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자의 학습자적 태도 탐색을 위한 교사문화 재해석

        이재덕 ( Jae Doc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8 한국초등교육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culture regarding ``teacher`s attitude as a learner``, and to re-interpret it with an educational eye. In order to realize this goal,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was understood, and preceding studies in terms of teaching profession culture were collected to analyze how teaching profession culture was expressed in them. In addition, the paper looked into all the pieces of analyzed culture from different viewpoint. Results from analyzing many studies o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culture presented isolation climate, individualism, non-interference. Second, it, also, contained average-oriented tendency, formalism and defensive attitude. Third, presence-oriented attitude, conservatism and compliant attitude. However, seeing the culture from a bit different viewpoi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eople can sublimate isolation climate, individualism and non-interference in autonomy and respect. Second, average-oriented tendency, formalism and defensive attitude can be understood as cooperation and restrain. Third, presence-oriented attitude, conservatism and compliant attitude can be explained as educational belief as well. Teacher`s attitude as a learner should be appropriately understood, and expressed to execute upright education.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cultural circumstances for a teacher to realize desire for learning by oneself, and to practice his or her feeling based on strong enthusiasm.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외부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 및 해소방안 연구

        이재덕(Lee Jae Doc),김도기(Kim Do-ki),김정민(Kim, Jungmin),권순형(Kwon Soon Hyoung),도승이(Do, Seunglee),김지선(Kim Ji-S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학교 외부 요인과 그에 대한 해소 방안 및 공교육 강화를 위한 장기적인 방향과 단계적 추진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학교 외부 요인을 탐색하고자 학생, 학부모, 교사 총 1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전문가 및 관련자와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학교 외부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외부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으로는 개인 차원의 불안감과 경쟁의식, 고입 및 대입 준비, 학교 차원의 상대평가 방식, 교과내용의 어려움과 양의 과다, 사회 차원의 학 벌주의, 학력주의, 경쟁문화, 학원의 생존 전략 등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정부 정책의 장기적인 방향과 단계적 추진 전략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정 책・제도 측면에서 첫째, 특목고 및 자사고의 학교 설립 목적에 맞는 학교 운영, 둘째 성취수 준 중심의 절대평가 실시 및 진학 자료 활용, 셋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난이도와 학습 양의 축소, 넷째 사교육 업체 홍보의 영향 평가 및 관리・감독 강화를 제안하였다. 사회・문화 측 면에서는 첫째, 학벌사회 인식 해소를 위한 연구 및 홍보 강화, 둘째, 학부모 불안감 해소를 위한 사교육 홍보 효과 조사 및 학부모 교육 강화, 셋째, 교육현장에서 과정에 기반을 둔 교 사의 피드백 제공을 선행학습 해소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factors of the outside school inducing prior lear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olutions for it and a long-term direction and a phase development strategy for improving school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9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search the in-depth contents about causal factors and solutions of prior learning. Also, this study was likely to determine the factors inducing prior learning and provide the solution for it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professionals and those involved. As the result, the factors causing prior learning are suggested an anxiety of an individual level and a competitive sense, preparations f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entrance, a relative evaluation of a school level, a difficulty of curriculum contents and an excessive workload, an academic factionalism, an academic elitism and a competition culture of a society level, surviving strategies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so on. About this, the long-term direction of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phase development strategy are as follows. In the policy and institution aspect, there are needed; first, a school management appropriated for the school establishment purpose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second, an absolute evaluation implementation of the center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n use of materials for entering schools, third, a reduction of the high school’s curriculum level of difficulty and workload, forth, an enhancement of an influence valuat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promoting. In the society and culture aspect, there are suggested as solutions for reducing prior learning; first, an enhancement of studies and promoting for solving the academic elitism cognition, second, an investigation of private education effects and an enhancement of parents education for solving the anxiety of parents, third, a provision of teachers’ feedback based on the process in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기관운영의 상대적 효율성 결정 요인 분석

        권순형(Kwon Soon Hyoung),이재덕(Lee Jae Doc)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기관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상대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초등학교 기관 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4개의 투입변인과 5개 의 산출변인을 설정하여 우리나라 3,81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상대적 효율치를 산출하였다. 이어, 학교의 배경 특성에 해당되는 설립유형, 지역, 학교규모, 자율학교 여부, 교장공모제 여 부 등에 따라 학교 배경 변인별로 상대적 효율치에 차이가 있는지 비모수 검정 방법으로 분 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대적 효율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학교 배경 변인 및 학교 정책 변인으로 구분하여 Tobi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100%의 효율성을 달성한 학교는 전체 3,813개교 가운데 854개교 (22.4%)였다. 또한, 90~99.9%의 효율성 범위에 걸쳐 있는 학교는 2,324개교(60.9%), 80~89.9% 의 효율성 범위에 걸쳐 있는 학교는 592개교(15.5%)였으며, 70~79.9%의 효율성 범위에 걸쳐 있는 학교는 40개교(1.0%), 60~69.9%의 효율치를 보인 학교는 3개교(0.1%)로 나타났다. 학교 특성에 따른 상대적 효율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립학교, 읍면지역 소재 학교, 중규모 학 교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끝으로 초등학교 기관 운영의 결정 요인 분석에서 설립유형, 지역, 학생 수 변인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나, 자율학교 및 교장공모제 지정 과 같은 학교정책변인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rough DEA. To this end, it was used four input variables and five output variables, sampled 3,813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854 schools(22.4%) achieved the efficiency of 100%.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90 to 99.9% were 2,324 schools(60.9%), efficiency of 80-89.9% were 592 schools (15.5%), and efficiency of 70-79.9% were 40 schools(1.0%), and below 69.9% were 3(0.1%) schools. According to different school characteristics, relativ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s was analyzed by school’s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rough non-parametic statistics test. Finally, according to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the school’s background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chool’s policy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진동섭(Jin Dong Seop),허은정(Hur Eun Jung),이재덕(Lee Jae Doc),김효정(Kim Hyo Jeong),김정현(Kim Jung Hyun),신철균(Shin Chol Kyun),이동찬(Rhee Dong Chan),김시영(Kim Si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이 논문은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은 교수 체제 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목표 수립, 분석, 설계, 개발 단계를 거쳐 개발했다. 그라고 현직 초ㆍ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S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의 직무 연수로 실행, 평가되었다. 학교컨설팅이 교육개혁의 새로운 대안으로 교직사회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실행의 주체가 되는 학교컨설턴트의 발굴과 양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과 그 적용 결과에 대한 논의는 학교컨설턴트라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이론적ㆍ실제적 역량 함양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school consultants' expertise. The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ISD(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goal setting, analysis, designing, and development. An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nd evaluated as a form of in-service training sponsored by S National University In-service Training Center for Secondary Education. In order for school consulting to be settled in teacher society as a new approach for educational reform, it is needed to find and train school consultants, the main body of implementation. The school consulta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discussion concerning the result of its application will be the basis in cultiva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etency for the new role-school consul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