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 및 개정 절차 분석

        조덕주(Cho Duk 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2

        We have many informations about education of Japan, but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vision and revision proced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the history of curriculum revision, analyzing the revision procedure of Japan, and providing meaningful suggestions on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curriculum in Japan has the status of standards which should be kept by whole regions and schools in this country, and MEXT(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has delegated it's power of curriculum control to regions and schools, but sometimes, it reinforce it's power for controlling over regions and schools,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the worships to the national flag and song. Second, the revision procedure is identified as follows; 1) propose of the revision by MEXT, 2) research by the curriculum committee which is organized by MEXT, 3) submission tthe mid-term report by the curriculum committee, 4) submission the final report by the curriculum committee, 5) the notification by MEXT. 지금까지 일본의 교육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일본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 및 개정의 절차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행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후 일본 교육과정 개정 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추출함과 동시에, 현재 일본의 교육과정이 어떠한 절차를 거쳐 개정되고 있는가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줄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적 기준의 성격을 갖고 있되 국가 교육과정 통제권한의 부분적 강화와 부분적 약화라는 역사적 특징을 갖고 있음을 추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의 절차는 문부과학대신의 개정 발의 및 교육과정 심의회에의 자문의뢰, 교육과정심의회의 기준개선을 위한 방향 모색·심의·답신의 작성, 학습지도요령 작성자 회의의 학습지도요령의 작성 및 문부과학성의 고시로 이어지는 수순을 밟는다. 이러한 일본의 교육과정 개정 절차가 주는 시사점은 장기간에 걸친 숙고와 논의로 이어지는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 및 참여 인사의 다양성과 문부과학성 관리들의 지속적인 참여, 개정 과정의 공개성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조덕주(Cho Duk-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일본의 대표적 국립대인 도쿄대학과 대표적 사립대라 할 수 있는 와세다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에 있어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유사한 교육적 배경 및 교육 체제를 가진 일본은 현재 어떠한 교양 교육과정의 목적을 지니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어떤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는가는 대학 교양에 대한 새로운 의의 모색과 의미있는 내용 구성에 있어서 활용도 높은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도쿄대와 와세다대의 교양교육과정의 목적을 고찰하고, 목적과 관련된 교육과정 구성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교양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우리의 교양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improving General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Japan's case, especially The university of Tokyo and Waseda University. The study covers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the category of subject matters, special curriculum contents such a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r open education, degree requirements and administrational system of each universities, which are obtained by analyzing guidebooks, visiting and interviewing professional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a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Waseda University. Finally, the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endeavors to provide interdisciplinary subjects focused on the real social problems. Second, there are much emphasis o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lso the each institutes in their University, other universities and institutes in society. Third, they try to make their universities as "real cultured society" itself through their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연구 : 현행 교육과정 , 교과서 , 수업현장 분석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 Textbooks ,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Observations

        조연순(Yon Soon Cho),최경희(Kyung Hee Choi),조덕주(Duk Joo Cho)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연구의 하위과제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 것이다. 즉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창이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총괄목표에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인 과학에 있어서의 지식과 탐구방법^1) 이 기술되어 있기는 하나 교육과정의 내용및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탐구방법'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만 제시되고 있다. 또한 수업현장에서는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을 다루는데 있어서 확신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수업활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서는 지식 뿐만 아니라 탐구방법이 중시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볼때,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방법이 목표로서 뿐만 아니라 내용으로서 지식영역과 함께 다루어지도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갈등이 있는 문제상황을 주고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절차를 따르는 것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문제해결방법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6th national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practices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lementary science program focusing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and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general knowledge, domain-specific knowledge,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generated as follows: (1) Whether creative problem solving elements-domain specific knowledge(declarative knowledge and inquiry methods) were included or not in the 6th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If so, how are they represented? (2) Whether the teachers tried to enhanc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of their students. Through content analyse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followings are founded: (1) Inquiry methods, which are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were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In other words, inquiry methods were regarded only as tool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2) It was hard to find the situations which teach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1) Inquiry methods should be regarded as a goal not as a tool and be used to acquire inquiry methods themselves. (2)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 prescribed inquiry methods prescribed in the textbook, but to give opportunities for thinking various kinds of inquiry methods to improv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최연주 ( Yeon Joo Choi ),조덕주 ( Duk Joo Ch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기술공학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문가로서 교사가 자기의 교육적 행위를 반성하기 위해서는 한 개인으로서 자기성찰과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되었다. 이에 자기성찰방법이자 교수방법으로서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과 교사교육자가 무엇을 경험하는지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자서전적 글쓰기를 하면서 자기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도 하였고, 타인을 인식하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를 발견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교사교육자 또한 자기 자신과 예비교사, 그리고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을 가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예비교사와 교사교육자는 이처럼 서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가운데 강한 신뢰와 자유가 느껴지는 수업을 할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이 개인의 삶과 어떻게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서전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자기 성찰적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w that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is stress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ical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teachers should first make a self-examination to understand themselves before they look back on their own teach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teacher educator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engaged in autobiographical writing by applying an autobiographical method.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obtain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ir own experiences as well as inner awareness and to observe the self in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experiences that the teacher educator went through the integrated prospect of the self as a teacher educator,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changed the atmosphere of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became more familiar with each other and formed a strong bond, which they hadn`t experienced in the past. They felt an unprecedented amount of ease and freedom even if the task was very demanding and tough.

      • KCI등재

        구강보건교육학 교과를 위한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 및 적용

        정영란 ( Young Ran Jung ),조덕주 ( Duk Joo Cho ),황윤숙 ( Yoon Sook Hwang ),장기완 ( Kee Wan Cha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4 No.1

        Objectives. We developed PBL packages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explored the course`s meaning of the packages for applying PBL to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After PBL packages were developed and used, the components of the packages were compared to those of expository and practice centered instruction. Those are subject, main concept, an issue situation, degree of difficulty, achievement evaluation etc. Results. The PBL package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 problem situations that students might face in the clinic after graduation, and the packages stimulate independent problem-solving instead of relying on existing expository and practice-centered teaching practices that merely convey content. We assessed the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preparation of educational plans, small grouping, tutor posting, and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selected learners were interviewed to describe their PBL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also analyzed. The learners initially had difficulties with the PBL process, but became accustomed to it with experience, and this process learning did not disrupt the educational valu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lement PBL in dental hygiene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유형과의 관계 분석

        조덕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의 주도권이 점차 교육 운영의 주체로 실질적으로 이양되어 간다면 교육과정 관련 지원 체제도 이에 적합하게 전환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는 인식 하에, 현재 우리 나라의 경우 이러한 지원 체제가 교육과정 상의 변화의 흐름을 따라 적절하게 전환되어 가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급한 방향의 제시보다는 우선 교육과정 적용 유형의 종류와 교육과정 지원 유형의 종류를 명확히 하고 이러한 적용과 지원 유형이 어떻게 관련되는가 즉 이들간의 관계의 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이다. 이러한 관계 정립을 통하여 변화하는 적용 유형에 따라 지향해야 할 지원의 방향을 세울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원의 방향에 적합한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가 추후 연구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curriculum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model. And it seems that the present curriculum supervision system does not fit the present curriculum implementation or even hinder the process of implementing. But there is no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ypes of supervision and model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o study this relation, at first, the kinds of curriculum supervision systems and implementation models are clarified and analyzed. Through this clarification and analysis, we can make a direction of support for the present and futur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e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del--the RD&D(research, development, diffusion) model, the cooperative model, the school-based model, and three curriculum supervision system--the essentialistic, the experimental, the existencial--were analyzed, and also the relations of these models and system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valuable to study specific methods of the curriculum supervision.

      • KCI등재

        연계자를 매개로 한 교육과정 확산의 한계 : 교원 연수를 중심으로

        조덕주 한국초등교육학회 2000 초등교육연구 Vol.14 No.1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개발된 교육과정이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비판은 무성하나 그 원인을 세세하게 검토해 보는 과정은 없었다. 이러한 과정없이 되풀이 되어 온 교육과정 개정은 그 원인이 밝혀지고 어떤 처방이 내려지지 않는 한, 한낱 문서의 개정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토대로 우리 나라에서 현재 채택하고 있는 교육과정 확산 방법 중의 하나인 교원 전달 연수의 한계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한 전달 연구 과정 중 의도한 내용과 학습한 결과를 비교하고 또한 교원전달 연수에 대한 연수 참가자(초등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그 한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 이를 어떻게 현장에 확산 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eacher training to develop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of all, explores that effectivenes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hich has been used for a mea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pecifically focused on the teacher trainer's teaching content and trainee's learning content. Secondly, it explores whether the trainee consider the training program is effective to implement the newly developed curriculum.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trainer and trainee, and even between trainee and trainee. Trainees accept the only a smell part of trainer's teaching content, and sometimes misunderstand the trainer's intent. They consider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is ineffective method to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y to find more effective wa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or try to change our basic implementation model-RD&D model.

      • KCI등재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연계자와 변화지원자에 대한 고찰

        조덕주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경우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비하여 교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체계적연구 및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아 왔음에 착안하여, 현재 채택 중인 연구·개발·확산 모형을 기초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과정 적용 방안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현재 교육과정 적용 과정 중 주요 방안이 되고 있는 연계자의 개념, 역할 및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변화 지원자의 개념 및 역할을 기술함과 동시에 아울러 이들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연계자라는 개념을 토대로 우리 나라 교육과정 적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변화지원자에 의한 교육과정 적용이 되어야 함을 기술하였다. There has been a variety of research and practice ot develop the docu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our country. But after developing the curriculum, we hardly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pruports to propose effec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the RD & D model which is adopted as a curriculum diffusion model at present in ourcoun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of all, explores the concept, role and problem of "linker" which is used at present as a strategy to implement newly developed curriculum. Secondly, it explores the concept, role of "change agent" as a more effective implementing method. Thirdly, it review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in our country, and propose to accept and use "change agent" instedad of "linker" in considering of curriculum change-not product but process-and characteristics of change-complex and non-linear.

      • KCI등재후보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및 개발방안에 대한 재고 :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of a teacher

        조덕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의 주도권이 점차 학교로 이양되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간주되는 이때,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중 하나로 제시된 '교원의 전문성 및 자율성 신장'이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다시 말하여 실행 보급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한계 때문이 아니라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의 실질적 신장을 지향하고자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된다면 현재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식 및 범위는 타당성이 있는지 검토함과 동시에 그 한계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교원의 전문성은 교사관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두 가지 다른 관점 즉 전통적 관점과 해석적·비판적 관점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교원의 전문성은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연관하여 논의되었고, 교원의 자율성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한계 및 이에 대한 절충을 토대로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와 연관되어 논의되었다. 또한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고 할 때, 교원의 전문성과 자율성의 실질적 신장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이 요구되는가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토대로 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대한 실질적 시사를 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of a teacher can be actually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which put a higher emphasi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of a teacher, at the stage when it is thought to be desirable that the initiative of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transferred to a school from the government especially in Korea. That is to sa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being developed not because of basic constrain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by the government but because of its contribution to actual improvement of specialty and autonomy of a teacher, this study aims not only to examine the rationality over the procedure and scope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presen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but also to indicate its limit and suggest alternative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 teacher might be differently interpreted based on a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teacher,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parts of perspective--traditional and critical/hermeneutic. Based on these perspective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er's autonomy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scope of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recognition of limita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nd their compromise.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a practical direction for the method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y discussing what kinds of method or strategy for curriculum development are demande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actually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of a teacher. As a result of discussion and examination, the currently presented national curriculum has some limit in that it tends to put a limitation on teacher's autonomy and drive a teacher to feel himself a passive technician by simply presenting the technological procedure for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shows cleary that teacher's autonomy may not be restricted from the outside and it can be determined to the extent of his range of professional ability. This professional ability does not mean only the skill and knowledge. To extend and deepen this ability, first of all, teacher's landscape of his/her identity as a teacher should be broadened. And it should be focused on 'method' rather than 'procedure', mindful interaction rather than linear transmission, and concentric proliferation rather than compulsory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to improve the real professional capacity of a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