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수사학 "환유"를 통한 도자미술의 시각언어 연구

        방창현 ( Chang Hyun Bang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도자미술에 등장한 새로운 시각언어를 ‘환유의 수사학’을 통해서 분석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 담론을 현대 도자미술에 접목시켜 현대도예의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할 포스터와 로날드 슐라이퍼, 라캉의 저서들 중에서 수사학과 연계성이 있는 저서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하고, 이들 수사학 이론에 적용될 수 있는 실증적 사례는 도예 잡지와 인터넷 도예 아카이브에서 환유의 수사성을 지니고 있는 작가의 작품에서 선택하였다. 선행 연구와 작가분석을 통해서 환유의 수사성은 ‘오브제’와 ‘페티시즘’ 미술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표면성, 우연성, 인접성, 의미의 공백, 불확정성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 수사학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21세기 도자미술 시각언어의 확장은 ‘환유’의 수사학과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라캉의 욕망이론은 사물의 기표가 그것에 친숙한 공간에서 벗어나 전혀 다른 상황에서 새로운 사물을 만나 새로운 기의를 생산하는 도자 ‘오브제’ 작품과 사물이 본래의 고정되어 있던 기의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지시하는 ‘페티시’ 작품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분석이론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도자미술에 주목받지 못한 수사학을 도자미술의 분석틀로 상정한데 있다. 무엇보다 뒤샹의 오브제 미술에서 환유적 수사성을 발견하고, 순수미술의 오브제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도자미술의 오브제 경향을 라캉의 이론을 통해서 밝힌 점은 도자미술 연구에서 주목할 성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ew visual language that appea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ceramic art through “rhetoric of metonymy” and to present the new trend of modern ceramic art by grafting the rhetoric discourses of postmodernism upon modern ceramic art. To achieve thi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centering on the books related to rhetoric among the books by Hal Foster, Ronald Schleifer, and Lacan, and the empirical cas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theory of rhetoric were selected focusing on the writers who have the rhetoric of metonymy in ceramic art magazines and Internet ceramic art archives. Through the past researches and the analysis of the writers, the rhetorical nature of metonymy was found in objet and fetishism art, and these had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which are superficiality, fortuity, adjacency, vacancy of meanings, and uncertainty, in comm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pans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ceramic art visual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the rhetoric of “metonymy” and particularly, Lacan`s theory of desire is a useful analytical theory in analyzing the ceramic objet works in which the signifier of things breaks away from its familiar space and encounters new things in totally different circumstances and produces the new signified and the “fetish” works in which things break away from the originally fixed signifier and directs new mean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onsists in postulating that the rhetoric that has not received attention in ceramic art is the analysis framework of ceramic art. Above all things, it is considered that finding metonymic rhetoric in Duchamp`s objet art, and revealing the objet trends of ceramic art, which is developing in the different direction of the pure art`s objet, through Lacan`s theory are notable achievements in ceramic art researches.

      • KCI등재

        무라노 베니니 유리예술에 표현된 콜라보레이션의 조형예술성 연구

        이우철 ( Woo Chul Lee ),이헌국(교신저자)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유리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베니니 공방과 디자이너의 표현경향을 분석하여 콜라보레이션 작품에 나타난 조형성과 예술적 가치를 고찰함으로써 현대 유리예술 발전에 다원화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무라노 유리예술에서 베니니 공방의 특색 및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필요성과 전략을 문헌과 자료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실증적 사례연구를 위한 베니니의 대표적인 작가 4 인을 선정하여 콜라보레이션 작품에표현된 조형성을 형태.색채.재료적인 요소로 분석하였다. 우선 알렉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는 재디자인을 통해서 과장된 색채의 ‘추상성’과 일상의 소재를 형상화한 형태의 ‘유희성’을 나타냈다. 에토레 소트사스(EttoreSottsass)는 기하학적, 비대칭적 구조물의 ‘추상성’과 재료 고유의 ‘투명성’을 표현하였으며, 엠마뉴엘 바블레드(Emmanuel Babled)는 이질적인 재료의 결합과 대비를 통해 ‘은유성’을 드러냈다. 그리고 안도 타다오(AndoTadao)는 자연의 빛과 미니멀리즘의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해 유리에 내재된 ‘양면성’과 ‘모호성’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조형요소로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작품의 차별화된 예술적 가치는 상호 간의 표현성이 융합된 다원주의적 특성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베니니 유리예술에 표현된 콜라보레이션의 조형예술성은 유리작품의 이미지 변화, 희소성, 차별성을 도모하기 위해 수공예 장인들의 전통기법과 디자이너의 미학적 사상을 융합시킨 것이고, 이러한 다원주의적 특성은 이전까지 저평가되었던 유리공예의 예술성을 격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콜라보레이션 제작전략은 현대 유리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새로운 가치 창출에 대한 가능성을 마련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uralistic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glass art by considering formativeness and artistic value in collaboration artwork by analyzing Venini workshop and expression tendency of designers who reinterpreted traditional glass crafts modernist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Venini workshop and strategies and necessity of collaboration in Murano glass art around literature and data. Also, 4 representative Venini artistis were selected for empirical case study and analyzed formativeness expressed in collaboration artworks into morphological, color, and material elements. First, Alessandro mendini expressed ‘abstractness’ of exaggerated color and ‘playfulness’ of embodied material for everyday life through redesign. Ettore Sottsass expressed ‘abstractness’ of geometric and asymmetric structures and ‘transparency’ of materials, and Emmanuel Babled revealed ‘metaphor’ through combination and contrast of materials Also, Ando Tadao highlighted ‘double-sidedness’ and ‘ambiguity’ inherent in the glass. The differentiated artistic value of collaboration artwork appeared through design elements is concluded to be pluralistic characteristic of blended mutual expressions. Therefore, the modeling artistic value of collaboration expressed in Venini glass art blended traditional techniques of master craftsman and aesthetic idea of designers to promote image changes, scarcity, and differentiation of glass works, and such pluralistic characteristic upgraded artistic value of glass work that has been underestimated and undervalued before. Moreover, the production strategy of collaboration provides direction of modern glass art and possibility of creating new values.

      • KCI등재

        조선 분청사기 "귀얄문"에 나타난 직관적 "즉흥성"에 관한 연구

        방창현 ( Chang Hyun Bang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조선의 분청사기가 만들어지던 전후의 시기에 중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의 도예가 치밀한 계획성과 작위성에 의해 공예작품을 제작한데 반해 조선 분청사기에서는 당시의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직관적 ‘즉흥성’을 통한 추상표현주의의 회화적 요소가 발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동서양에 나타난 ‘즉흥성’의 미학을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의 분청사기가 지니는 현대적 미감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 분청사기의 연원과 특징을 동아시아의 분청사기와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동양의 선불교 회화에서 드러나는 ‘즉흥성’의 미학과 서양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즉흥성’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분청사기 ‘귀얄문’에 나타난 즉흥성의 미학을 연구한다. 선불교 회화의 대표적인 양식인 달마도는 작위적인 기교 없이 한 두 번의 붓질로 선불교의 공(空)의 사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분청사기 귀얄기법과 연관성을 지닌다. 또한 서양의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즉흥적인 ‘선’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의 표현함으로써 ‘즉흥성의’ 미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결론적으로 ‘즉흥성’을 드러내는 동서양 미술은 공통적으로 기존 미술의 전통과 질서를 부정하고 새로운 미술을 추구하는 아방가르드적인 혁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아방가르드적인 혁신성이 조선의 분청사기에서 시작되어 현대 도예가들에게 계승발전되는 것은 일반적인 공예의 전통에 비추어 매우 희귀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Whereas ceramics all over the world were crafted using elaborate plans and contrivances at the time, Joseon buncheong ware reveals the pictorial element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rough intuitive ‘spontaneit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a new recognition of the value of Joseon buncheong ware by analyzing randomized spontaneity in the gwiyal technique using Western and Eastern aesthetics. For this, this article studies the ‘spontaneity’ aesthetics of gwiyal decoration by analyzing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Joseon buncheong ware compared to Eastern Asia’s buncheong wares, and also by looking into the ‘spontaneity’ emerged in Eastern art through Zen Buddhist painting and the ‘spontaneity’ of abstract expressionism of Western modernist paintings. Dalmado, a type of Zen Buddhist painting is closely related with gwiyal technique of buncheong ware in that it expresses the ‘void’ ideology with one or two brush strokes without any artificial technique. And avant-garde artists laid a theoretical basis of ‘spontaneity’ aesthetics through the ‘spontaneous’ art of ‘lines’ to express their inner world. In conclusion, the common grounds of Eastern and Western art with ‘spontaneity’ originate from the avant-garde innovativeness of denying the traditions and order of art of the past and pursuing new art. Above all, it is rare phenomenon that the avant-garde innovativeness starting from Joseon buncheong ware has succeeded to contemporary Korean potter in the light of the general tradition of craft.

      • KCI등재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연구

        이승은 ( Seung Eun Lee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연구는 한국·중국·일본의 문화적 특성과 색채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연구범위는 조선시대 후기(17-19세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통상차림의 사례연구는 상차림 유형의 주조색·보조색·강조색을 색채 측정기로 측색하여 먼셀값으로 표시한 후 전통상차림의 색채팔레트와 색채스케일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 바탕을 둔 전통상차림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는 음양오행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특성은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둘째, 한국 전통상차림의 색채를 살펴보기 위해 중국의 명·청 시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 상차림의 색채를 비교 분석하여 한·중·일 색채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한·중·일은 공통적으로 적색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색채배색은 한국의 상차림에서 고·중명도에 중·저채도의 색채특성이 나타났다면 중국은 고명도·고채도의 대비조화를 일본은 저명도· 저채도의 유사조화를 선호하였다. 한국은 전통 상차림에서는 적색계열의 색을 선호하였으며 고·중명도에 중·저채도의 색채특성을 나타냈다. 한·중·일 상차림의 색채표현 특성의 비교 연구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상차림에 나타난 색채특성을 연구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상차림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는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한식문화의 특성과 정체성을 세계 속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color arrangements of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17C to the 19C. The case studies were categorized through a value conversion of dominant color, secondary color, and accent color, measured by chromatometer, into Munsell hues upon which the color palettes and chroma scale of traditional table settings were represented. The research findings on Korea`s tradition-based table arrangemen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the traditional Korean table setting colors are based on the symbolism in Ying-Yang and Wu Xing philosophy and are still utilized today. Secondly, to examine the chromatics features of Korean table arrangements, a study was done by means of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ith the two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same time - the Qing and Ming Dynasties in China and the Edo period in Japan. These three countries show a common preference for red. However, the Chinese approach visualizes a high magnitude in both brightness and chroma while the Japanese approach shows low to low on these scales, and the Korean approach is characterized by moderation. Traditionally, the Korean approach favors shades of red on table arrangements, and this is distinctively registered as mid-to-high on the gray scale and mid-to-low on the chroma scale. It is expect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hrough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color attributes of Korean table arrangements, to disseminate Korean food culture and its identity worldwide.

      • KCI등재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에 기반한 현대 유리예술의 조형성 연구

        이우철 ( Woo Chul Lee ),이헌국(교신저자)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Carnivalesque)를 기반으로 현대 유리예술에 표현된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카니발레스크의 조형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카니발레스크는 전통적으로 관념화된 예술형식을 전복시키기 위한 문학양식으로 해체와 탈중심화 현상을 통해서 이질적 요소들의 결합, 친숙한 접촉, 비속화, 기이한 표현 등의 문학적 속성을 드러낸다. 특히 현대 조형예술에 나타난 카니발레스크의 표현형식은 상호텍스트성 및 그로테스크한 방식에서 그 특징이 발견된다. 이는 기존의 익숙한 이미지를 차용하거나 일상의 오브제를 왜곡하여 이상화된 모든 것을 희화적인 웃음으로 격하시킨 풍자적·폭력적·선정적인 표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무엇보다 현대 유리예술에 나타나는 카니발레스크 양상은 구체적으로 왜곡된 육체의 그로테스크성, 해학적 의미의 유희성, 희화적 행위의 풍자성, 성적 욕망의 관능성, 부정과 긍정의 양가성 등 카니발의 사회·비판적 의미의 풍자와 괴기·폭력·희화성을 지닌 육체적 표현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카니발레스크의 조형적 특성은 초현실주의적 세계와 관능적 에로티즘의 세계를 지향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는 사회적인 모순과 불안,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긍정적인 변화의 표현이며, 권위적인 것을 전복시켜 상대화하고 다양화하려는 예술 현상과 상응됨을 알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terns expressed in the modern glass art based on the Carnivalesque of Bakhtin. Carnivalesque is a style of literature to overturn the traditionally ideated art form and reveals the literary properties such as mesalliance, familiarization, profanation, eccentricity, etc. through the deconstruction and decentration.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forms in Carnivalesque are found in the intertextuality and grotesque method. They appear noticeably in the satirical, violent, sensational expressions, which degrade everything idealized to burlesque laugh by borrowing existing familiar image or distorting daily objet. Above all, the modality of Carnivaleque in the modern glass art shows characteristically the satire in the social and critic meaning of carnival such as grotesqueness of distorted body, playfulness in a humorous sense, sarcasm of the burlesque behavior, sensuality of sexual desire, ambivalence of negation and affirmation, etc. and the physical expression having the horror, violence and burlesque sense. Therefo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arnivalesque are summarized to aim at the surrealistic world and the sensual eroticism world, from which it is observed that it is the expression of positive changes that desire to be free form the social contradiction, anxiety and suppression and is corresponded to the artistic phenomenon, which desires to relativize and diversify what are authoritative by overturn them.

      • KCI등재

        준 카네코(Jun kaneko) 도자색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MA(In-between, 간(間))" 사상을 중심으로-

        방창현 ( Chang Hyun Bang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논문은 준 카네코 도자색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작품에 내재되어있는 ‘MA’ 사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MA’는 한국의 토속 신앙과 불교에 영향을 받은 일본의 토속 종교인 신도에서 나온 개념이다. 본 연구는 카네코의 시기별 작품을 분석하면서 MA의 개념이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신도의 ‘MA’의 개념을 추적하면서 신도의 원류가 되는 선불교의 ‘공사상’과 도교의 ‘도道’를 ``MA``의 견지에서 비교분석한다. 또한 동양미학과 대립항에 존재해왔던 서양미학이 20세기 중반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에 와서 동양철학과 접맥되는 양상을 주목하고, 서양의 해체주의 미학과 준 카네코의 ``MA`` 개념과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준 카네코 도자색채의 표현성은 표면적인 면에서는 서양의 미술 사조의 영향으로 추상표현주의, 색면추상, 미니멀리즘의 형식을 지니지만, 내재적인 면에서는 동양의 ‘MA``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MA’는 영적인 공간(신도)이자, 색色을 통해서 공空을 나타내려고 하는 역설의 미학(선불교)이고, 무의 공간의 창조(도교)하고, 의미중심체계를 해체시키는(해체철학)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o a research on the inherent concept ``MA`` through the expressiveness of color of Jun Kaneko`s ceramic works. ``MA`` is the concept from the indigenous religion of Japan, Shinto ideology influenced by Korean folk beliefs and Buddhism. This paper inquire into how the concept ``MA`` is expressed visually in his artworks by minutely analyzing his works by periods, and compare Zen Buddhism and Taoism with the concept of ``MA``, keeping track of the original concept of ``MA``. This paper also focuses on the pattern that western aesthetics which lied against oriental aesthetics had been grafted with them during the de-constructivism in postmodernism perio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of de-constructivism and the concept of `MA`. In conclusion, on the surface the formative principle of color of Kaneko`s works wa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art trend, but intrinsically oriental concept ``MA``. ‘MA`` is the spiritual space(Shinto), paradoxical aesthetics that represent ``void`` through ``color``(Taoism), and creates ``empty space``(Zen Buddhism), de-construct the meaning-oriented system(De-constructivism).

      • KCI등재

        한국 현대도예 작품 속에 등장하는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방창현 ( Changhyun Bang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본 논문에서는 현대도예가 아직도 현대미술의 주류에 가담하지 못하고 마이너 아트(minor art)로 여겨지는 상황을 주시하고 그 원인에 대해 고찰했다. 현대도예가 현대미술의 주변부에 머물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도예가들의 근대주의적인 작법과 형식주의적 사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한국의 현대 미술에 등장한 탈근대주의적인 이론들 중에 21세기 현대도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대해 분석했다. 상호텍스트성은 불가리아의 이론가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주창한 탈근대주의의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서양의 현대미술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집중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의 이론적 연원과 현대미술 속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수사적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고, 탈근대미학에서 상호텍스트성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했다. 무엇보다 상호텍스트성을 환기시키는 다섯 명의 작가 서민정, 이수경, 데비 한, 신미경, 우관호의 작품을 비교분석하고, 그들이 어떠한 수사적 전략으로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수용했는지 그 양상을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고, 본 논문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서 언급했다. This paper aims to inquire into the cause that modern ceramic art is considered to be a minor art, not involved in the mainstream contemporary art. The biggest reason for modern ceramic art to stay on the periphery of contemporary art results from the modernist approach and formalist thinking of ceramic artists. Hereupon this paper, among the postmodern theories emerged in contemporary art in Korea since the late 20 century, analyzes `intertextuality theory` which had the most impact on the contemporary ceramics. Intertextuality theory is the most important postmodern theory advocated by Bulgarian theorist Julia Kristeva, and contemporary art intensively shed light on i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origin and rhetorical strategies of intertextuality theory in contemporary art, and consider the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theory in postmodern aesthetics. Most of all, five contemporary artists calling up intertextuality theory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also how they accommodate the theory with what rhetorical strategies is analyzed. In conclusion, overall story of this paper is summarized and the meaning,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are mentioned.

      • KCI등재후보

        도자기(세라믹)의 색채와 재질 표현을 위한 Digital Lighting과 Rendering

        이헌국,조부연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0 No.1

        본고에서는 CAID, 즉 컴퓨터그래픽스를 이용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한 단계로서 디지털데이터를 2차원적인 실사이미지 로 표현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디지털 라이팅과 렌더링프로세스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만을 사용했던 도자예술가를 포함한 도자디자이너, 산업도자제품 예비디자이너와 제품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개발자들을 위해 도자기색채와 재질표현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유약을 디지털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디지털 라이팅을 자연광과 비교 분석하여 기초개념인 현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하여 고찰하고 또한 디지털 렌더링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본 논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Global illumination의 특징과 기본요소를 색채 표현과 재질 생성을 중심으로 전개하여 디지털라이팅과 렌더링의 개념을 이해함과 더불어 현황을 파악하였다. 도자기 색채와 재질 표현의 확장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하여 V-Ray를 이용한 디지털프로세스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도출된 요건을 바탕으로 V-Ray를 이용한 디지털 렌더링의 Work Flow를 전개하고 디지털라이팅과 렌더링을 이용한 실체적인 유약의 색채 표현과 질감 표현을 완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산업도자제품 디자인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실사에 가까운 렌더링의 제작 예상도를 「미리보기」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3D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재활용 및 재생산이 용이하며 디자이너 및 생산자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한 디자인을 창출하고 생산성 향상과 디자인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