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정영인(Chung, Young-In)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따른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대학생의 이성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 빗속의 사람이 활용 가능한지 알 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3개교의 1-4학년 290명으로, 연구도구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차분 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따른 스트레스 지표 반응특성 은 비의 세기, 비의 모양, 바람의 세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성관계 만족도 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자원 지표 반응특성은 직접 보호물의 수, 얼굴 모습, 인물 크기, 나체 인물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이성관계 만족도에 따른 PDI 지표 반응특성은 비에 젖은 정도, 그림 속 사람, 사람의 나이, 사람의 기분, 사람에게 필요한 것, 그림의 느낌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대학생의 이성관계를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Person In The Rain (PITR)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ITR depending on th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targeted 290 freshmen, sophomore, junior and senior-year students from three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central area and as research tools, a PITR drawing tes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generally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the stress index depending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rain, shape of rain and intensity of the wi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the stress coping resource index depending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rect protections, shape of face, size of figure and nude figure.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the Post Drawing Inventory (PDI) index depending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getting wet with rain, persons of drawings, age of persons, moods of persons, things needed for persons and feelings of drawings.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ITR drawing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examin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테그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7명에게 발테그 그림검사(Wartegg-Zeichentest: WZT)를 실시하였다. 분석기준은 아우구스트 페터(August Vetter)의 현상학적인 해석을 토대로 평가항목을 재구성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WZT 반응특성은 선의 성질에서 예리한 선과 윤곽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착상에서는 구체적 패턴이 가장 많았고 이를 세부 분류했을 때 동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그림주제의 의미는 부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WZT의 차이를 살펴보면 터치의 질은 틀1, 2, 5, 6, 7, 8, 합계에서, 음영과 윤곽에서는 틀1, 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림 착상의 분류에서는 틀3, 5, 합계에서 차이를 보였고, 세부적으로는 형식적 패턴, 구체적 패턴, 회화적 패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그림 주제의 의미 부합은 틀1, 3, 5, 합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WZT 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responsive characteristic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the Wartegg-Zeichen test(WZT). The WZT was given to the 247 university students in Gyounggi Province. The assessment item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August Vetter’s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sharp line and contouring of the line characteristic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drawing responses of the WZT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had the most frequent rates. In the pattern to express specific objects, most frames showed dynamic expressions. Also,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had the high rate. 2. Gender differences in WZ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e characteristics of the frames 1, 2, 5, 6, 7, and 8, shading and contouring of the frames 1 and 2. Picture patterns in frames 3, and 5 showed the differenc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parts in formal, specific, and pictorial patterns. Gender difference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ence of the themes with drawings in the frames of 1, 3, and 5. Thu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tool of analysis in the WZT as well as an useful tool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방어기제 관점으로 본 페미니즘 작가 자화상의 자아치유 요인 연구 -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 천경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정영인 ( Chung Young-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동서고금을 막론한 많은 화가들이 자화상을 그려온 것은 인간에게 자기표현의 욕구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자화상은 자신의 모습을 깨우치는 계기를 제공하고, 정신적 고통이나 불안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다양한 방어기제를 자신 모습 속에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 작가인 프리다 칼로와 천경자의 자화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방어기제인 상징화(symbolization), 전환(conversion), 승화(sublimation)를 중심으로 작품을 비교·분석하고 자아치유의 매개체였음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작가는 우울과 불안, 순탄치 못한 결혼 생활로 힘겨워하였고, 이러한 심리적 고통을 유난히 많이 그린 자신의 자화상으로 표현하여 치유하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전통 의상, 동물, 꽃, 뱀 등을 반복적으로 자화상에 그려 넣음으로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상징(symbolization)의 의미를 끌어내어 치유적인 효과를 창출하였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자신의 육체로 전환(conversion)시켜 표현하였으며, 죽음에 대한 유혹과 고난을 그림으로 승화(sublimation)시켜 치유하려고 노력하였다. 미술의 창작과정을 통한 치유의 요인들은 미술치료 사례를 통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 지고 있는 반면, 화가들의 창작과정 속의 자아치유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화가들의 독특한 기법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하여 자화상 그리기뿐 아니라 미술치료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Many artists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demonstrate how human beings are eager to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their self-portraits. Creating a self-portrait generates more positive outputs than just giving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It alleviates one`s hurtful feelings building such a powerful defense mechanism while working on their artworks.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contrast two feminist artists` self-portraits -Frida Kahlo and Chun Kyung Ja- to conclude that their art works are used as a tool for the self-healing. Their main themes in their artworks are defense mechanism - symbolization, conversion, and sublimation. Both artists were depressed with the pain of unhappy marriage life. This fact is commonly expressed in their self-portrait to overcome their spiritual scars. The main characters that they introduced frequently are flowers, butterflies, and snakes such animals. By painting those characters repeatedly, it cures their pain inside by symbolizing their unconscious pain to conscious meaningful self-healing. Whenever they feel the pain inside, they covert the pain in action by drawing as many self-portraits as they can. There are many drawings that expressed many thoughts about the agony and temptation of death. They put effort to sublime the pain through the paintings.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art therapy being observed using art works as cure remedy as an example, however, it is very rare to introduce art therapy being observed as self cure composite through artists` creative art works. Thus, I strongly suggest looking into developing a program using art therapy in whole not only for artists` self-portrait skills.

      • KCI등재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잭슨폴록 작품의 미술치료 요인 고찰 - 액션페인팅을 중심으로 -

        정영인 ( Chung Young-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9 No.-

        미술치료는 미술작품을 만드는 창조적 과정이 치료효과가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효과적인 의사소통 양식이라는 생각에 기초한다. 자유로운 표현 활동을 통하여 인간의 불안과 갈등을 해소 시켜주고, 스스로의 존재 의미를 확인 또는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미술의 치유적인 힘을 재인식한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적인 액션페인팅 화가 잭슨폴록(Jackson Pollock 1912~1956)은 알콜 중독, 우울증, 정신분열적 증세와 난폭한 행동, 동성애 등의 많은 정서적 어려움을 지녔지만 그의 독창적 기법인 액션페인팅 작업을 하게 되면서 조금씩 치유되어 간다.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분석심리학은 당시 폴록과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융은 다양한 심리치료의 방법적인 도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클라이언트의 심리를 분석하고 치료를 돕는데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또한 폴록은 융의 제자로부터 융의 분석적 미술치료를 받고 잠시나마 병세가 호전되기도 하였다. 폴록은 융과 동시대를 살며 많은 영향을 받았고, 미술계의 융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자신의 작품에 내재화하였다. 그러기에 본 연구는 폴록의 액션페인팅 작품을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미술치료요인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Art therapy originates with the idea that any art creation would generate tremendous remedies which ensures a better lif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rt therapy allows human beings release their stress and anxiety in support of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realize ones` existence with a chance of recovery through free spiritual expression. Jackson Pollock (1912-1956) is one of the well known abstract painters that recognizes the powerful and effective therapeutic way through art. Although he was suffered from alcoholism, depression, mental disorganization ,and homosexual tendencies, he cured himself gradually by performing action painting in his exclusive way. Jung (Carl Gustave Jung 1875-1961)`s analytic psychology influences on abstract painters back in times including Jackson Pollock. Jung believes that paintings is the most effective measurement among other various methods to analyze and treat complex psychological trauma for the clients. For instance ,Jackson Pollock alleviates his illness by accomodating Jung`s analytic art therap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s they live during the same period, Jackson Pollock adopt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to his art work very intensively. He follows Jung`s footsteps that leads him to be known as Jung in the field of arts today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imary factors of Jackson Pollock`s art therapy in Jung`s analytic psychological perspectives.

      • KCI등재

        자극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정영인(Chung Young-i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자극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극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에 대한 연구의 균형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ZT, SDT, DAS, FSA를 중심으로 1966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101편의 논문을 기술통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표연도별 연구유형은 석사학위논문이 가장 많았고, 2016~2020년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정서 영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아동, 청소년이 많았고, 일반군과 부적응군을 비교하는 연구로 100~200명 미만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대부분 양적연구로 객관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채점자 평정에서는 대부분 채점자 간 일치도를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종류는 Pearson의 상관계수로 채점자가 2명인 경우가 많았다. 여섯째, 자료수집 장소는 교육기관과 수집 기간은 1개월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자극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를 사용하는 임상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림검사에 관한 활발한 연구와 검사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l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drawing tests using stimulus pictures by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drawing tests using stimulus pictures. To this end, 101 papers published from 1966 to 2020 and focused on WZT, SDT, DAS, and FSA were analyzed via technical statistic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research types for each presentation year were master s thesis,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between 2016 and 2020. Second, the research topic was found to be the most emotional domain.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s a study comparing the general group and the maladjusted group, fewer than 100-200 subjects were used in most studies. Fourth,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studies, using objective tests and abundant descriptive statistics. Fifth, in the rating of the graders, most were found to obtain a degree of agreement between graders, based on the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two graders. Sixth, data collection sites were found most ofte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ost studies allowed less than one month for the collection period. The abov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linical sites using drawing tests involving stimulus picture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active research and the inspection tools for drawing tests.

      • KCI등재

        고흐의 작품에 표현된 “밤”의 심리적 의미

        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작품에 표현된 밤의 의미를 탐색하고 그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흐는 “태양의 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밤을 표현하는 그림도 많이 그렸고, 밤에 작업하는 것 자체를 즐겨 했다고 한다. 낮이 이성을 지배하는 세계라면 밤은 감성이 지배하는 시기로, 고흐는 해 질 무렵부터 새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밤의 모습에 자신의 내면세계와 무의식, 불안정한 심리를 투사시켰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고흐의 작품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밤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에 그려진 밤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한 데서 비롯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해 가족의 갈망과 외로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중기에는 희망의 상징이자 자아를 표현한 별을 묘사한 반면, 혼란과 어두움 속의 이면을 드러내 양가감정이 내재한 밤을 표현하였다. 셋째, 후기에는 현실에서의 반복되는 좌절과 고통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이 가중되어 죽음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표현들이 지속되다가 결국 자살로 이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고흐의 밤을 표현한 작품에 내재한 다양한 심리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미술심리 관점에서 밤이라는 물리적, 정서적, 심리적, 상징적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night in Vincent van Gogh’s works and to examine his psychological changes. Gogh is known as a ‘painter of the sun’, but it is said that actually, he painted a lot of pictures expressing nights and enjoyed working at night. A night is ruled by sensibility, while a day is ruled by reason. Gogh projected his inner world, unconsciousness and unstable mentality onto different views of night ranging from the sunset to the dawn. In this study, Gogh’s work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ree themes of night that changed with the stream of time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ights drawn in the early stage of his career express a longing for family and a loneliness due to unstable attachment created when he did not receive proper supper from his parents in childhood. Second, in the middle of his career, he drew nights containing ambivalence by describing stars that symbolize hope and show his ego and revealing confusion and the back of darkness. Third, in the latter part, his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due to frustration and pain repeated in reality and expressions symbolizing the image of death continued. In the end, it led to his suicid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night from different angles of art psychology by analyzing diverse psychological changes in Gogh’s works expressing nights.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비교 연구

        정영인(Young-In Chu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3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반응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으로, 서울시 4개교에서 한부모 가정 아동 100명, 양부모 가정 아동 100명을 무선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PSCD 검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PSCD에 나타난 아버지상 반응특성은 인물 방향, 부정 상징, 인물 행동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상의 반응특성은 얼굴 표정, 인물 방향, 인물 위치, 긍정 상징, 부정 상징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상 반응특성은 얼굴 표정, 긍정 상징, 부정 상징에서 한부모 집단과 양부모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전체 양식 반응특성에서는 인물 구분, 세부 묘사, 그림 크기, 그림 양식, 가족의 행복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PSCD 반응특성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action features on “parent self-centered drawing (PSCD)”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 children in one-parent family and 100 children in two-parent family in grades 4-5 of 4 schools in Seoul by random sampling. The analysis of PSCD was used for study. The data were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validation of analysis of SPSS 22.0.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SCD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rawing of father figure for direction of person, symbols of father figures, and behaviors of person.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drawing of mother figure for facial expression, direction of person, location of person, symbol of positivity, and symbol of negativity in both group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drawing of self-portrait for facial expression, symbol of positivity and symbol of negativity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overall drawing for recognition of person, detailed description, size of picture, pattern of picture, and measure of family happiness in both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supported to compare reaction features on PSCD between children from one-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 KCI등재

        중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빗속의 사람(PITR: Person in the Rain)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 3학년 274명에게 PITR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PITR의 분석기 준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자원, PDI(Post Drawing Inventory) 등 세 가지 지표로 나누어 설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학교 수업에서는 남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고, 학교규칙준수에서는 여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ITR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남학생의 경우 비의 양, 비의 모양, 바람의 세기, 구름의 유무, 구름의 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은 비의 방향과 비와 사람의 접촉, 번개와 사람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PITR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얼굴 모습, 얼굴 표정, 인물의 위치에서, 여학생은 얼굴 표정, 나체 인물상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PITR의 PDI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그림의 느낌과 사람의 기분, 여학생은 사람의 나이, 그림의 느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PITR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chool life adjustment using PITR drawing te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PITR was given to the 274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grade 1 and grade 3 in Gyongi providence. The research tools are based on stress, stress coping resources and PDI (post draw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test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dapt class environment better than fe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followed school policy better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shape of rain, velocity of wind, presence of clouds and size of clouds in the PITR for measuring their causes of stress. Fe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rain, contacts of rain and people, relationship between lightning and people. Also, for stress coping resources in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facial appearance, facial expression and loca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in the facial expression and presence of naked people among female students.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impression of picture and condi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age of people in picture, and impression of picture among female students for measuring PDI in the PITR. Thus, this study suggests possibility that PITR can be a tool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통하여 대학생의 성격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 두 곳의 1-4학년 256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와 성격 5요인 척도를 사용했고, 자료분석은 교차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반응특성 차이는 비의 양, 비의 방향, 바람의 세기, 구름의 수, 웅덩이 수, 웅덩이 면적, 웅덩이와 사람 접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스트레스 대처자원 반응특성 차이는 직접 보호물의 수, 전체 보호물의 수, 얼굴모습, 인물크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의 PDI 반응특성 차이는 비에 젖은 정도, 바람의 세기, 그림 속 사람, 사람의 기분, 사람에게 필요한 것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빗속의 사람 그림이 대학생의 성격특성을 파악하는 검사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Person In The Rain (PITR)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to PITR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targets 256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two universities in Gyeonggi-do. The research tools used a PITR drawing test and a scale of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 data analysis was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direction of rain, strength of wind, number of clouds, number of puddles, area of puddles, and person contact with puddle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response resources in the PIT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irect protections, total number of protections, shape of face, and the size of pers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DI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T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ain wetness, strength of the wind, person in the drawing, person s mood, and the person s needs. Thes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ITR drawing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examin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반응특성과 부모-자녀 애착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2

        본 연구는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이 부모-자녀간의 애착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초등학교 2개교 5학년 203명(남 111명, 여 92명)이었으며,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과 부모-자녀 애착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으로 사후검정은 Scheffé-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애착은 남·여학생 모두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SCD 아버지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아버지와의 애착은 얼굴 표정, 긍정 상징, 부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PSCD 어머니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어머니 애착정도를 보면 긍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서 남․여학생 모두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여학생은 얼굴 표정, 부정 상징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PSCD 자기상 반응특성에 따른 부․모 애착의 차이에서 남․여학생 모두 얼굴 표정, 부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 따라 부․모 애착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 검사는 부모-자녀간의 애착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f Parent-Self-Centered- Drawing(PSCD) could be a good measurement of parent-child attachment.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attachment theory was experimented using Parent-Self-Centered-Drawing(PSCD) among 203 5th graders(111 males, 92 females) in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ose data was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n elementary students, the parent-child attachment tended to be higher with mothers than fath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Secondly, they had shown different responses to father-child attachment depending on facial expression, positive symbols, nega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PSCD. Thirdly, they also had shown different responses to mother-child attachment depending on posi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PSCD. Besides that, in females, facial expression, negative symbols had affected their responses as well. Lastly, PSCD had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to parent-child attachment regarding facial expression, nega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both genders. Consequently, it has proven that parent-self-centered-drawing(PSCD) can be a good measurement of parent-child attac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