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박나실 ( Nashil Park ),장연우 ( Yeon Woo Chang ),소경희 ( Kyung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학교 변화에 있어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다. 국내에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연구들은 주로학교 밖의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사의 변화에 초점을 둠으로써, 교사의 변화가 어떻게 학교의 변화나 개혁으로까지 확장되는지를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에 주목하여, 학교 변화에 있어 이러한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한 중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학교 안교사학습공동체가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발전될 수 있으며, 학교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본연구의 결과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에 있어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는 해당 학교 교사들이 “우리” 학교가 갖는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이를 함께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를 변화시키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리더 교사들의 역할, 학습 텍스트의 성격, 유연한 학습 조직 등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Interest in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has proliferated in school reform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number of studies about such communitie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Because existing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changes in teachers, however, they have not yet clarified how teachers’ changes affect overall school change.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chool-base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the relation to school change. By utilizing a case study o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this study investigates how such a community is forged and developed, and contributes to school change. The study finds that the community serves a critical function in changing the school, as it provides a foundation upon which teachers share their ideas and practice them together in order to address “our school’s” problems.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the roles of teacher l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flexibility of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ll essential to the community function.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학습 양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장연우(Chang Yeon-Woo),소경희(So, Kyunghee),박지애(Jiae Park)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국내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를 다룬 연구물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학습이 어떤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물에 소개된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들에서의 교사학습을 그 방법과 깊이, 결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학습의 방법으로는 ‘공유하기’, ‘반성하기’, ‘피드백 주고받기’, ‘공부하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일부 학습공동체의 경우는 ‘실험하기’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각 학습방법이 구체적으로 활용되는 방식은 학습공동체의 학습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학습의 깊이 측면에서는, 가르치는 방법과 관련한 기저의 가정과 원리에 대해 질문하고 논의하는 ‘높은’ 수준의 대화보다는, 수업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낮은’ 수준의 대화와, 왜 그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중간’ 수준의 대화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습공동체에서는 이 양자를 넘나드는 수준, 즉 ‘낮은 ↔ 중간’ 수준 정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낮은’ 수준의 대화만이 이루어진다거나, 이와 달리 ‘높은’ 수준으로까지 심화된 대화가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도 일부 있었다. 교사학습의 결과 측면에서는 국내의 교사학습공동체들이 주로 교과교수학적 지식의 함양(인지적 측면)과 자신감 및 교수효능감 증진(정의적·사회적 측면)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가 결론에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teacher learning is unfolding in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that deals with cases of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teacher learning in the cas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troduced in prior research in terms of its method, depth, an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haring’, ‘reflecting’,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and ‘studying’ were used a lot as methods of teacher learning, while some learning communities were also using ‘experimenting’. In addition, the specific way in which each learning method was utilized differed depending on the learning focu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terms of the depth of teacher learning, rather than ‘high’ conversations about basic assumptions and principle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low’ conversations about ideas about teaching methods and ‘middle’ conversations about why they want to use them were mainly shown. In most learning communities, learning was taking place at a level that crossed this level, or ‘low ↔ middle’ level, but there were some learning communities where only ‘low’ levels of conversation were made, or on the other hand, intensified conversation to ‘high’ levels. In terms of teacher learning, the domestic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inly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gnitive aspect) and the promotion of confidence and teaching efficacy (emotional and social aspect). A discussion of these findings was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멀티코어 환경에서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메모리 관리 기반 하이브리드 트랜잭셔널 메모리 기법

        장연우 ( Yeon-woo Jang ),강문환 ( Moon-hwan Kang ),장재우 ( Jae-woo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최근 멀티코어 프로세서가 개발됨에 따라 병렬 프로그래밍은 멀티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법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랜잭셔널 메모리는 처리 방식에 따라 HTM, STM, HyTM으로 구분되며, 최근 HTM 및 STM 결합한 HyTM 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HyTM 는 HTM과 STM의 동시성 제어를 위해 블룸필터를 사용하는 반면, 블룸필터의 자체적인 긍정 오류를 해결하지 못한다. 아울러,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메모리 할당/해제를 기존의 락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멀티코어 환경에서 스레드 수가 증가할수록 트랜잭션 처리 효율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환경에서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메모리 관리 기반 하이브리드 트랜잭셔널 메모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트랜잭션 처리에 최적화된 블룸필터를 제공함으로써,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서로 다른 환경의 트랜잭션에 대해 일관성 있는 처리를 지원한다. 아울러, CPU 캐시라인에 최적화된 메모리 기법을 통해, 메모리 할당량이 적은 트랜잭션은 로컬 캐시에 할당함으로써 트랜잭션의 빠른 처리를 지원한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박지애 ( Jiae Park ),소경희 ( Kyunghee So ),장연우 ( Yeon-woo Chang ),허예지 ( Yae-ji H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2

        역량 교육은 근대적 지식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획기적인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현장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급격히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역량 교육이란 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근대 교육과 별반 다르지 않을 수도, 근대 교육의 문제를 타개할 대안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역량 교육에 접근할 것인지가 그 혁신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으로 접근할 때에 역량 교육이 지닌 잠재력과 혁신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고, 역량 교육을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역량 교육의 초석이 되는 학습자와 지식에 대한 관점을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탐색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종래의 역량 교육 접근이 내포한 한계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드러내고, 역량 교육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역량 교육은 학습자를 타자와 독립된 이성적 주체로 상정하고, 학습자의 사유 방식을 특정 지식의 형태로 고정시킬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근대 교육이 지닌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 대안적 방향으로 역량교육이 ‘-하기(doing)’보다는 ‘-되기(becoming)’에 주목할 것과, 지식을 학습의 참조 자료이자 진원으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Competence-based education was acclaimed as a breakthrough in modern education and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field. However, whether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 real alternative to modern education or not depends on the point of view taken.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deal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can be achieved when it is understood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competence-based education from that post-modern perspectiv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ers explore a post-modern perspective of learners and knowledge based on the Deleuzian ontology. In light of this, the study includes a critical review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has been deemed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Also examined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ompetence-based education through which the full potential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realized.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emphasized with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ill retains basic assumptions of modern education; it articulates learners as rational subjects independent from others and fixes their thoughts on knowledge of school subj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ompetence-based education focus on ‘becoming’ rather than ‘doing’ and see knowledge as reference materials and epicenters of learning.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10년 이후 AERA 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허예지 ( Yae-ji Hu ),박지애 ( Jiae Park ),장연우 ( Yeon-woo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오늘날의 급속한 사회 변화는 기존의 관점과 연구 틀로는 교육과정 현상을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장에서는 다양한 관점, 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교육과정 연구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에 걸쳐 진행되어 온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적인 동향을 메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 세계 교육연구자들의 논문이 발표되는 ‘미국교육학회(AERA)’ 연차학술대회의 교육과정 분과에서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발표된 436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이론적 관점,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교육과정 관련 현상을 정치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주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과 저항’ 및 ‘세계화 및 탈식민화’가, 이론적 관점에 있어서는 서구, 백인, 중산층, 남성, 비장애인 중심의 근대 인식론을 비판하는 ‘탈식민주의’, ‘비판이론’, ‘페미니즘’, ‘인종이론’이, 그리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경험을 탐구하는 ‘내러티브연구’, ‘예술기반연구’, ‘자기-연구’ 등의 ‘질적 연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970년대 등장한 재개념주의가 여전히 교육과정 학계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또한 기존의 재개념주의라는 우산으로 포섭될 수 없는 새로운 연구들, 즉 ‘탈-언어적’, ‘탈-인간적’, ‘혼종적’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이들이 교육과정 연구의 ‘포스트-재개념주의’로 해석될 수 있음을 논의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육과정 연구의 관심사가 좀 더 확장되고 다변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언되었다. Rapid changes in today’s society have made it difficult to understand curricular phenomena within a former research framework. Accordingly, curriculum inquiries using various perspectives,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actively presented in recent international conferenc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of curriculum studies in recent ten years. For this purpose, 436 articles presented in Division B in AERA annual meetings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from three aspects: theme, perspective, and method. Findings show that popular themes are ‘Criticism and Resistance to Mainstream Hegemony’ and ‘Globalization and Decolonization’, which articulate curricular phenomena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Frequently adopted perspectives are ‘Decolonialism’, ‘Critical Theory’, ‘Feminism’, and ‘Race Theory’, criticizing the modern epistemology that is western, white, middle class, male, and non-disabled-centered. A commonly used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exploring personal experiences, which includes ‘Narrative Inquiry’, ‘Art-based Research’ and ‘Self-study’. These results imply the dominance of reconceptualization emerged in 1970s. However, they also reveal an increase of new studies such as ‘Post-linguistic’, ‘Post-human’ and ‘Hybrid’ studies, which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umbrella of the reconceptualization, but can be interpreted as post-reconceptualization. Consequently, the necessity of broadening the range of interests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is suggested.

      • Study on the physical properities of SiO_(2)-ZrO_(2) composite powder in Sol-Gel method

        Chang, Yeon-Woo,Kim, Woon-Soo,Kim, Woo-Sik,Kim, Yong-Wook 慶熙大學校 材料科學技術硏究所 1996 材料科學技術硏究論集 Vol.9 No.-

        반회분식 Rushton type 반응기에서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말을 졸겔법으로 합성하였다. 교반속도, TEOS주입농도, 주입시간 및 용매의 종류에 따른 합성된 복합분말의 형태와 입자분포변화를 살펴보았다. 제조된 분말의 형태는 용매의 종류에 의존하였다. 용매가 methanol, ethanol 및 n-propanol인 경우에는 구형태의 분말이 제조되었지만, n-butanol에서는 불규칙한 모양의 분말이 합성되었다. 이때 TEOS와 물과의 몰비는 20이상이었다. 그러나 구형분말의 입자크기는 용매종류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주로 반응기내의 교반속도 및 TEOS의 농도에 의존하였다. 졸겔법에서 반응물과 용매의 화학적인 특성은 합성된 복합분말의 크기보다 모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단계 성장모델을 이용하여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말의 입자성장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