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의 장애학생 편의시설 실태 및 향후 방향에 관한 연구

        조홍중(Cho Hong Joong),강수균(Kang Soo Kyoon) 한국재활과학회 2005 難聽과 言語障碍 Vol.28 No.1

          Since building structure and walking facilities in a road are generally designed for the non-disabled, they become an physical obstacle to the disabled"s movement and activity. It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lack of life environment which restricts the disabled"s activity and establish the disabled"s right of access in order for them to fully participate and be integrated as a social member.<BR>  In the improvement of the access to social environment, excluding or discriminating the disabled is to restrict the disabled"s right of happiness in the dignity of man. Establishing the disabled"s right of acces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s the most fundamental condition and necessary matter for them to participate and be integrated in society.<BR>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order for college to establish disabled students" right of learning through improving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building convenient facilities.<BR>  According to this study, college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phys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disabled students and thereby disabled students" right to access has been restricted in several sides. Thus, college must improve lack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restricts disabled students" activity, and guarantee their right of learning through administrative support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s for disabled students to fully participate and be integrated as a social member.

      • KCI등재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특수교육보조인력 업무와 명칭에 관한 인식

        조홍중(Hong-Joong Cho),전리상(Lee-Sang Chon)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인력’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보조인력’의 업무와 명칭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개 시·군의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들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48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비율분석, 기술적 통계분석, t-검정 등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분석을 위해 SPSS WIN 18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관해서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육실무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위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이 하지 않아야 할 업무’에 있어서 수업, 학생지도, 평가, 상담, 행정 등에 있어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있어서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육보조인력’, ‘특수교육실무사’, ‘특수교육실무원’ 등의 명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교육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 ‘특수교육보조인력’ 업무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동시에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각 교육청 간의 상이한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명칭 통일의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gnition about the roles and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ides. To achieve the study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ides in eight cities and counties. Of the questionnaires returned, unfaithful responses were excluded and 148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d ratio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The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for gender-specific cogn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between special education assistant and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 Second, for position-specific cogn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Third, for roles a special education aide should not do,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student guidance, evaluation, counseling, and administration. Forth, for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 special education aide,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 and special education worker. Base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finitely understan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aide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Moreover, further researches on the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should be conducted to suggest the grounds on the united naming of special education aide which is different between educational offices.

      • KCI등재

        肢體不自由敎育師の資質及び能力に関する硏究

        趙洪仲(Cho Hong Joong) 한국재활심리학회 2000 재활심리연구 Vol.7 No.1

        교사의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는 외적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견해로 주로 양성이나 연수제도가 강조되고 있다. 둘째는 내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견해로써 직무에 관한 만족도이다. 한국의 지체부자유교육 교사의 자질 및 능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교육 교사의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에 대해서 교사는 인격적 요인과 지적요인 및 심리 및 생리적 요인 즉, 내적인 요인을 중시하고 있었지만 관리직교사는 행정적 요인과 학교 환경적 요인 및 학습의 장의 요인 즉, 외적인 요인이 지체부자유교육의 자질 및 능력 형성 요인으로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인격적인 요인에서는 협조성의 요인이 보다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으로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실제의 자질 및 능력형성의 영향의 정도에 대해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보였다. 지적요인에서는 문제해결 능력의 요인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실제의 자질 및 능력형성의 영향의 정도에 대해에도 같은 경향이 보였다. 심리 생리적인 요인에서는 표현력의 요인이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으로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실제의 자질 및 능력형성의 영향 정도에 대해에는 체력이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으로서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자질 및 능력의 형성요인의 중요도와 영향의 정도에 대해서는 전요인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을수록 영향의 정도도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협조성에 대해에서는 강한 상관이, 학내직위, 자격연수, 표현력은 약한 상관이 보였다. 그 외의 항목에 대해서는 중정도의 상관이 보였다. 육아의 경험에 대해서는 거의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지체부자유교육교사의 자질 및 능력의 저해요인에 대해 젊은 교사군(20대)은 불충분한 교육, 학급설비의 부족이 큰 저해요인으로 인식하였고, 중견교사(30대)와 베테랑교사(40대이상)는 장애의 중증화, 성공의 결여의 요인이 큰 저해요인으로 인식하였다. 즉, 이질적인 학급집단의 요인에 관해서 교직경력이 길수록 큰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였고, 불충분한 교육, 연구기회의 부족의 요인에 관해서는 교직경험이 짧을수록 큰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였다. 성별에 의한 저해요인은 성공의 결여, 열악한 학교조직, 사회의 편견에 대해에서는 남성교사와 여성교사가 동시에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급료에 대해서는 여성교사보다 남성교사가 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관리직교사는 이질적인 학급집단, 사회의 편견이 큰 저해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그 외 선행연구(Herwig Baier)에서는 부모의 이해부족이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한국의 지체부자유교육교사의 경우 성공의 결여가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전문능력에 관한 연구

        조홍중(Cho Hong Joong),나원자(Na Won Ja) 한국재활심리학회 2001 재활심리연구 Vol.8 No.1

        Disabled children s integrated educ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Childhood is proper time in integrating because special children and normal differ little in the light of development at this period. Accordingly, the most important, preschool teachers with competence to take charge in early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should be improved to promot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employ, and train good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such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competence needed to preschool teachers in Korea where early integrated education has been encouraged recently, its actual conditions, and obstacle factors to its development, using self-assessment and others assessment such as the head of preschool. This study selected 139 teachers and heads of preschool in Seoul and Incheon to conduct research. The findings of obstacle factors to development of competence indicates that new teachers were most affected by lack of parents understanding and lack of time ; medium teachers by miscellaneous business other than class , lack of parents understanding , and poor pay and senior by lack of in-service training . To promote preschool teachers competence, such obstacle factors as lack of parents understanding , lack of time , miscellaneous business other than class , and poor pay should be removed.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urriculum in order to acquire knowledge of understanding disability in field as well as training education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in-service training in fiel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의 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조홍중 ( Hong Joong Cho ),강수균 ( Soo Kyoon Kang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With complicated and diverse society these days, the information about sexuality is flooded and many behavior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sexual desire are on the rise as a social problem. Since sexuality has been regarded shameful in Korea, making it public has been tabooed and this traditional idea has swayed society.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idea was formed through social convention that considers sex as the subject of inhibition and control, leading to exclusive culture about sex traditionally. Even such a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has affected the whole curricula in school. Because of thi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the emphasis on the need of sex education in school has difficulty in practice. Human being`s sexuality includes a variety of aspects: reproduction which leaves offspring; and pleasure, sociality, and mentality which satisfy sexual desire. The sex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 is the course of instructing the matter of reproduction and sexual behavior and delivering the moral value of sex.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about how the course is achieved according to researchers. This study examines that how we see sex education as a part of huma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Western countries and discusses the sex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생의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

        김일명 ( Il Myeong Kim ),조홍중 ( Hong Joong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지체부자유란 이동장애이다. 이동장애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자를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지체부자유 학생은 이동장애인으로 학교생활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특수교육 보조원 및 장애인 활동 도우미 등 특수교육 분야 및 장애인 복지 분야에서 관련 서비스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지체부자유 학생이 느끼고 있는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광주.전남 지역의 지체부자유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보조원의 능력 및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인식은「생활지도 보조」가57.2%로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은「수업보조」로56.6%, 그리고「사무처리 보조」의 50.0% 순으로 나타났다. 성차에 대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3개 하위 영역 모두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능력에 대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인식은「특수교육에 대한 지식」이 59.0%로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한 능력은 「치료교육에 대한 지식」으로 55.4%, 그리고 마지막으로「일반교육에 대한 지식」이 52.4% 순으로 나타났다. 성차에 대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3개 하위 영역 모두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에 대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인식은「학생요인」이 52.4%로 가장 중요한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한 능력형성의 저해요인은「교사요인」으로 50.6%, 「제도요인」이 50.0% 순으로 나타났다. 성차에 대해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3개 하위 영역에 모두 중요한 저해요인으로 인식하였다. Physical disabilities mean mobility disabilities. Mobility disabled people refer to ones who cannot move safely and efficiently without stress. In this sense,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are mobility disabled people who need many helps during their schoo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bility and rol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perceived by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under the situation of service expansion in the special education and welfare fields for disabled people including assistants for special education or disabled people``s activity. 166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residing in the Jeonnam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at explored the ability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perception by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on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as analyzed. The most important role perceived by students was「assistance in life guidance」(57.2%), followed by「assistance in school lessons」(56.6%), and「assistance in business management」(50.0%). For sex difference, female students perceived these three subare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perception by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on the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as analyzed. The most important ability perceived by students was「knowledge on special education」(59.0%), followed by 「knowledge on therapy education」(55.4%), and「knowledge on general education」(52.4%). For sex difference, female students perceived these three subare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perception by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on the hindrance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bility was analyzed. The most important hindrance factor perceived by students was 「student」(52.4%), followed by「teacher」(50.6%), and「system」(50.0%). For sex difference, female students perceived these three subare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