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의 소염 진통작용에 관한 연구

        이돈일,이성님,문영희,Lee, Don-Il,Lee, Seong-Yim,Moon, Young-Hee 한국생약학회 1996 생약학회지 Vol.27 No.3

        Ohyaksungisan, combined preparation of crude drugs, has been used for hemiplegia, arthralgia and paralysi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 from Ohyaksungisan(OSSE) was investigated on acetic acid-induced edema and adjuvant arthritis in rats. Acute toxicity and analgesic action in mice were also examine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5% acetic acid-induced edema and adjuvant arthritis was observed with oral administration. The acute toxicity showed 10% mortality at 2400 mg/kg (p.o), but was not showed at 1200 mg/kg (i.p). OSSE was showed to have significant analgesic action (P<0.05) at 150 mg/kg and this action was strengthened at 300, 600 mg/k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showed significant preventive effect on the hind paw edema from 90 min. and the adjuvant arthritis, when orally administered for 19 day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hind paw edema from the 5th day.

      • KCI등재

        인클루시브디자인 관점에서 본 공공매체 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구 중구 근대문화골목(제2코스) 지역 관광안내도를 중심으로 -

        이돈일 ( Lee Don Il ),배지나 ( Bae Ji N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최근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배려한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클루시브 디자인이란 유니버설 디자인보다 더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사용자를 포괄하는 디자인을 말한다. 본 연구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문헌적으로 분석, 이를 역사문화를 담은 도심 재생으로 급부상 하고 있는 `대구 근대문화골목` 의 공공매체 디자인을 대상으로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지향성을 확인하고 공공매체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공공매체 디자인 적용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내용은 기존의 제품, 서비스 디자인에서 확장해 공공매체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해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파악해 대구 중구 근대문화골목을 평가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노인과 장애인 중심의 연구였다면 관광지를 방문한 국내 관광객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포함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설정, 사례분석을 통해 공공매체디자인에서의 인클루시브 디자인 방향 및 특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 하였다. 추후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기초로 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공공매체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as aged society emerges,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the inclusive designs which considers the needy people in our society such as senior citizens, etc. Inclusive design is a more expanded concept than the universal design. It includes variety of different us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inclusive design by document researches and case study targeting public media designs on `Daegu modern culture path` which emerges as historical and cultural downtown to identify inclusive design orientation and propose public media design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eded to apply inclusive designs to public media designs. Public media design is to induce information, notion, action, etc. Installations that are easily understood for public benefits is required not only for seniors but also for the disabled, children, foreigners, etc. In order to apply to public media design, this study evaluated modern culture path in Jung-gu, Daegu by identifying concept and principles about inclusive designs, further extending from previous products and service designs. While the previous studies were centered around seniors and the disabled, case studies were done not only on foreign tourists but also on domestic tourists to deduce conclusions about the direction and features of inclusive design in public media design. On the basis of inclusive design, by more empirical studies and continuous researches on public media design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의 환대서비스디자인 연구

        이돈일 ( Don Il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정정헌 ( Jeong Heon J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정부는 최근 급속하게 확산된 무선인터넷, 스마트 모바일을 활용하여 국민 개개인이 광범위한 참여를 통한 양방향/맞춤형 행정 서비스 제공 체제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라 정부 3.0이라는 운영방침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공공공간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고, 실제로 공공공간의 서비스는 그 성격이 만간기업 수준으로 진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정부부처에서도 공공공간에 대한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전반적인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도 공공공간의 서비스는 상업공간의 서비스 디자인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간에 대한 서비스디자인 중에서 사용자가 공간을 이용하며 대접받고 있다 느낄 수 있는 환대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 알맞은 환대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하여 비교적 환대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상업공간의 환대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여 공공공간의 환대서비스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먼저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고, 공간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환대서비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의 환대서비스 특성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제 공공공간과 상업공간에서의 환대서비스 디자인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결과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 하였다. (결과) 이에, 상업공간에서 대면업무가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공간인 은행을, 공공공간에서는 대표적인 대면공간인 주민센터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현장 조사 후 조사대상 분석으로는 환대 점수를 이용하여 환대를 수치화 하였는데 이는 Rust et al.(1995)의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환대를 고객만족이 매우 높은 상태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로 80점이상은 환대, 70-80점은 응대, 70점 이하는 홀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인적요소, 물적요소, 시스템적요소의 점수를 내어 평균점수를 이용하여 결과를 다이어그램으로 제시하였다.(결론)상업공간과 공공공간의 환대서비스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공공공간이 가지고 있던 서비스의 성격에서 벗어나 상업공간의 서비스품질의 장점을 공공공간에 맞는 서비스를 제안함에 의의를 두고 향후 공공공간 관련 종사자와 전문가들이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유의미한 자료로서 활용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The government is proposing a policy named Government 3.0 due to the judgment that there is an urgent necessity of an interactive and customized administrative service provision system establishment through individual citizens` widespread participation using the recently rapidly spread wireless internet and smart phones. Due to such influenc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of service quality in private space and the service in public space is evolving to the level of private enterprise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in public space, government departments are devising sustainable innovative solutions to provide a user customized service overall, but service in public space does not reach the level of service in commercial space. Out of service design related to space, there is especially a lack of research on hospitality design with which the user can feel hospitality through the 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a direction of improvement to hospitality design in public space through grasping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design in commercial space in which hospitality is better. (Research Method) Before conducting research, the background of public space and commerci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space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study. Based on this a case stud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hospitality service design in public space and that in commercial space and deduced meaningful conclusions. (Results) In terms of commercial space, banks, in which interactive tasks inevitably exist, and in terms of public space, community centres, representative interactive space, were selected to be examined. After a case study, subjects were analysed through a quantification of hospitality, using Rust et al. (1995)`s rating scale that defined hospitality as a state of high customer satisfaction, 80 points and above meaning hospitable, 70 to 80 points meaning normal treatment, and 70 and below meaning unhospitable, with a median of 70. An average of human, material, and systemic elements were presented in a diagram. (Conclusion) This research offers the positive aspects of commercial space as a solution for improving public space by analysing hospitality service in commercial space and in public space with objective standards and hopes it would be used as meaningful research by public space-related practicians or professionals in structuring space.

      • KCI등재

        도시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공시설물 통합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이돈일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본격화되는 글로벌시대와 지방자치시대에 따라 각 도시마다 공공디자인은 시민을 위한 생활환경의 기능성과 편리성의 제공은 물론,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근간으로 한 관광자원 유치 등 도시가 실현하려는 도시발전 전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공공디자인 중 경관조성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공공시설물은 도시 지역민의 삶과 역사, 지역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매개체로서 도시의 고유한 이미지 및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도시의 특성에 근거한 통합적인 디자인 체계를 어떻게 구축하느냐가 주요 관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주시 통합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사례를 통해 도시의 환경특성 및 현황 그리고 도시계획에 대한 분석 과정을 바탕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도시 공공시설물 디자인 기본 원칙 확립과 디자인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공공시설물 통합디자인 가이드라인(Guideline) 개발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통합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를 통해 공공시설물의 기능성과 더불어 주변 공간과의 조화를 이루고 나아가 도시브랜드의 차별성과 경쟁력을 고취시키는 역할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settling into the era of globalisation and local self-governments, each city`s public space design is taking an important part in fulfilling city development strategies such as creation of view and life environment for citizens and also setting up tourism resources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Particularly, out of public space designs, public facilities that take a significant part in creation of view, being a medium for city residents` life, history, and regional culture harmonizing with each other, is in charge of the important role of formation of a city`s unique image and identity. In this point of view, the main issue of public facility design is how to establish a total design system based on a city`s characteristics. To such fact, this research, through Yang Ju`s total design guideline establishment cases, with basis on the analysing process of a city`s environment characteristics, conditions, and city planning, and from a total perspective, present a public facility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system for establishment of public facility design`s basic rules and for leading to enhancement of design. For the systematic occurrences of design keyword, a step-by-step framework was planned and, with Yang Ju`s identity and image considered. Through the entire design guideline cases that this research presents, contribution to public facilities` function, harmonizing with the space nearby, and furthermore encouraging of city brand`s difference and competitive power, is expected.

      • KCI등재

        인클루시브 디자인 특성을 적용한 노인 보행환경 평가 연구 -대구광역시 노인복지관 접근로를 중심으로-

        이은영 ( Eun Young Lee ),이돈일(교신저자)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노인 보행을 위하여 노인복지관 접근로를 중심으로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특성을 적용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항목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2015년 9월을 기준으로 운영중인 대구광역시 내 노인복지관 14개소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고찰과 분류되는 특성에 맞는 접근로로써의 평가항목을 수립하였으며, 이 평가항목으로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결과와 문제점을4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성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에 대하여는 76.8%로서, 4가지 특성의 항목 중 가장 높은 평점을 차지하여 노인복지관을 진입하여 출입구까지 연결되는 보행로는 대체적으로 조성이 잘 되어 있었다. 둘째, 노인 보행에 가장 고려해야 할 편리성과 안전성에 해당되는 항목들은 평균 40.6%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며 주로 보도와 차도가 연석 등의 공작물로 구분되지 않은 곳이 14개소 중 5곳으로 사고의 위험이 우려되고, 2013년 이후 개설된 2개소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보행 장애물과 보도 블럭의 훼손도가 있었다. 또한 통합성 항목의 경사로 손잡이가 미설치되어 있는 곳이 많아 미끄러짐의 위험이 있었다.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 대다수가 여가를 즐길수 있을 정도로 보행에 지장이 없을지라도, 이용자는 노인이라는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보행에 있어서 법적 기준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물리적 문제점를 해결하고 노인을 포함한 모든 보행자가 방해받지 않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보행 환경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ome up with a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ccess roads near senior welfare centers with an application of inclusive design features; it also aims to provide improvement details via itemized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 of 14 senior welfare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evaluation items under 4 different categories are based on the inclu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road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items under correspondence marked 76.8%. It scored the highest among the 4 categories proving that the pedestrian passage from the center gate leading to the entrance door was well established. Second, the items under convenience and safet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for the senior walking environment, scored 40.6% and were below the average. 5 out of 14 centers were in danger of accidents as the traffic lanes and the sidewalk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by secondary structures. In addition, quite a few places were missing handles for ramps, an item under integration, and increased the danger of slipping. Though the majority of the aged who use the welfare center have no problem walking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one must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y’re still of old 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olve basic physical problems including legal criteria for walking, and to establish saf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for pedestrians of all ages.

      • KCI등재

        공공서비스디자인 측면의 문화탐방로 웨이파인딩에 관한 연구

        김성주 ( Sung Ju Kim ),이돈일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환경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게 발전해왔으며 긴 시간 인간의 손길에 의해 형성된 물리적 장소와 형태는 역사·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은 만큼 그 장소의 특성 또한 다양하다. 본 연구는 대구의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대구 중구 골목투어 근대路의 여행’ 탐방로 5코스의 대상지 현황을 분석 하고, 물리적 요소 및 형태적 요소의 각 항목평가를 통해 실험연구를 하여 제 1코스인 경상감영달성길의 효용성 및 대구시 역사와 문화를 알고자 하는 시민과 관광객의 길찾기를 보다 쉽고 유용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선행연구 고찰 및 대상지 현황 분석, 분석 모형을 통한 실험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평가항목에 따른 분석결과, 가장 큰 차이점은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별성이었다. 결절점에서의 방향성은 매우 정체되고 직진코스가 아닌 좌측통행 또는 우측통행 시에는 도움요청을 하는 횟수가 많았다. 이에 문화재 및 관광명소를 찾지 못하고 길에서 헤매는 시간이 많아 귀소본능에만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문화재 및 관광명소의 연결점을 명료하게 하여 웨이파인딩에 어려움이 없이 보행의 지속성을 높이고 경로선택 시 필요한 안내사인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재 및 관광명소를 찾아보는 것 외에 골목 구석구석을 지나치는 과정에서 시각적 즐거움 및 경험을 살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방안으로 ‘대구 중구 골목투어 근대路의 여행’ 제 1코스의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대구시의 역사와 문화를 알고자 하는 시민과 관광객의 길찾기를 보다 쉽고 유용하게 하고 공공서비스디자인 측면의 웨이파인딩 효용성을 높여 추후 다른 코스에 대한 기대감과 방문률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have been very much various to develop in complicated way, and physical places and shapes that were made by men for a long time were affected by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to have various kinds of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five trails of "Travel to Daegu Junggu alley tour modern road" that had historical values in Daegu to examine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pattern factors to help not only citizens but also tourists find out efficiency of the 1st course of Gyeongsang Gamyeong Dalseong-gil as well as history and culture of Daegu by giving ways. In this study, precedent studies, analysis upon target place and experimental study by models were used. Not only the Koreans but also foreigners had difference of identification. The nodes had very much stagnating direction to let tourists ask for help often at either lefthand traffic or righthand traffic. Tourists could not find out cultural assets and/or tourism places to wander about in the roads and to rely upon homing instinct. So, cultural assets and tourism places should have distinct connection points to let tourists walk continuously without difficulty of way finding and to improve guide sign at selection of paths. And, tourists should feel visual pleasure and experience when visiting every place of alleys. The study would supplement problems of the first course of "Daegu Junggu Alley Tour Modern Road" to help citizens and tourists find out roads and cognize history and culture in Daegu and to elevate way finding efficiency from point of view of public service design and to increase expectation of another course as well as ratio of the visit.

      • KCI등재

        고령자를 배려한 공간 측면에서의 디자인 특성 연구

        이은영 ( Eun Young Lee ),이돈일(교신저자)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과 급격한 출산율 저하로 인해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과 같은 추세로는 오는 2021년에는 총인구의 14%를 접어들어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현대 사회에서는 고령층과 함께 하는 사회로의 변화가 여러 방면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올바른 공간 환경조성을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와 고령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유니버설디자인과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연구 흐름을 짚어보고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후, 유니버설/인클루시브 디자인 원칙과 지침들의 의미와 특징을 비교하여 공간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특성과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세부항목들을 고령자의 기준에서 사회적ㆍ신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세부항목의 중요도, 적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1차로 전문가 집단, 2차로 고령자 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종합 분석을 해본 결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특성 중 안전성, 실용성, 편리성, 대응성, 적응성, 친화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열되었다. 각 특성별 5개의 항목 중 가장 높은 중요 항목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용 중 실수를 하더라도 안전한 공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물리적ㆍ인적요소가 준비된 실용적 공간, 지속적인 신체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편리한 공간, 모든 사람이 접근하기 쉬운 공간, 휠체어, 보행보조기 등 적응하기 용이한 공간, 위화감ㆍ거부감이 드는 요소가 없는 친화적인 공간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정의내린 특성과 도출된 세부항목들을 발전시켜 실내 공간, 보행 공간, 공공시설, 공간 내 구성요소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었다. The higher life expectancy caused by the advance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rapid decrease in birth rate have speeded up the ageing of society. All things being equal,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expected to account for 14% of the overall Korean population in 2021. It is required in many aspects to change into a society more concerned for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proper space, giving full consideration to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s for research method,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into universal design and inclusive design that were concerned about diverse users, and establish theoretical concepts. Then a comparison was made on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universal/inclusive design to draw detailed items to evaluate the spati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aged, surveys were conducted on first, the group of experts and second, the group of the aged in order to comprehend the significance and propriety of the detailed items. Among the 5 items for each characteristics,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the safe space even when the user makes a mistake while using it; the practical space that is equipped with physical and human factors that can provide help; the convenient space that can help the user minimize constant bodily efforts; the space that provides easy access for all people; the space that provides easy access for wheelchairs and walking frames; the friendly space that has no elements that cause feeling out of place and repulsion.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develop further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items drawn from the present study so that they may help to offer specific guidelines that can evaluate indoor space, walking space, public facilities, and components in a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