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 방목에 의한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 및 사료 가치 평가

        이종언(Chong Eon Lee),김현철(Hyun Cheol Kim),황경준(Kyung Joon Whang),박남건(Nam Geon Park),김남영(Nam Young Kim),오운용(Woon Young Oh)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성장단계별 영양소함량을 분석하고 말에서의 소화율을 검정하여 말 사료자원으로써의 활용가치를 평가하고, 제주조릿대 군락지 내 말 방목에 따른 제주조릿대의 생산성, 생육특성, 주변 식생의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조릿대를 구초(1년생)와 신초 (당년생)의 성장단계로 분류하여 조단백질, NDF, ADF 및 무기물 함량을 분석했다. 제주마 5두를 이용 제주조릿대 구초와 신초의 전분채취법을 이용한 외관상 소화율을 검정했다. 제주조릿대 자연 군락지 내에 말 2두를 2년 동안 4회에 걸쳐 방목하면서 생육특성, 생산량을 조사했다. 제주조릿대의 조단백질 함량 (DM 기준)이 구초 줄기와 잎에서 각각 4.8±0.4, 12.2±1.1%, 신초 줄기와 잎에서는 각각 8.0±0.8, 16.6±1.0%로 나타났다. 일반 목초류에 비해 제주조릿대의 Fe, Mn, Zn 함량이 특이적으로 높았다. 제주조릿대의 외관상 건물 소화율은 구초와 신초에서 각각 36.4±0.8, 47.2±1.2%로 신초가 구초보다 소화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말 방목 이전에 비해 방목을 거듭할수록 제주조릿대 초장 (86.9 vs 33.1 ㎝), 엽장 (19.3 vs 16.0 ㎝), 엽폭 (5.3 vs 3.7㎝) 등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생산량 및 밀도 (145.6 vs 52.8개/㎡)도 줄어들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조릿대는 사료가치가 양호하여 사료자원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나, 방목이 지속될수록 세력이 약화되어 생산량 및 밀도가 감소하고 있어 이용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 valu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by horse grazing in the woodland of Jeju. Crude protein (CP), NDF, ADF and minerals conten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Sasa quelpaertensis were analyzed. Th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M, CP, NDF and ADF were determined by total collection method using 5 Jeju horses. Th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 quelpaertensis Nakai by horse grazing were investigated. CP contents in the currentand the previous-year-sprouted leaves of S. quelpaertenisis were 16.6 ± 1.0% and 12.2 ± 1.1%, respectively. The digestibility of DM, CP, NDF and ADF in the current-year-sprouted leaves of S. quelpaertenisis were 47.2±1.2, 67.8±1.0, 47.0±1.3 and 47.1±1.1%, respectively. The current-year-sprouted S. quelpaertenisis tended to have high nutritional values and digesti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previous-year-sprouted. The dry matter yield, plant length, leaf width and density of S. quelpaertensis Nakai were clearly decreased by horse grazing. These results show that considering the feed value and growth characteristics, the natural S. quelpaertenisis Nakai can be used as a feed source for horses.

      • KCI등재

        제주지역 말 방목 초지의 혼파조합별 생산성 및 채식율 변화

        이종언(Chong Eon Lee),박남건(Nam Geon Park),박형수(Hyung Soo Park),오운용(Woon Yong Oh),고문석(Moon Suck Ko),김동훈(Dong Hun Kim),강동희(Dong Hee Kang)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봄철 크게 우점현상을 보였으나 여름철에는 하고 현상으로 식생구성이 낮게 나타났다. 방목 첫 해 티모시는 식생비율이 낮았으나, 그 후에는 연중 적절한 식생 구성을 보였다. 채식율은 티모시 주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물체 NDF, ADF, Ca 및 P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해발 400m 내외)에서 티모시 주초종(ha 당 티모시 20, 오차드그리스 5,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5, 화이트클로버 2㎏)의 혼파조합은 시기별 생산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was conducted over two years to determine the temperate mixtures of grasses for grazing horses in Jeju, Korea. The experiment field located at 450 m altitude (Jeju Horse Training Center of Korea Racing Association) was divided into 3 different mixtures plots (3 replications) without a fence between treatments, and sown by three main grasses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imothy). Seven castrated adult horses were kept on pasture from the middle of April to the end of November without supplementary concentrates. The dry matter yield,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and botanical composition were determined during the grazing period. Nutrients in grasses and soils were analyzed. The dry matter yield during two-year experimental period was not different among mixtures (11,000-12,000 ㎏/ha/year). In botanical composition, perennial ryegrass was dominant in all mixtures during spring through early summer season, but faded away during hot summer season. Timothy seemed to be more resistant against a hot or dry weather than other grasses.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s was higher in the mixture of timothy than those in other mixtures. The contents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DF (acid detergent fiber) were not different among different mix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xture of timothy,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white clover (20, 5, 5, 2 ㎏/ha as a seeding rate) can be used for grazing pasture of horses in the high altitude of Jeju.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 평가

        이종언(Chong-Eon Lee),박명희(Myung-Hee Park),박남건(Nam-Keon Park),박형수(Hyung-Soo Park),오운용(Woon-Yong Oh)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1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trace minerals (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levels in pasture soils and forages collected in Jeju area.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tal or soluble trace minerals levels in 187 pasture soil samples (76 very dark brown and 111 black soils) were measured. Total trace minerals contents in hay samples of 60 Italian ryegrass, alfalfa and mixture grasses each were assessed. The pasture soils of Jeju were characterized to have low pH (5.1) and to contain low levels of available P₂O? (20.5 ㎎/㎏) and exchangeable Ca, Mg, K, Na (2.6, 0.9, 0.5, 0.2 cmol+/kg, respectively) when comparing to upland soils of Jeju or Korean mainland. All trace elements in total or soluble analysis of pasture soils were detected,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soluble levels. The pasture soils tended to have the higher total Fe, Mn, Ni and Zn contents. Cr in all forages was not detected, but other trace minerals levels showed normal range. The hay samples of Italian ryegrass and mixture grasses produced in Jeju tended to contain higher Mn (105 vs 23 ㎎/㎏) and lower Mo (2.7 vs 4.9 ㎎/㎏) than those of alfalfa hay imported from USA. Results show that trace minerals of pasture soils and forages in Jeju seem to be not deficient, indicating that supplementation of some trace minerals are not always necessary in diets for grazing animals and should be done after careful evaluation of diets with regard to concentrations and biological availability of essential elements. 본 연구는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지역 98 목장에서 187 토양시료(농암갈색 76, 흑색 111) 및 말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 건초, 혼합목초건초, 수입 알팔파 건초 각 60 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했다. 토양시료는 화학특성(pH,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미량광물질(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총 함량 및 가용성 함량이 분석되었고, 조사료 시료는 미량광물질 총 함량이 분석되었다. 토양의 pH는 전체적으로 산성을 띄고 있었다(pH 5.1). 목장 토양 유효인산은 20.5 ㎎/㎏, 치환성 Ca, Mg, K, Na은 각각 2.6, 0.9, 0.5, 0.2 c㏖+/㎏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목장 토양 미량광물질 중 총 함량이나 가용성 함량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은 원소는 없었다. 토양 미량광물질 총 함량에 비해 가용성 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토양 미량광물질 중 Fe 총 함량이 가장 높고, Mn, Ni, Zn 총 함량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분적으로 토양 무기물 간 상관이 높았다. 조사료 자원에서 Cr은 검출되지 않았다. 기타 미량광물질 함량은 수입 알팔파 건초와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 모두 일반적인 범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가 수입 알팔파 건초보다 Mn 함량(105 vs 23 ㎎/㎏)은 높고 Mo 함량(2.7 vs 4.9 ㎎/㎏)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 목장 토양은 대부분 산성을 나타내고 양분 함량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에서 특정 미량광물질이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가축에게 미량광물질 첨가제의 보충급여는 사양형태나 사료 미량광물질의 함량 및 이용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SCIESCOPUSKCI등재

        말고기 함량이 프레스햄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성필남,이종언,김진형,조수현,하경희,임동균,김동훈,이종문,고문석,Seong, Pil-Nam,Lee, Chong-Eon,Kim, Jin-Hyoung,Cho, Soo-Hyun,Hah, Kyoung-Hee,Lim, Dong-Gyun,Kim, Dong-Hoon,Lee, Jong-Moon,Ko, Moon-Suck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1

        프레스햄의 원료육 중 말고기 함량을 0%, 50%, 100%로 증가시키면서 햄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 말고기의 특성이 프레스햄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말고기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함량은 적었으며,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말고기 100%로 제조된 프레스햄은 돼지고기 100%로 제조된 프레스햄 보다 제품색이 붉고, 어두운 특성을 보였으며, 햄의 탄력성도 말고기 100%로 제조된 프레스햄이 돼지고기 100%로 제조된 프레스햄보다 더 높았다. 하지만 말고기 100%로 제조된 프레스햄이 제품색과 전체기호도에서 돼지고기 햄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돼지고기 햄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말고기와 돼지고기를 반씩 넣은 햄을 이용한다면 말고기에 익숙하지 않은 국내 소비자들에게 대중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물질 중 P의 함량은 말고기 100%로 제조된햄이 돼지고기 100%로 제조된 햄보다 낮았으나 Fe, Mn, Zn의 함량에서는 돼지고기 100%로 제조된 햄보다 함량이 높아 말고기 100%로 제조된 햄이 Na, Fe, Mn, Zn의 더 훌륭한 공급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말고기 프레스햄은 돼지고기 햄과는 다른 품질적인 특성들을 나타내었으며, 최근 소비자의 건강지향성 등을 고려할 때 저지방, 미량 광물질 강화 등 기능성 프레스햄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비육돈의 도체형질과 A-FABP Promoter 유전자형의 연관 분석

        한상현,조인철,이종언,고문석,성필남,박범영,Han, Sang-Hyun,Cho, In-Cheol,Lee, Chong-Eon,Ko, Moon-Suck,Seong, Pil-Nam,Park, Beom-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비육돈에서 지방세포지방산결합단백질(A-FABP) 유전자의 유전자형과 도체형질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유전자 A-FABP의 프로모터 영역에 대해 HinfI-RFLP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조사한 결과 두 가지 유전자형(-406T/T T/C)들이 발견되었고 C/C는 발견되지 않았다. 유전자형 중 -406C/C 동형접합자가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비육돈 생산에 관여하는 돼지 품종들 중에서 Duroc 품종만이 이 유전자에 대한 고도의 다형성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형 -406C/-를 나타내는 돼지들은 근내지방과 도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나 (p<0.05), 그 외의 도체형질들(조지방, 육색, 조직감, 수분 삼출도, 근육분리도)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본 연구를 통해 돼지 A-FABP 유전자의 -406C/- 유전자형이 근내지방에 대한 유용한 분자 마커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형성이 비육돈의 근내지방에 대한 유용한 분자 마커가 될 수 있으며, 특히 Duroc 품종을 최종 종모돈으로 이용할 경우 이 유전자형을 보유한 돼지를 이용하는 분자육종체계에서 marbling이 잘 된 돼지의 생산을 통한 육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romoter region genotypes of the porcine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FABP) gene and carcass traits in commercial pigs was examined. Interestingly, only two different genotypes (-406T/T and T/C) for the A-FABP gene were detected using Hinf-RFLP for the substitution mutation T-406C in the A-FABP promoter in commercial pigs, and no -406C/C homozygotes were detected. The reason for the lack of the -406 C/C genotype is due to the breeding system in which only Duroc, which has a high frequency of -406C/- in this locus among the three breeds involved in commercial pig production, is typically used as a terminal sire. The pigs containing the genotype -406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intramuscula. fat content and carcass weight (p<0.05), but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the other carcass traits tested (fat composition, color score, texture score, moisture, and separation score between muscl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406C/- genotype of the porcine A-FABP gene may not only be a useful molecular marker for intramuscular fat, but may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at quality by the production of well-marbled pigs by breeding animals containing this genotype, especially Duroc, as a terminal sire for commercial pigs.

      • KCI등재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의 유전 양상과 후보 유전좌위의 유전적 다형성

        한상현(Sang-Hyun Han),이종언(Chong-Eon Lee),김남영(Nam-Young Kim),고문석(Moon-Suck Ko),정하연(Ha-Yeon Jeong),이성수(Sung-Soo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는 제주마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전신성 백모색 발생의 유전 양상과 유전적 변이와의 상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모색은 표현형과 MC1R 유전자형 분석 자료의 조합을 근거로 결정한 가라, 유마, 적다 등 모든 기본 모색에서 관찰되었다. 제주마에서는 타 품종들에서 KIT 유전자의 이형접합성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백색에 대한 잠재적 돌연변이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STX17 유전자의 intron 6에서 4.6-kb 중복을 보유한 개체들에서 특이적으로 탈색된 백모색이 관찰되었다. 관찰기록과 STX17 유전자형에 따라 제주마에서 관찰되는 탈색된 백화현상은 총마(점진적 백화증, Gray)로 확인되었다. 가계도 분석에서 총마 형질은 상동염색체성 우성유전형질로 나타났으며 상동염색체성 열성형질인 albinism과도 구분되었다. 제주마에서 총마 모색이 자마 시기에는 명확하게 발현되는 않으며, 종종 다른 표현형들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총마와 이와 유사한 표현형으로 출생 시부터 혼합 모색을 나타내는 조모색, 상처 치료 후 백화, 백반 유사피부 백색증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마와 유전적 배경의 관계를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제주마에서 분자육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variations and inheritance patterns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ic white coat color frequently observed in Jeju hors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white coat color occurred in all basic coat colored (black, bay and chestnut) horses by combining the phenotype and MC1R genotypes. There were no polymorphisms found in Jeju horses tested for mutational loci in the KIT gene, which were previously reported as potential mutations of the congenital dominant white coat color in other horse breeds in heterogeneity. The horses that had the 4.6-kb duplication in the STX17 intron 6 specifically showed the depigmented white coat color. Based on observation and STX17 genotypes, this depigmented whitening is defined as ‘Chongma' (whitening, progressive graying with age-Gray) in Jeju horses. Pedigrees showed that this is an autosomal dominant inheritance pattern distinct from the bovine albinism caused by an autosomal recessive passion eye color. Because the gray phenotype is generally not completely expressed early in Jeju horses, it often makes them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horse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for classification between the gray coat color and its similar phenotypes, such as the roan with its mixed hair colors appearing since neonatal period, acquired white hairs on wounded skin by veterinary treatment, and vitiligo-like skin pigmentation. However, study result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y phenotype and genetic background suggested that usefu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regards to molecular breeding of Jeju horses.

      • KCI등재

        기타 : 제주마에서 월라 모색의 유전적 특성

        김남영 ( Nam Young Kim ),신광윤 ( Kwang Ynu Shin ),이종언 ( Chong Eon Lee ),한상현 ( Sang Hyun Han ),이성수 ( Sung Soo Lee ),박용상 ( Yong Sang Park ),고문석 ( Moon Suck Ko ),홍현주 ( Hyun Ju Hong ),양재혁 ( Jae Hyuk Yang ),정덕지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5

        본 연구는 제주마 월라(Wolla) 모색의 백반형태 (Tobiano, frame Overo, sabino)에 대해 유전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 였다. 제주마 376두 (월라 142두, 비월라 234두)에 대해 Tobiano 모색 확인을 위해 ECA3-inversion을 분석하였으며, frame Overo 모색은 EDNRB 2-bp 염기치환 상태를 확인하였고, sabino 모색 인자형 확인은 KIT intron 16 SNP를 분석하였다. 제주마 월라 모 색 개체에서 ECA3-inversion 유전자형이 +/To 이형접합 형태가 140두 (0.986), To/To 동형접합 형태 2두 (0.013)가 나타나 제주마 월라 모두에서 ECA3-inversion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EDNRB와 KIT intron 16 SNP에서는 frame Overo나 sabino 인자는 나타나 지 않았다. 제주마 비월라에서는 ECA3-inversion, EDNRB 그리고 KIT intron 16 SNP에서 백반형태와 관련된 인자는 나타나지 않았 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제주마 월라(Wolla) 모색은 모색 유전학 적 분류에서 Tobiano 모색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Wolla" coat color using 376 Jeju registered horses (white patched 142, solid coat color 234). Three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white patches i.e ECA3-inversion for Tobiano, EDNRB 2 bp nucleotide substitution for frame Overo, and the KIT intron 16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for Sabino types of coat color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out of 142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that have the genotype for ECA3-inversion (To) 140 horses were +/To heterozygous and 2 horses were To/To homozygous all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had ECA3-inversion allele. However, there was no frame Overo or Sabino allele type in EDNRB and KIT intron 16 SNP in Jeju horses with white patches. As for 234 Jeju horses with a solid coat color, there was no ECA3-inversion allele related to the white patches. Thu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Wolla coat color with white patches in Jeju horses might have come from the Tobiano line in the genetic classification by coat color.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제주마의 기본모색과 MC1R과 ASIP 유전자형 조합의 상관관계

        김남영 ( Nam Young Kim ),한상현 ( Sang Hyun Han ),이성수 ( Sung Soo Lee ),이종언 ( Chong Eon Lee ),박남건 ( Nam Geon Park ),고문석 ( Moon Suck Ko ),양영훈 ( Young Hoon Ya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제주마의 기본모색 분류체계와 유전 변이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melanocortin receptor 1(MC1R)과 agouti signaling protein(ASIP) 유전자의 변이를 분석하였다. MC1R은 g.901C>T 염기치환을 분석하였고, ASIP는 11-bp 결실돌연변이를 분석하였다. 가라 마필은 MC1R에서는 E+/-(E+/E+ or E+/Ee), ASIP에서는 Aa/Aa 유전자형이 나타났다. 유마 마필에서는 MC1R은 E+/- 그리고 ASIP는 A(A)/- 유전자형이 나타났다. 반면에 적다 마필에서 MC1R은 Ee/Ee 유전자형만이 나타났으며, ASIP에서는 모든 조합의 유전자형이 나타났다. 가라모색과 유마모색은 MC1R에서 적어도 1개의 E+ 우성대립유전자를 갖고 있어야하며, 적다모색에서는 동형열성대립유전자인 Ee/Ee 유전자형을 가져야 한다. 이는 ASIP 유전자형 분포와 관계없이 MC1R 유전자형에 의해 가라/유마모색과 적다모색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MC1R은 E+/- 그리고 ASIP은 우성대립유전자인 AA/-를 갖는 마필은 유마모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ASIP은 우성대립유전자인 A(A)에 의해 사지를 제외한 부분에서 흑모색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분석에서는 제주마와 더러브렛간에 교배로 생산된 F1 자마의 기본모색 양상과 MC1R 및 ASIP 유전자형 분포와의 관계에 대해 일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결과는 모색에 대한 표현형과 유전양상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제주마의 분자육종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variations and the basic coat color classification system in Jeju horses. Genetic variations of the melanocortinreceptor 1(MC1R) and agouti signaling protein(ASIP) genes were investigated using pyrosequencing technique. A nucleotide substitution mutation for MC1R g.901C>T and an ASIP 11-bp deletion mutation were screened. Black horses had MC1R E+/- (E+/E+ or E+/Ee) and ASIP Aa/Aa genotypes. In contrast, chestnut horse genotypes were MC1R Ee/Ee and ASIP -/-. Thus, black and bay horses have at least one dominant MC1R allele, E+, whereas chestnut horses have homozygous recessive alleles Ee/Ee. This suggests that the MC1R genotypes determine chestnut or black/bay coat color, regardless of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ASIP. In addition, the horses with MC1R E+/- and a dominant ASIP A(A/)- allele showed bay coat color, but not black, suggesting that the ASIP AA allele represses black coat color development in the hairs of the body, but not in the mane and all four legs. Pedigree analysis showed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the MC1R and ASIP genes and basic coat color patterns, even in the F1 progen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t color phenotype and genetic background and suggested that usefu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molecular breeding of Jeju hors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