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은 책임재산이 될 수 있는가

        조경임(Cho, Kyung 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1

        대법원 2017. 8. 21. 선고 2017마499결정은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에 대한 압류 및 전부명령을 허용하고 있다. 민사집행은 채무자에게 귀속된 재산을 그 대상으로 하므로, 가액배상청구권을 취소채권자의 책임재산으로 파악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 민법은 사해행위 취소 및 원상회복의 효과는 모든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효력이 있다고 정하고 있으며(민법 제407조) 채권자 취소소송을 진행한 채권자의 우선권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모든 채권자를 위하여 채무자의 일반재산을 확보함으로써 채무자를 집행채무자로 하는 강제집행의 준비절차로서 기능하는 채권자취소 제도의 취지를 고려할 때, 취소채권자가 가액배상청구권을 행사하여 수령한 금원은 모든 채권자를 위한 채무자의 일반재산으로 환원되어야 하지, 취소채권자 개인이 향유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더욱이 가액배상청구권은 강제 집행할 수 있는 권리로 보기도 곤란하다. 어떠한 권리가 압류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지에 관하여 우리 판례는 재산적 가치가 있고 독립하여 처분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취소채권자의 가액배상청구권을 독립하여 처분 가능한 취소채권자의 재산으로 보기 위해서는 이를 채권적 청구권이 아닌 채권으로 인정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떠한 권리가 채권이려면 그 속성으로서 이행청구력, 소구력, 집행력 및 급부보유력을 함유하여야 하는데, 취소채권자가 수령한 가액은 채무자에게 귀속되어야 할 몫이지 취소채권자가 이를 사용 수익할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가액배상청구권은 급부보유력을 함유하는 채권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가액배상청구는 원물반환이 불가능할 때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원상회복청구의 한 형태이다. 원상회복의 방식이 다르다고 하여 취소채권자의 재산 규모가 달라질 수는 없다. 가액배상청구권은 취소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하여 보유하는 피보전채권의 실현을 위하여 법이 인정한 대외적 권능이며, 피보전채권의 종된 권리로서, 피보전채권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처분 가능한 재산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압류나 전부명령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The Supreme Court Judgment 2017Ma499, dated August 21, 2017, permits the seizure and claims transfer command for revocation of creditors’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ince civil execution is administered to the property vested in the debtors,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is deemed the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o acknowledge any right as claims, however, it should include the right to demand performance, the right of resource, power of execution, and power of retaining benefits. However,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does not include the power of retaining benefits, and therefore cannot be deemed as claims nor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he Civil Act provides that the revocation and restitution of its original status takes effect for the benefit of all obligees (Article 407 of the Civil Act), and does not acknowledge the priority of the creditors who institute a lawsuit for a creditor’s revocation right. Given the purpose of the creditor’s revocation to secure general property of the debtors for the benefit of all creditors and serve as a preliminary process for compulsory execution by which creditors become execution creditors, it should be deemed that any money received by revocation creditors by exercising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be reverted to general property of the debtors and should not be enjoyed by individual revocation creditors. The same conclusion will be reached when examining the essence of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Claim for monetary compensation is a type of claims for restitution exceptionally acknowledged when the original cannot be returned. When the method of restitution is different, is it appropriate to assume a different amount of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Further, the Supreme Court does not allow for the seizure of any right exercised by subrogating creditors or collecting creditors. As revocation creditors’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ares the same nature of such right, it is not appropriate to distinguish them in consideration of systematic consistency. In sum, the right to claim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include the right of collection and the right to receive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right to demand performance, the right of resource, and power of execution, but does not incldue the power of retaining benefits. As it cannot be acknowledged as property of revocation creditor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t is not subject to seizure or claims transfer command.

      • KCI우수등재

        임대차에서의 공제에 관하여

        조경임 ( Kyung Im Cho )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11

        By definition, the term “deduction” means subtracting a certain amount of money or quantity from a share to be received. The term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laws, mostly on the basis of its dictionary definition. In the legal context of leasing, however, a body of legal principles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a number of judicial precedents over many years, to the point the term is no longer confined to its literal meaning of subtracting. The relations involving leases often lead to the creation of legal phenomena clearly different from other legal relations as a result of deduction instead of setoff. For example, Article 497 of the Civil Act concerning setoff does not apply to leases, and various restrictions on the execution of the right to setoff do not hold true with revival cases. As a result, lessors enjoy preferential protection before other creditors. A range of conflicting opinions exist regarding the grounds for lessors` priority?that is, the grounds for the occurrence of deduction effects in lease relationships. Since no legal provisions are stipulated with regard to this issue, the opinions of relevant parties must be interpreted as applicable grounds. Currently, if the condition precedent is achieved that no default will occur on the part of a lessee from the point the relevant lease terminates to the point the subject matter is delivered, it is seen that the both parties involved have agreed to generate a refund claim of the lease security deposit on the part concerned. In general,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lessor`s claim is deemed deducted in the course of calculating the specific scope of the refund claim of the lease security deposit to be created. By examining a number of rulings on lease deduction, this study reviewed whether the precedents have been in conformity to this presumed agreement of both parties and the assumption on the deduction procedur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Supreme Court is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term “deduction” and is actively formulating its own legal principles.

      • KCI우수등재

        수급사업자의 직접청구권, 그 현황과 과제

        조경임(Cho, Kyung Im) 한국민사법학회 2021 民事法學 Vol.96 No.-

        수급사업자(하수급인)는 원사업자(수급인)의 거래상대방인 발주자(도급인)에게 직접 하도급대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계약의 상대방이 아닌 자에 대해 직접 급부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직접청구권이 수행하는 기능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직접청구권자의 채무자에 대한 채권을,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으로써 간이하게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들에 우선하여 채무자에 대한 채권의 만족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접청구권의 이러한 기능은 민사법의 두 가지 원칙과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직접청구권자가 채무자가 아닌 자에게 ‘직접’ 급부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은 계약의 상대효에 반한다. 따라서 제3채무자가 계약상대방인 채무자와의 계약관계 상 항변으로써 직접청구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재3채무자가 이행하는 급부의 범위는 채무자에 대한 이행의무의 범위에 한정되는지 등의 문제가 불거지게 된다. 또한 직접청구권의 행사로써 그가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들에 우선하여 채권의 만족을 얻게 되는 결과는 채권자평등의 원칙과 충돌한다. 이처럼 직접청구권은 민사법의 기본 원칙과 경쟁하며, 그 존재의 정당성을 입증할 부담, 성립과 행사 상 제한을 감당할 위험을 안게 된다. 수급사업자의 직접청구권 역시 이러한 갈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나마 수급사업자의 직접청구권과 관련하여서는, 사회적 약자인 수급사업자를 보호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를 제한없이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법작용을 통한 견제가 이루어지고 있고, 규정의 해석과 적용(해석론), 현행 규정이 적절한지(입법론)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본고는, 원사업자(수급인)의 지급불능 시 인정되는 수급사업자(하수급인)의 직접청구권이 수급사업자에게 우선변제권을 인정해 주려는 취지를 갖는다는 이해 아래,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격 규명, 우리에게 친숙한 제도들의 법 효과를 원용하는 방법 등을 동원하여 직접청구권의 배후에서 작용하는 논리를 발견하려는 시도를 해 보았다. 수급사업자가 실질적으로 우선변제권을 누릴 수 있는 방안으로서, 원사업자의 공사대금채권에 관한 담보물권이 설정된 경우, 수급사업자를 수익자로 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이 체결된 경우, 발주자가 원사업자의 수급사업자에 대한 하도급대금 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경우 등의 법 효과를 원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The subcontractor may directly claim the payment of the subcontract price from the ordering party, the counterparty of the principal contractor. There are two main functions of the direct claim, which can claim the performance of benefits directly from a person who is not the other party to the contract. One is to enable simple settlement of the direct claimant s claim against the debtor through a claim against the third debtor, and the other is to obtain satisfaction of direct claimant s claim in preference to other creditors of the debtor. And this utility of the direct claim forms a tension with the two principles of civil law - the relative effect of the contract, the principle of creditor equality. With respect to subcontractors direct claim rights, there seems to be some consensus on the need to protect subcontractors,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there is an ongoing debate as to whether the regulations are appropriate and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appropriate. The subcontractor s direct claim right, which is recognized when the principal subcontractor is unable to pay, is a system designed to recognize the right of preferential repayment to subcontractors, especially at the execution stage. Based on the above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system, this paper attempts to discover the logic behind the direct claim by identifying the legal nature of the direct claim or mobilizing the method to invoke the legal effect of the systems that are already familiar to us. As a measure for practically realizing the subcontractor s preferential repayment right, it is to be deemed that the subcontractor has acquired the security right for the principal contractor s claim, or a contract for a third party has been concluded between the principal contractor and the third debtor(the orderer), or the third debtor take over principal contractor’s debt for the payment to the subcontractorsidering concurrently.

      • KCI등재

        후순위저당권자의 물상대위와 상계

        조경임(Cho Kyung 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비교사법 Vol.24 No.4

        대상판결 사안에서는 참가인(채무자, 상계권자)이 상계로써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원고(공동저당목적물 중 물상보증인 소유 부동산에 대한 후순위 저당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수동채권은 공동저당물 중 일부를 소유한 물상보증인이 본인 소유 부동산이 먼저 경매됨으로써 취득한 채무자에 대한 구상금채권이고, 자동채권은 채무자가 물상보증인에 대하여 별도로 보유하게 된 구상금 채권이었다. 물상보증인 소유 부동산이 먼저 경매되어 공동저당권의 피담보채무가 만족에 이르면 후순위저당권자는 물상보증인이 변제자대위를 통해 취득하는 채무자 소유 부동산에 대한 선순위저당권(담보물 가치의 변형물)에 대하여 물상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사안에서의 채무자가 물상보증인에 대하여 보유하는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물상보증인이 채무자에 대하여 갖는 구상금채권과 상계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 것이다. 채무자가 상계로써 원고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하면, 수동채권인 물상보증인의 구상금채권이 소멸로 물상보증인의 변제자대위가 불가하고, 그로 인해 후순위저당권자인 원고가 물상 대위할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원심법원과 대법원 모두 채무자가 상계로써 원고에게 대항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법원은 채무자가 물상보증인에 대하여 갖는 채권은 ‘일반채권으로서 물상보증인 소유 부동산 상의 후순위저당권을 침해하는 내용으로 행사될 수 없기’ 때문에 상계를 허용할 수 없다고 판시하였고, 대법원은, ‘채무자는 선순위인 공동저당권자가 물상보증인 소유 부동산에 대하여 먼저 경매를 신청한 경우에 비로소 (물상보증인의 구상금채권이 발생하므로 이를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할 것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처럼 우연한 사정에 의하여 좌우되는 상계에 대한 기대가 후순위저당권자가 가지는 법적 지위에 우선할 수 없다’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대상판결과 원심판결은 채무자가 상계로써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는 후순위저당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다는 타당한 결론을 도출해 내었지만, 그 이유는 양자 모두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대상 판결 사안에서 채무자가 상계로써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는 후순위저당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는 이유는, 물권 성립 시점 또는 물상대위권의 행사 가능 시점에 물권자 또는 물상대위권자가 장악한 담보목적물의 교환가치에 대한 지배력이 보전되어야 하므로, 이를 훼손하는 상계가 허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계에의 기대가 합리적인지, 따라서 상계로써 물상대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을지 여부는, 물상대위권이 행사 가능한 시점에 이미 상계에의 위험이 존재하여 물상대위 목적물의 교환가치에 그러한 위험이 반영된 상태였을 때 비로소 검토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인바, 원심법원과 대법원이 물상대위권이 행사 가능한 시점에 이미 상계에의 위험이 존재하였는지,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는 후순위저당권자가 가지는 권리의 구체적 효력이 어떠한지에 관하여 논하지 않고, 그에 앞서 상계권자의 법적 지위나 상계에의 기대가 합리적인지 여부에 관하여 설시한 것은, 논리의 전개가 체계적이지 않고 비약이 있어 결론에 부합하는 적절한 이유로서 기능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한편 본고에서는 대상판결을 포함하여 대법원의 몇몇 판결들이 상계의 허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동원하고 있는 상계에 대한 기대의 성립시점, 합리성, 우연한 사정의 개입 여부 등에 관한 논의들은 적용 가능한 분쟁 사안이 제한적이거나 정치하지 않은 점이 있다는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적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4 Da 221777 decided on April 26, 2017 on whether one with the right to set-off can contest one with a real right, who is considered to be having a conflict of interest. If property owned by the mortgagor who are not debtor is auctioned first and the debt to be secured is fulfilled, the junior mortgagee as the mortgagee next in priority can exercise subrogation right over priority mortgage for debtor-owned property that is acquired by the mortgagor who are not debtor through subrogation. In the Supreme Court case, the issue was whether the primary claim of the debtor can be used to make a set-off for the subrogation claim held by the mortgagor who are not debtor. The Supreme Court rejected the set-off because “the debtor can expect to make a set-off only if the joint mortgagee applies to auction the property owned by the mortgagor who are not debtor (using the subrogation claim of the mortgagor who are not debtor as a passive claim), but the expectation towards set-off under such coincidental circumstances cannot take priority over the junior mortgagee’s legal status.” The Supreme Court’s conclusion that the debtor cannot argue a set-off defense against the junior mortgagee, who exercises subrogation right, is reasonable. However, its justification of the decision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the debtor cannot argue a setoff-defense against the junior mortgagee who is exercising real subrogation based on the nature of subrogation right, which can also be described as a real or absolute effect. At the point of establishment of the real right or the point at which the exercising of subrogation right becomes possible, the real right holder or set-off right holder must maintain control over the value of immovables, and any set-off that threatens this situation cannot be allowed. Whether the expectation of setoff is reasonable, and whether the real right holder can argue a set-off defense against the set-off holder can be examined only when there is a set-off risk at the point at which it is possible to exercise subrogation right and that risk is reflected in the exchange valu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refuse set-off based on the junior mortgagee’s legal status is an inappropriate conclusion as there was no consideration of whether there was a set-off risk at the point at which it was possible to exercise subrogation right, and of the specific effect of the junior mortgagee’s subrogation right.

      • KCI등재

        직무발명의 사전예약승계

        조경임(Kyung-Im Cho)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2 No.2

        대법원이 2011년 7월 28일 선고한 2010도12834 판결은, 피해자회사의 종업원인 피고인들이 자신들의 직무발명에 관하여 사용자인 피해자회사 이름으로 특허 출원을 냈다가 피해자회사의 동의 없이 특허출원인 명의를 피고인들로 변경하여 특허출원한 사안에서, 직무발명은 원시적으로 발명자인 종업원에게 귀속되므로 사용자가 직무발명의 특허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인 피고인들로부터 직무발명에 관한 권리를 승계해야 하는데, 피해자회사에는 직무발명에 관한 명문의 계약이나 근무규정이 없었고 달리 피해자회사와 피고인들 간에 명시적으로나 묵시적으로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피고인들의 행위가 업무상 배임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발명진흥법 입법자의 의도는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의 계약이나 직무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사전예약승계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도록 하는 즉 사전예약승계에 관하여 요식행위 또는 이와 유사한 효과를 갖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진흥법 규정은 계약에 관한 방식 자유의 원칙에 반하므로, 직무발명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 계약 또는 직무규정 유무가 아니라,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사전 예약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여부에 따라 법률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직무발명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명문 계약 또는 직무규정 유무는, 예약의 존부를 입증하기 위한 증빙자료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서 살펴볼 때 본 대법원 판결 사안에서 피고인들과 피해자 회사 간에 직무발명의 승계에 관한 묵시적인 예약이 있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한 바, 묵시적 예약 존부에 대한 충분한 심리 없이 직무발명에 관한 승계가 없다고 판단한 대법원 판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직무발명제도 및 사전예약승계에 관하여 검토한 후, 발명진흥법 상 직무발명제도 관련 규정의 해석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사안에서 사전예약승계규정이 있었다면 당사자들의 법률관계는 어떻게 달라졌을지, 대법원 판결이 당사자의 실제 의사에 부합하는지, 그렇지 않다면 이러한 불일치 및 모순은 이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 사전예약승계에 관한 현행 발명진흥법 관련 규정은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Supreme Court finds in 2001 Do 12834 case that defendants are not guilty of malfeasance on July 28, 2011. In this case, at first, defendants who are employees in the injured party (hereinafter “the Company”) filed a patent application in the name of the Company and then, changed the applicant into defendants without the Company’s approval. Basically, employee’s invention belongs to an inventor, an employee, and an employer can file patent application under his name only if the employee assigns his right of invention to the employer.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no express contract or work regulation regarding employee’s invention and no express or implied agreement on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between the Company and defendants. The Legislature’s intent on Invention Promotion Act seems that pre-reserved assignment may not be recognized or has similar effect without an express agreement or work regulation. However, because such a provision in Invention Promotion Act is against no formality rule on contract, the legal effect must depend on existence of pre-reserved assignment and the express agreement or work regulation will be just one evidence to prove pre-reserved assignment. Review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lausible to recognize implied reservation on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in this case. Therefore, the Court’s decision that there is no assignment of employee’s invention without enough hearing of existence of implied reservation seems problematic.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employee’s invention system and pre-reserved assignment from above-mentioned perspective and then, constructs relevant provisions in Invention Promotion Act.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e idea to improve provisions on employee’s invention in Invention Promotion Act.

      • KCI우수등재

        임대차보증금의 담보적 성격과 이론적 근거

        조경임 ( Kyung Im Cho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12

        When a lease relationship ends, the lessor should return the lease security deposit after subtracting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lessor’s claim. Because this subtraction is done prior to the other creditors, lessors could enjoy preferential protection before other creditors. With regard to the lessor``s prior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 lease and ‘chonsegwon`` (lease on a deposit basis with security rights of the lessee) relationship. Given that no legal provisions are stipulated with regard to the lessor``s priority, the intentions of relevant parties must be constructed as applicable grounds. A range of conflicting opinions exists regarding the grounds for the prioritylessors - that is, grounds for the occurrence of deduction effects in lease relationships. The Supreme Court opined that if the condition precedent is achieved such that no default will occur on the part of a lessee from the point the relevant lease terminates to the point the subject matter is delivered, it is considered that both parties involved have agreed to generate a refund claim of the lease security deposit under concern to let the lessors enjoy preferential protection before other creditors. The Supreme Court``s opinion can rationalize lessors’ priority, but it cannot resolve unexpected conflicts. Article 315 (2) of the Korean Civil Code can be newly constructed to complement both parties`` intentions, i.e., that they consented to retaina refund claim of the lease as a pledge.

      • KCI등재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조경,최만영,곽승국,임성호,김대윤,박종규,김영의,Cho, Kyung-Je,Choi, Man-Young,Kwak, Seung-Kook,Im, Sung-Ho,Kim, Dae-Yun,Park, Jong-Gyu,Kim, Young-Eui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4

        마산-진해만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영양염류, 용존산소, 해수 투명도 등 수질의 부영양화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수직변동, 공간분포 및 계절변동 등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4월부터 10월까지 번무하였으며, 이 기간에는 편모조류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여러 종이 혼합 발생하는 등 매우 역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대발생 시기에는 염분이 감소하였고, 편모조류의 번무로 수색이 변하거나 물의 투명도가 떨어졌다. 여름에 하층은 빈산소상태였으나 상층은 산소의 과포화상태로서 상 하층에 용존산소의 성층화가 형성되었고, 그 구배가 컸다. 반면 겨울에는 영양염류의 수직 분포가 균일하였고, 마산 내만에서 진해 외만에 걸쳐 영양염류의 수평적 구배가 발달하였다. 마산-진해만 수질은 여름에는 저질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겨울에는 마산시와 창원시 등 주변 집수역에서 유입되는 오 폐수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마산-친해만 일원의 수질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마산만 돌섬과 부도 사이의 수질을 연 평균값으로 표준화시킨 결과, COD와 $PO_4$가 비교 가능하였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마산만에서 COD와 $PO_4$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91년 이후 다소 둔화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마산 내만에서 행한 저질 퇴적층의 준설이 이 지역의 수질 악화를 다소 완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Water quality of Masan-Jinhae Bay was monitored from January 1996 to August 1997. The monitoring focused on the spatial and vertical gradients and seasonal changes of eutrophication parameters such as nutrients, DO and water transparency. Flagellate phytoplanktons persistently bloomed from April to October with monospecific or mixed algal blooms and dynamic algal successions were observed in this area. Algal bloom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alinity drops and made the water less transparent. Stratification of oxygen content was persistent through summer and oligo-oxygenation was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s. Nutrient gradients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through the depth in summer and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from inner Masan Bay to outer Jinhae Bay in winter. Except the rainfall seasons, water qual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aste waters discharged from watershed around the Masan Bay. The waste waters would act as the primary factor for th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bay. Literature data for eutrophication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review the water quality trends of the Masan and Jinhae bays since 1970. Annual mean COD and phosphate concentration consistently increased from 1975 to 1990 and decreased or dropped after 1991. The sediment of inner part of Masan Bay was dredged from 1991 to 1994 as a decontamination process and it is assumed that the dredging has weakened more or less the deterioration trend of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 KCI등재후보

        스트레스 유발성 심근증 환자들의 원내 사망과 좌심실 기능 회복의 예측인자

        김소연 ( So Yeon Kim ),김장영 ( Jang Young Kim ),박용현 ( Yong Hyun Park ),홍경순 ( Kyung Soon Hong ),조경임 ( Kyoung Im Cho ),조현수 ( Hyun Su Jo ),홍그루 ( Gue Ru Hong ),손창우 ( Chang Woo Sohn ),손장원 ( Jang Won Sohn ),윤준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1

        Background/Aims: The reported frequency of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SCMP, Takotsubo cardiomyopathy)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no data regarding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and the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LV) systolic function in patients with SCMP. Therefor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clinical predictors of in-hospital mortality and of the recovery of LV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SCMP. Methods: From November 2004 to November 2010, 155 patients who fulfilled the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the Mayo clinic for SCMP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from eight medical centers in Korea. We checked in-hospital deaths and compared the LVejection fraction (LVEF) and wall-motion score index (WMSI) upon enrollment for each patient with that after 1 week using echocardiograms. A total of 55 continuous variables and 52 nominal variables were analyzed to find variables associated with in-hospital mortality and the recovery of LV dysfunction. All significant variables were entered into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4±15 years; 118 (76.1%) patients were female. The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5.2% (n=8). An elevated initial platelet count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in-hospital mortality (odds ratio [95% CI]: 0.99 [0.99-1.00]). There were no predictors of the recovery of LVEF. Predictors of the recovery of WMSI were an absence of arrhythmic events (odds ratio [95% CI]: 22.89 [1.98-265.34]) and an elevated initial LV end-systolic diameter (odds ratio [95% CI]: 0.86 [0.74-1.00]). Conclusions: An initial absence of arrhythmic events and elevated LV end-diastolic pressure in patients with SCMP may be predictors of the timely recovery of LV dysfunction. (Korean J Med 2011;81:64-7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