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사 지식의 유용성

        장윤희 ( Jang Yoon-hee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2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KLH) is not only ‘inert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of past period but also ‘active knowledge’ which contributes full understanding the present-day Korean language and is valu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LH is very helpful in teaching letters, phonics,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Korean language. Especially KLH serves to reduce foreign student’s difficulties caused by preconceptions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many exceptional and irregular linguistic phenomena. KLH makes many learning materials understanding that seem to require simple memorials. Furthermore KLH helps foreign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well. Hen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is role of KL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고대국어 연결어미 '-遣'과 그 변화

        장윤희(Jang Yoon-hee)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고대국어 자료의 ‘-遣’은 “계기성, 동시성, 전제” 등의 폭넓은 의미 영역을 표시하던 연결어미 ‘-<SUP>*</SUP>겨’를 표기한 것이다. 이를 ‘-고’로 읽은 것은 조선 후기에 의미를 중시하여 붙인 독법이다. 연결어미 ‘-遣(<SUP>*</SUP>겨)’는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와 동명사어미의 통합체인 ‘-ナㄱ’이 하나의 연결어미 ‘-<SUP>*</SUP>견’으로 굳어진 후 ‘-<SUP>*</SUP>견 > -<SUP>*</SUP>겨’의 변화 과정을 통해서 나타난 것이다. ‘-遣(<SUP>*</SUP>겨)’가 통합한 절 연결의 용례는 13세기말 이후의 이두 자료에서도 생산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구 연결의 용례인 ‘-遣(只)賜-’는 ‘-去有-’로 변화하여 나타나는데 이는 ‘-<SUP>*</SUP>겨 > -거’의 통시적 단모음화의 결과이다. 이러한 구 연결의 ‘-遣(<SUP>*</SUP>겨)’는 후기 중세국어의 ‘-거시-’(< -거#시-)의 ‘-거’에 화석형으로 남아 있다. '-遣' in the materials of old Korean language is the trans-cription of the conjunctive ending '-<SUP>*</SUP>gyeo' which represented the meaning of "succession, simultaneity, premise of statement". In the later part of Choseon(朝鮮) dynasty, it's pronunciation was fixed as '-go', because people of that period could not understand this ending and it's meaning is most similar to another conjunctive ending '-go'(and). Conjunctive ending '-<SUP>*</SUP>gyeo' was a result of diachronic change; gyeo(prefinal ending) + -n(final ending) > <SUP>*</SUP>gyeon(final ending) > <SUP>*</SUP>gyeo. '-遣(<SUP>*</SUP>gyeo)' which was used for clausal conjunction can often be found in the Idu(吏讀) materials after the late 13th century. On the other hand, '-遣(<SUP>*</SUP>gyeo)' which was used for phrasal conjunction can scarcely be found in the materials of that period. As a result of diachronic monophthongization(yeo > eo), '-遣(<SUP>*</SUP>gyeo)' changed into '-geo' after 14th century, and remained as linguistic fossil in Middle Korean '-geosi-'.

      • KCI등재

        석독구결의 속격 '-尸‘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장윤희(Jang, Yoon-hee) 구결학회 2011 구결연구 Vol.27 No.-

        석독구결에서 주로 동명사 어미를 표기하는 '-尸'이 속격조사의 표기에도 나타나는 현상이 왜 나타나는지, 또 이 구결자가 표시하는 음가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충분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속격의 '-尸'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속격조사 '-ㅅ‘과 동명사 어미 '-ㅭ’이 서로 유사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유사성을 중세국어의 속격 조사 '-ㅅ'과 동명사 어미 '-ㅭ‘ 사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음절말 ㅅ이 'ㅅ→?'의 불파음화를 경험한 결과음과 동명사 어미 '-ㅭ'의 말음이 서로 같기 때문에 동명사 어미 '-ㄽ’ 표기가 나타났다. 석독구결 자료에서는 음절말 ㅅ의 불파음화 초기 모습을 보여준다. 그 결과 속격 '-ㅅ'이 불파음화한 7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 속격 '-尸'이다. 이렇게 볼 때 지금까지 해결하기 어려웠던 석독구결의 속격 '-尸'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무리 없이 해결된다. There has been no enough explanation of why '-尸(ㅭ), a verbal noun ending in Old Korean Seoktokgugyeol, used in place of the possessive postposition, and how it was pronounced. It can be assumed that '-尸(ㅭ) appeared as the possessive postposition because of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morph of the possessive postposition and the morph of verbal noun ending. Actually,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between ‘-s(-ㅅ)’, the possessive postposition, and '-l?(-ㅭ)', verbal noun ending in Middle Korean. Auslaut 's' which had gone through 's→?' implosion and the last sound or '-ㅭ' are the same. That was why another form of '-ㄽ' could be used as verbal noun ending in Middle Korean.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that the implosion of the auslaut 's' had started in Seoktokgugyeol materials. So '-尸' which generally used as verbal noun ending could be used as the transcription for '?', implosive sound of the possessive postposition '-s'. With this point of view, a lot of problems concerned with possessive postposition '-尸' can be explained.

      • KCI등재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의 현황 분석

        장윤희(Jang, Yoon Hee),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지난 10여년간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정책을 기반으로 공공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학교에 한정되어 있던 교육의 공간을 학습자의 일상적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사회로 확장시켜 미술교육의 주제를 다루며 새로운 교육지평을 제시하기 때문에 최근 교육영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통합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참여, 공동체 의식 함양, 일상연계, 인문학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아우를 수 있어서 교육적 활용성 및 가치가 높다.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이 인지적 정서적 사고로 전환되는 과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지역의 역사 생태 환경 지형 전통 문화예술 등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과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활동에 대한 전반적 흐름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도별, 지원대상별, 지원주제별, 지원방법별, 지원주체별로 구분하여 5가지 측면에서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교현장에 실현되기 위한 기초적인 기반 마련의 차원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며 교육적 활용범위를 파악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필요성을 지닌다.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서 미술교육의 당위성과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For the past decade in Korean,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has been provided with continued financial support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policies such as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Education space which has been limited to schools has recently drawn keen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t expands the education space to communities where learners daily lives are made, treats it as a subject of art education and presents new education standard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it is highly useful as a medium that can encompass diverse learning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communal spirit promotion,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daily connections, and humanities.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and pattern of community base art education activ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year, target, subject of support, an entity of support, and method of support classified the data and each suggestion was drawn and summarized in five aspec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of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be realized at the school site and are necessary as a basic study for future development. We hope that further detailed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relevance and scalability of art education.

      • KCI등재

        현대국어 ‘르-말음(末音)’ 용언(用言)의 형태사(形態史)

        장윤희 ( Jang Yoon 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2

        현대국어의 ‘르-末音’ 用言에는 音韻變化에 의한 것과 語幹 再分析에 의해 再構造化한 것들이 있다. 어간 재구조화를 경험한 용언 대부분은, 有聲 喉頭摩擦音 //의 소멸 및 국어에서 보편적이지 않은 음절의 보편적 음절로의 실현 현상, 그리고 활용형에 대한 語幹 再分析 과정을 포함한 ‘X오/X우->X르-’의 語幹 再構造化를 경험한 것이다. 특히 ‘머므르-, 어우르-’ 등과 같이 기존에 ‘ㄹ-末音’ 用言에서 재구조화한 것으로 알려진 ‘르-말음’ 용언들은 대부분 이러한 어간 재구조화를 통해 형성된 것이다. 현대국어의 ‘르-말음’ 용언들은 대부분 ‘르’ 不規則活用을 보이는데 이는 이전의 ‘르’ 불규칙활용형이 이어진 것은 물론, //의 소멸로 인한 형태소 경계에서의 ‘ㄹㅇ>ㄹㄹ’의 변화, ‘X오/X우->X르-’의 語幹 再構造化 등을 경험한 것들이 포함된다. 또한 ‘러’ 不規則活用은 물론 規則活用을 보이는 경우도 발견된다. The verbs that have stem-final ‘ri’(‘ri-final verbs’) of the Modern Korean are the results of both phonological changes and restructuring due to reanalysis of verb-stem. Most of ‘ri-final verb-stems’ that had undergone verb-stem restructuring are the results of ‘Xo/Xu->Xri-’ restructuring that contains the disappearance of /h/(voiced laryngeal fricative), the phenomenon of getting syllabic universality, and reanalysis of the verb-stem. Especially, most of the ‘ri-final verbs’ that are known to have undergone ‘Xl->Xri-' restructuring such as ‘m□miri-(留), □uri-(竝)’, are in fact the results of this restructuring. Most of the ‘ri-final verbs’ in Modern Korean show ‘ri-irregular conjugation’. Among these verbs, some are descendents of the verbs showing the same conjugation of the past, others are the result of the ‘lh>lr’ change in the morpheme boundary, and the others are the result of ‘Xo/Xu->Xri-’ restructuring in verb-stem. In addition, a few ‘ri-final verbs’ of the Modern Korean show ‘r□- irregular or regular conjugation’.

      • KCI등재

        석독구결(釋讀口訣)의 관형구성(冠形構成) ‘-□□/□’과 ‘-□□/릿’의 문법사적(文法史的) 해석(解析)

        장윤희(張允熙) ( Jang¸ Yoon-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지금까지 석독구결에는 용언 활용형으로 명사구를 수식하는 관형구성으로 ‘-□/ㄴ’, ‘-□/ㅭ’과 ‘-□□/□’, ‘-□□/릿’ 두 가지 구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형사형 어미라고 보았던 ‘- □’, ‘-□’은 동명사 어미이다. ‘-□’, ‘-□’ 동명사는 후행 명사구와 대등한 명사구를 만들어 명사구 연속 구성을 이룬다. 이때 ‘-□’, ‘-□’ 동명사는 후행 명사의 내용을 담고 있는 대등 명사구를 만든다. ‘-□’, ‘-□’에 의한 명사구가 후행 명사구를 ‘수식’하기 위한 관형구성이 ‘-(□)□□/□’, ‘-□□/릿’이다. 이들은 의존명사를 포함한 구성과 같은 의미를 표시한다. 따라서 이들은 동명사 어미, 의존명사, 속격조사의 결합형이다. 이때 의존명사가 더해지는 현상은 속격이 요구하는 명사성을 더하기 위해서이거나 ‘所’ 등이 있는 한문 원문의 석독문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 ‘-□’ 동명사 구성은 형태적으로, ‘-□□/□’, ‘-□□/릿’ 관형구성은 구문 구조적으로 중세한국어 ‘…□ NP, …□ NP’의 관형절로 이어졌다. 동명사 어미의 쇠퇴로 재분석된 관형사형 어미 ‘-ㄴ’, ‘-ㅭ’에 의해 명사구 수식 구성인 ‘-□□/□’, ‘-□□/릿’은 소멸되었다. So far, there have been two types of verbal adnominal form, ‘-□/n’, ‘-□/l□’, ‘-□□/nΛs’, and ‘-□□/lis’ were known to be. However, ‘-□/n’ and ‘-□/l□’ which have been perceived as the adnominal endings until now, are gerunds. ‘-□/n’ and ‘-□/l□’ are made up of consecutive(parallel) noun phrases by making noun phrases that are in apposition with the noun phrases in the later. This appositional noun phrases which composed by gerund ending of ‘-□/n’ or ‘-□/l□’ contain the content of the noun phrase in the later. ‘-□□/nΛs’, and ‘-□□/lis’ are the adnomial composition for modifying the later noun phrase by the noun phrases which made by the gerund ending of ‘-□/n’ or ‘-□/l□’. They represent the meaning equivalent to the composition including the dependent noun. Therefore, these are also a combination of gerund endings, dependent nouns, and genus investigations. At this time, the phenomenon of adding dependent nouns may be due to the addition of Noun Properties required by the genitive, or the influence of the result of reading in Korean sentence the original Chinese text which has ‘所’. The Middle Korean adnominal clauses of ‘…hΛn NP, …hΛl NP’ are the later forms from ‘-□/n’, ‘-□/l□’ for appearance and ‘- □□/nΛs’, ‘-□□/lis’ for syntactic structure. The adnominal compositions of ‘- □□/nΛs’, ‘-□□/lit’ were disappeared by the reanalyzed adnominal endings of ‘-ㄴ/n’ and ‘-ㅭ/l□’ due to the decline of the gerund endings.

      • KCI우수등재

        문법사 대계 기술의 선결 문제와 기술의 실제

        장윤희(Jang, Yoon-hee)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대계의 기술을 위해서는 우선 그것이 개론적인 성격의 것인지, 연구서적인 성격의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술 내용과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개론서적인 대계가 현실적이다. 과거의 대계류 업적들을 검토하여 정한 현재의 내용 체계는 완벽하지 않다. 우선 ‘후치사의 변화’는 현재의 문법 체계와 연구 경향과 거리가 있으므로 ‘조사의 변화’로 수정되어야 한다. ‘서법’의 개념을 고려할 때, ‘서법의 변화’는 양태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로서의 ‘서법의 변화’와 ‘문장종결법의 변화’로 나누어져야 한다. 또한 ‘접속법의 변화’는 ‘문장 구조의 변화’에서 다루어져야 하고, ‘구문의 유형과 변화’가 내용 항목으로 더해져야 하며, ‘시제의 변화’는 ‘시제와 상의변화’로 수정해야 한다. “문법 범주의 변화”를 다루는 하위 항목의 제목은 범주명으로 붙여져야 한다. 문장종결법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장의 유형 분류를 확정해야 한다. 독자를 고려할 때 문장 유형의 명칭은 학교문법의 용어를 따르는 것이 좋다. 이렇게 확정한 각각의 문장종결법별로 어떠한 통시적 변화를 보이는지 기술해야 한다. 타당하고 유용한 대계의 기술을 위해 이러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escribe a series of grammatical history, we have to decide whether it is the one of introductory book or the one of in-depth research book. This is because the contents and method of description are determined accordingly. Of these two, a series of grammatical history which has nature of introductory book is realistic. The present composition of contents, which is determined by examining past achievements, is not perfect. Most of all, ‘change of postposition’ should be modified, because ‘postposition’ is far from the current grammar system and research trend. Considering the concept of mood, we can find that ‘change of mood’ should be divided into ‘change of mood’(‘mood’ means the grammatical category which express modality in it.) and ‘change of method of sentence ending’. ‘change of methods of sentential conjunction’ should be treated in ‘change of sentence structure’, ‘patterns of sentence constructions and its change’, ‘change of tense’ should be modified into ‘change of tense and aspect’. And the tittle of subitems in ‘change of grammatical category’ should be named using category name. For the description of ‘methods of sentence ending’, we must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sentence types in first place. Considering the reader’s position, we need to use school grammar terms. The diachronic change of each of these confirmed sentence types items must be explained. A plausible and useful description of a series of grammatical history, discussions of this nature need to be continued.

      • KCI등재후보

        국어생활사 교육의 성격과 목표

        장윤희 ( Yoon Hee Ja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0 No.-

        The linguistic life history of Korean(LLHK) is a new field which can be described as a combination of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KLH) and Korean cultural elements. It has been often called th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 culture. For identifying this new field, we need to focus on the part only concerning on Korean language, not the broad Korean linguistic culture. While KLH is originally meant for explaining the diachronic change of Korean language, LLHK is for shedding light on the diachronic change of Korean linguistic life. It can be classified into two components, the history of using Korean language(the usag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the life history of targeting Korean language. The one can be contents of the sub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can be related to KLH in grammar education. The other can be direct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lso indirect contents of the sub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 of LLHK should aim at understand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n language, relationship between KLH and LLHK, and also having positive attitude toward advancing in Korean language culture through understanding the facts that daily linguistic life is the building process of languag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