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일본 고대 및 중세의 자료에 수록된 고려왕조에 관한 기사의 연구

        張東翼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6

        There was no active economic, cultural and human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as they had no official foreign relationship each other. For this reason, we hardly find any detailed description on the Goryeo dynasty and people of Goryeo in Japanese literary sources except extremely fragmental descriptions. This is due to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ountries and to a tendency that only brief facts were written in many materials. Therefore, even these fragmental descriptions need to be classified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our materials. There seems to be about 450 mentions of Goryeo dynasty in Japanese literary materials : 245 mentions in 23 diary materials ; 163 in 23 edited materials, 22 in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22 in edited documents, 9 in the preface and postscripts of the books, 15 in marginal spaces. Although there were various types of contents in these mentions, in the most cases there were about commissioners and official letter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foreign relationship, mutual visits, return of drifting persons, and trade of Korean literature and goods.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changes of foreign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from the diary materials, as they were too belief. However, they were important tools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exchanges between to kingdoms which does not appear in the Korean chronology. Given the fact that the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and edited documents of Japan mentioned the Goryeo were foreign documents sent to Japan, and that there is no document of Goryeo dynasty left, these Japanese materials are so important in terms of philology. And also from the edited materials, the preface and postscripts of the books, and the marginal space we can find out some aspect of economic, cultural and human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which had no official relationship. Most Japanese descriptions of Goryeo dynasty in their materials, except few, are fragmental mentions about foreign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Nevertheless, there are important materials as they were never mentioned in the Korean materia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환경오염, 자유시장, 그리고 사회적 차별

        장동익 ( Chang Dong-ik ) 한국윤리학회 2015 윤리학 Vol.4 No.1

        인간이 살아간다는 것은 그 자체로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것을 함축한다. 오염을 시켜서는 안 된다거나 환경을 보존하자는 주장이 그 자체로 의미 있다할지라도, 인간이 안락한 생활을 추구하는 한 오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환경 논의의 핵심은 어떻게 오염을 방지할 것인가이다. 이러한 비판에 나름대로 대답을 제공하는 입장은 환경에 대한 인간 중심주의이다. 그리고 인간 중심주의 해결책이 기초로 삼고 있는 원리는 자유시장환경주의와 비용편익분석이다. 그러나 이러한 두 원리를 환경 문제에 적용한 결과는 사회적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상당히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여기에서는 인간 중심주의가 기초로 삼고 있는 자유 시장 환경주의와 비용편익분석이 어떻게 사회적 차별의 원인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서, 그것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We live and pollute our environment. To live is to pollute. So pollution would not be eliminated. Our Point of environmental discussions should be concerning about how to protect pollution in our environment. We have three approaches of environmental ethics, Anthropocentric, Sentientist, and Biocentric, but only Anthropocentric approach tells us a cue to protect that pollution. This approach is based on Free market environmentalism and cast-benefit analysis. I think if we would employ Free market environmentalism and Cost-benefit analysis, they make some social discriminations. Here I will examine how they cause some social discriminations

      • KCI등재

        ▣ 일반 논문 : 비대칭성, 아레테적 평가어, 그리고 덕 윤리 -Michael Slote의 덕 윤리에 대한 비판과 옹호-

        장동익 ( Dong Ik Cha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덕 윤리 구조의 타당성은 덕 윤리 자체의 타당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이클 슬로트(Michael Slote)는 체계적인 구조를 갖는 덕윤리를 제시한다. 그러나 덕 윤리를 옹호하기 위한 여러 근거들, 예를들면 비대칭성, 경탄할만함(the admirable)과 같은 아레테적 평가어의전환, 공리주의의 미결정성 문제 등은 많은 논쟁을 야기하였다. 이러한논쟁점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덕윤리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제기되는논쟁과 비판에 슬로트의 덕 윤리가 견뎌낼 수 없다면 수정되거나 폐기되어야 하며, 견뎌낼 수 있다면 체계적인 덕 윤리의 한 형태로 본 모습을유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슬로트의 덕 윤리의 핵심 주장을살펴보고, 그 주장에 제기될 수 있는 비판들을 고찰한 후에, 그 비판에대해 해명하면서, 슬로트의 덕 윤리가 여전히 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Michael Slote suggests the Common Sense Virtue Ethics with systematic structure in Moral evaluations, by which Virtue Ethics in general is affected. There have occurred a lot of controversies by his rationales being suggested in defending his own virtue ethics, for example, aretaic terms like asymmetry or the admirable, and undetermination in utilitarianism. I will introduce these controversies and answer to the opposite arguments about Slote`s rationales in this paper, in order to show his virtue ethics standing for these opposite views. So in this paper, though not clearly, I will show that Slote`s virtue ethics is still viewed as a valuable theory of virtue.

      • KCI등재

        연구 부정행위 발생 원인과 연구 부정행위 분류 -연구윤리교육의 기초 놓기-

        장동익 ( Chang Dong I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2

        본 논문은 먼저 도제식 교육방식, 성과 위주의 연구 환경, 그리고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추론방식에 의한 부정행위 발생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도제식 교육 방식과 성과 위주의 연구 환경은 연구 부정행위 발생 원인으로 흔히 제시되어 논의 된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추론하는 방식의 차이, 즉 가설 연역적 추론 방식이 흔히 사용하게 된 것이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강력한 유혹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연구 부정행위 발생 원인을 추적한 후에, 연구 부정행위의 종류들을 분류하면서 연구 부정행위의 종류별 특성을 밝히려고 할 것이다. 연구 부정행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부정행위 특성에 따른 분류, 2. 연구 수행과정에 따른 분류, 3. 연구 주제 자체에 따른 분류. 이런 방식의 분류는 지금까지 시도한 적이 없는 분류방식이다. 연구 부정행위의 성격과 내용은 연구 윤리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는 근본 토대가 되기 때문에, 연구 부정행위의 성격과 내용을 탐색하지않고서 연구 윤리교육을 말하는 것은 혼란만 부추기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혼란을 일소해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paper, first of all, has examined the various causes of research cheating.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performance-oriented research environment are usually recognized as the major causes of research cheating, but I will present another one: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inference or hypothetical deductive inference.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research cheating will be explained in analyzing research cheating: 1)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research cheating, 2)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courses, and 3)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issues. Here, the main purpose of analyzing research cheating is to clarity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research cheating. For the education of research ethics to make a success, we ne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research cheating, and then we can get a proper guideline for research ethics education. But there is confusion among the fields of discussions in research ethics and research ethics education. I hope this paper can help reduce their confusion without failure.

      • 투고논문 : 10세기 고려왕조의 대외관계 기사에 대한 보완(補完)

        장동익 ( Dong Ik Ch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이 논문은 『고려사』 세가에 수록되어 있는 소략한 초기의 대외관계 기사를 보완하기 위해 한·중·일 3국의 자료를 발췌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중 주목될 수 있는 점은 『고려사』에 거의 언급이 없는 5대 10국 중에서 남중국에 위치한 吳越·南唐(齊)·? 등과 고려왕조가 빈번하게 교섭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자료들을 추가한 것이다. 또 『고려사』에서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일본과의 외교관계에 관한 여러 자료를 발굴하여 향후 고려초기의 대외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들 자료를 정리한 것을 토대로 하여 『고려사』 세가편에 수록된 초기(태조~목종) 대외관계 기사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고려사』 세가편에 수록된 대외관계 기사를 포함한 전체적인 기사가 소략한 것은 기본적으로 七代實錄의 消盡으로 인한 것이지만, 이를 復原한 『七代實錄』(『七代事跡』)의 내용도 소략했을 가능성이 있다. ② 『고려사』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여타의 실록과 마찬가지로 편년체로 이루진 것으로 추측되는 『七代實錄』을 기전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실록의 내용이 크게 刪削되는 동시에 여러 編目에 분산되어 대외관계 기사가 世家編에서 누락되었을 것이다. ③ 『고려사』 世家編에는 실록 이외의 타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추측되는 대외관계의 기사의 수록에서 ‘이해(是歲)’가 缺落되어 시기의 판정 및 내용에서 오류를 범한 것이 있다. 또 같은 사실을 原資料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를 보이는 점도 있고, 여러 사실이 압축되어 수록되었기에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었던 것 같다. This essay is to amend the articles on the foreign relationship of the early Koryo dynasty in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by examining other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of the same period. This amendment contains some new material showing that Koryo dynasty had relationship with some of the Ten Kingdoms such as Wuyue, Southern Tang and Min. This Essay also aims at to provide some essential materi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Koryo and Japan, which was not mentioned at all in History of Koryo. This essay shows that the articles written in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have following problems; First, it is said that the briefness of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is due to the loss of ChildaeSillok by a fire. However, we cannot exclude a possibility that the restored edition of ChildaeSillok itself had brief explanation on the foreign relationship. Secondly, History of Koryo was written by transforming ChildaeSillok from the chronological system to the subjects system. In this process many of articles on the foreign relationship may had been either omitted or scattered into other chapters. This may explain why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is so brief. Thirdly,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may had been based on other material beside ChildaeSillok. Many of error in contents and dates in the matter of the foreign relationship seem to have been due to misunderstanding these material. Many facts from from these material may have been omitted in the ‘Powerful Familes’ chapter of History of Koryo because of either similarity or difference between them and ChildaeSillok.

      • KCI등재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 논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동익 ( Chang Dong I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 No.89

        이 논문에서는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이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논의에서 큰 의의가 없다는 것을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해 준다고 주장되는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행위’와 ‘무행위’, 그리고 ‘죽이려는 의도’가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해명하였다. 그리고 적극적/소극적 안락사 구분에 실패한다면, 적극적 안락사는 금지하고, 소극적 안락사는 허용하려는 입장은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해명하였다. 또한 행위와 무행위에 의해, 적극적/소극적 안락사를 구분할 수 있지만, 이렇게 구분된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에 도덕적 차이가 없다는 이유로,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되어야 한다는 레이첼스의 견해에 논리적인 문제점이 있다는 것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hat the classification of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is not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ethical discussion of euthanasia. For this purpose, the groun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were examined. It was clarified that “action,” “omission,” and “an intention to kill” cannot be the basis for distinguishing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This study also proved that if the distin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fails, the position of banning active euthanasia and allowing passive euthanasia is not successful. In addition, this paper found a logical problem in Rachels' view, according to which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istinguished by action and omission but active euthanasia should be allowed because no moral difference exists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