장보다 합당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인 지식이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pistemological doctrine of intentionality as differently seen in Augustine and Husserl. The doctrine of intentionality i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ive consciousness and knowledge of a being is possible. Augustine asserts that we are unable to objectively recognize an object itself because of intentionality, the essential property of human consciousness, but Husserl opposes his assertion. Whereas Husserl appeals the pure Ego to reach at the truth of pure objectivity with the notion of intentionality, Augustine emphasizes that intentionality is the primordial cause of the error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reof the most miserable nature of human being is to direct toward himself (Ego), whatever he does. Augustine’s intentional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will of the soul, to which the whole of mental activities, especially consciousness, are subordinate. Henceforth, if the will of the soul itself is depraved, all human activities are under the reign of error. For Husserl, however, the notion of intentionality is connec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Ego and thence human being can be in touch with the objective knowledge of an object as truth, which Augustine ascribes to God alone. In conclusion, this paper embraces Augustine’s view of intentionality as the pivotal factor, on whose account human beings cannot get the objective knowledge of God and creatures, without the aid of Scripture and the illumination of Holy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