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 검증: 직무몰입과 일자리 만족도의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윤미리(Yoon Miri),남예지(Nam Yeji),홍세희(Hong Sehee)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조사에 응답한 장애인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1,624명을 대상으로 직장요인(직무몰입과 일자리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일자리만족도, 장애수용 간의 각 경로는 모두 정(+)적인 효과를 가졌다.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몰입, 일자리만족도, 장애수용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몰입은 일자리만족도와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높였고, 일자리만족도는 장애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음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에 직무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관계에 일자리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직무몰입을 거쳐 유의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잠재변인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선행연구에서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거나 혼용되고 있었던 변수 관계를 재정립하고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간의 관계에서 직장요인(직무몰입과 일자리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sabled employee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Method: For this research, 1,624 disable employees, who responded 2nd survey of 2nd wave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were analyzed by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of their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Results: First, all pat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etween the four variables: self-efficacy, jog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employees.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jog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Job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 disabled employees had, the better disability acceptance was formed. As for results about mediation effects, job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via job engagement was critica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Implications: This study had a significance in regard to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uch factors by using latent variables. Also,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redef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hich were not clear or mixed, and found serial multiple medication effect of job factors with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 KCI등재

        기혼여성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장유나(Jang, Yoona),윤미리(Yoon, Miri),홍세희(Hong, Se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병렬다중매개 모형을 활용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만족도를 매개로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의 6차 및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 인식은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9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고용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에 대한 인정) 각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인식과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일-가정양립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경로 모두 일-가정양립 촉진의 주요 경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 만족도를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on the promotion of work-life balance.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satisfaction us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ere examin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positively impacted nine sub-variables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wage or income level, employment stability,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elfare benefit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Four of these sub-variables (wage or income level, work content,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addition, these sub-variables mediated the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 on promoting work-life bal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nd an indirect mediation path appeared as the main one promoting work-family compatibility. Becau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each work satisfaction sub-variabl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promoting work-life balance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 KCI등재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수학흥미와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환경의 관계 분석

        이현정(Hyunjung Lee),봉초운(Chowoon Bong),윤미리(Miri Yoon),홍세희(Sehee H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다층구조방정식(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MSEM)을 이용하여 학생 및 학생수준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 환경이 수학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국과 싱가포르의 PISA 2012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확인을 위해 부분포화 모형방법(partially-saturated model method)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수준에서는 한국과 싱가포르, 두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수학적 자기효능감, 교사의 학습도음이 수학흥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교사의 학습도움이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수학 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싱가포르의 결과에서는 한국과 달리 수학수업 분위기가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흥미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는 두 국가 모두, 수학수업 분위기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싱가포르와 달리 한국 학교수준의 수학수업 분위기는 학교 전체의 수학적 자기 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의 평균적인 수학흥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student s interest in mathematics were test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MSEM). For the purpose, school-level and student-leve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sample data of Korean and Singapore in PISA 2012. To evaluate the goodness of fit for each level, the partially-saturated model method was applied. Results showed as follows. 1) At the student level,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teacher s help for learning affected the mathematical interests in both Korea and Singapore. Teacher s help for learning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interest through mathematical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increased mathematical interests through mathematical self-efficacy in Singapore. 2) At the school level, in both countries, the school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level mathematical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school atmosphere of mathematics class increased school-level mathematical interests through school-level mathematical self-efficacy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동향

        홍세희(Hong, Sehee),조기현(Jo, Kihyun),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김효진(Kim, Hyojin),윤미리(Yoon Miri),강윤경(Kang, Yo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국내 모든 학술지에서 주제에 ‘resilience’를 포함하는 논문을 수집하여 청소년 대상의 연구만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성은 학교적응, 사회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에서 학교와 또래, 가족, 교사 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23개로 분류되었고 이 중 5개의 클러스터 집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주로 학교적응과 가족과 사회적 지지와 심리, 문제행동, 학업성취와 학업중단, 청소년활동과 긍정적 심리변인, 시설청소년과 탄력성으로 분류되었다. 구조적 공백은 자아존중감인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분석은 문제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 개인외적 환경요인으로 중심성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문제행동의 핵심 주제어는 비행과 문제 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개인외적 환경요인은 학교적응, 학교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였다. 시기별 분석은 2001-2009년에는 보호 요인, 2010-2018년에는 학교 적응이 중심성이 높았고 구조적 공백은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으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과 관련한 핵심 연구주제의 특징과 지식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방법론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핵심 주제를 분석하여 청소년 실천 및 연구 분야의 발전에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silience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network analysis, journal articles that presented “resilience” as a keyword were us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ity was high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soci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that school, peer, family,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topics in the resilience research amongst adolescents. In terms of cluster analysis, 23 clusters were classified and 5 major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structural hole was found to be self-esteem. The thematic analysis focused on problem behavior, individual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oreover, the flow in research trends is grasped at the macro level through ego network analysis. During the periods of 2001-2009 and 2010-2018, protective factors and the school factor showed high levels of centrality, and life meaning and self-esteem represented structural hole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