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전형 대학입시와 사교육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형정(Cho, Hyung-Jung),윤지영(Yoon, Ji-young),김기덕(Kim, Gi-du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의 천안ㆍ아산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이 입학사정관 전형의 입시를 준비하며 경험하는 사교육 실태와 공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과 관련된 사교육 영향요소를 분명히 밝힘으로서 사교육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공교육의 정상화하고자 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언을 마련하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교사와 학생은 자기소개서와 심층면접과 같이 입학사정관 전형의 중요 요소를 인식하고는 있으나 공교육에서는 이와 관련한 수업이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생은 대부분 입학사정관 전형을 질적으로 다른 유형의 입시전형이라고 간주하기 보다는 기존의 입시전형과 유사한 또 하나의 입시 전형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이들은 입학사정관 전형의 성패는 성적이나 심층면접에서 평가하는 학업능력이 합격의 당락에 가장 크게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공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입학사정관 전형이 본래의 취지에 적합하게 운용되고 정착될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대학별 전형 목적과 입학사정관 전형 목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비교과성적에 대한 평가가 객관적으로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입시요소에 대한 사교육 유발요인이 커지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1차 서류면접에서 내신과 수능성적 등 전통적 입시의 평가요소를 어떻게 입학사정관 전형에 반영할 것인가에 관한 심화된 고려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학생의 소질과 인성을 보다 자연스러우면서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면접의 형식과 내용을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ith selected students and teachers of several high schools in Cheonan and Asan of Southern Chungcheong Provinc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private education out of school.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applying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rdly see the need for private education. It is mainly becaus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t best viewed by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as a variation of current university admission system. Quite incorrectly, they view the national scholastic aptitude test as a leading factor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ccurate test methods is in high order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직교과 수업의 사례 연구

        조형정(Hyung Jung Cho),권회림(Hoilym Kw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It particularly intends to focus on the potential of the course using PBL as well as the change in learner’s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through the student’s daily study log. The subjects of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38 university students from S university enrolled in a cours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for a period of 15 week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PBL activity papers, self-reflection diary, and answers from the class evaluation.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class as well as school violence after the student took the PBL applied cla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Class evaluation results were categorized to positive evaluation and request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PBL applied cours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The perception change of the learner was categorized in to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school violence,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teachers personality(quality), and a change of perception towards the cla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Each individual learner’s perception has changed to a more mature and developmental status, and the experience has been effective in reestablishing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role of a teacher.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in that it has identified that PBL used in cours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has positively altered the attitude of prospective teachers.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방법을 적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직교과의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PBL를 활용한 활동과정을 통해 본 교과의 가능성과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학습자의 인식변화를 성찰일지를 바탕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대학교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수업을 수강하는 38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15주간 수업을 운영하였다. 분석 자료는 PBL 활동지, 성찰일지, 수업 평가 내용을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을 활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수업을 수강한 후 본 수업에 대한 평가와 학습자의 인식변화를 도출하였다. 수업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면과 요구사항으로 분류하여 PBL을 적용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인식변화는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교과에 대한 인식변화, 학교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변화, 교사의 태도에 대한 인식변화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인식은 성숙하고 발전된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예비교사로서의 자세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PBL을 활용한 학교폭력관련 수업은 학교폭력에 관한 예비교사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본 사례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외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 현황 비교 분석

        조형정(Cho, Hyung Jung),김명랑(Kim, Myounglang),엄미리(Eom, Miri)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각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과 국외의 사례들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교수학습센터의 위상에 대한 재고 및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이를 위해 국내 52개 대학과 국외 28개 대학(미국,캐나다,호주)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국내 5개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 대한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국내 교수학습센터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교수,학습,이러닝, 교수매체 영역으로 구분되었고,국외는 교수,학습,측정평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프로그램 운영의 가장 큰 범주적 차이점으로는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활성화 된 반면,국외의 경우 강의,교수자,프로그램 평가 등 측정 및 평가 부분을 중요한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외에 국내외 프로그램의 공통점으로는 인적 자원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주제로 교수법(학습법)워크숍 및 세미나를 실시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강의촬영 및 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교수법 개선 및 향상을 도모하는 공통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studyexaminestheimplicationstoimproveteachingand learning center’sprogram from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untry’s case. To analyze program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52 universities in Korea and 28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USA, Canada,and Australia) were selected and their centers’Websites are reviewed. In addition, 5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in Korea were inspected directly. The results were found that main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in Korea were categorized by ‘teaching’, ‘learning’,‘e-Learning’,and ‘instructionalmedia’fields.Cases offoreign countries,main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teaching’,‘learning’,and ‘measurement and evaluation’fields. The main differences of program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untry, cases of Korean focused on program toactualizeICT,howevercasesofforeign wereconcentrated on program to measure and evaluate professors,students,and courses.In addition,thereispresented thatboth ofKorean and offoreign countries offered program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qualities such as ‘workshop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consulting and picture-takingon lecture’.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 역량 간 관계에서 자기관리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조형정(Hyung Jung Cho),윤지영(Ji young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manag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college students. Also, this study is confirmed to differ in mediating model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study, the mediating model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competency is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struct equivalence 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in mediating model. The path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male and female groups and between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Therefore, the mediation model was supported the partial medication mod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ath between self-confidence and self-man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group. Also the path between self-confid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group. That is, male and female groups are differed to path the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Based on ther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olleges decide to set up education course which is factors having a relevance to core competencies like self-efficac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대인관계 역량 간 관계에서 자기관리역량의 매개 효과를 변인 간 관계가 성별 간 차이를 보이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는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 역량은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성별 간 다집단 검증 결과, 형태동일성 검증은 만족하였으나, 측정동일성 검증은 기각되어 두 집단 간 경로는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아조절효능감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관리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남, 녀 집단이 동일하나 남자의 경우 자신감이 자기관리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인관계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수 있으며,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립과 성별 특성을 감안한 핵심역량증진 접근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 고학년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형정(Cho Hyung Jung),윤지영(Yoon Ji 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1

        본 연구는 아동ㆍ청소년 패널의 종단조사모형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초등 고학년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이외 개인 내적요인, 부모 요인, 학교 및 환경요인들이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그 결과, 내적 변인으로는 건강, 성적,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교우 간 신뢰, 부모 요인으로는 부모가 보이는 방임적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및 환경요인으로 교사와의 관계, 지역사회 인식, 다문화의 수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초등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학교교육프로그램의 재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과 사회에서는 인성교육의 확대를 위한 수용적, 민주적 태도의 양육 및 지원태도를 지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 of life satisfac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ersonal, parent, school, and surrounding factors. As a result, health, grade,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among friend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inner source of changes. Rearing attitudes from parents that letting their child alone were effecting to the lik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lly, it was clarifi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understanding the community, and admitting of multi-culture were the effecting cause of school and surroundings.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n effort from school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e-programming the school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s and society should have keeping the generous, democracy attitudes on parenting and support to extend th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과정 설계와 분석 틀로써의 활동이론

        김종백(Kim Jong Baeg),조형정(Cho Hyung J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Activity theory was accomplished from studies on the condition that learners" talent are developed through learning activity. From the theory, we can get implications on instruction-learning design as analyzing structure of learning activity based on activity theory. Especially, for developing innate potential of the gifted, educators must confirm and inquiry interaction between factors in associated with all activity. The same activity can be view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bject"s various points of view and components of this activity system also have differences based on various factors. Therefore, in case of learning activities of the gifted, respective case might be special and important.<BR>  So when researchers and educators pl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gifted, they have to realize and reflect that what instrumental medium can be advanced cognitive ability of the gifted and that is the core which instrument is most pertinent to which learning situation. Activity theory provides a viewpoint that learning or activity means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interactions and factors. Consequently, analysis and specific application on learning activity based activity theory need to be renewed discussion to gifted education as well as common education environment.   학습활동을 통해 형성되는 학습자의 재능은 자연적인 상황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활동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규정이 되는데 이와 같은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영재교육의 틀이 필요하며 연구자들은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이 그러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본 연구를 통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활동이론은 전통적인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학습환경과 학습자를 구분하여 소외시키는 입장을 비판하고 학습활동을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고자 함으로써 구체적인 상황과 결부된 학습활동과 일반적인 교수-학습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고정된 능력의 관점에서 보는 영재성을 탈피하고 Vygotsky(1978)가 주장했듯이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미래의 잠재 영재에 초점을 두고 교실수업 실천가들과 함께 개별 교육 상황들에게 작동되는 모든 활동관련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들의 확인과 탐색을 유기적으로 관련짓도록 강조한다. 활동이론이 제시하는 통합적인 관점은 단순히 학습활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대상물을 변형하고 그 변형된 대상물을 통해서 학습목표를 성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개별적 학습 상황속에서 도구의 매개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영재아들을 위해서 이러한 지식이 적용되는 개별 학습 상황의 체험적 지각과 물리적 혹은 정신적 도구의 활용 또한 고차원적인 사고기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활동이론은 영재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 및 다른 전문가들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고 이것은 학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서 학습활동을 촉진하고 문제의식을 고양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기여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이론의 영재교육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제안점을 주로 수업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