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 민주시민교육 법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오정록(Oh Jeong Rok) 헌법이론실무학회 2015 헌법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한국 민주시민교육 법제의 현재 위치를 조망해 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국민의 평생학습기회 확대를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주시민교육의 법제화 필요성은 국민의 평생학습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관련 법제인 교육기본법과 평생교육법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직접 적용이 힘들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따라서 교육기본법 또는 평생교육법이 민주시민교육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직접 명문 규정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법제화와 관련된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legal system of civic education in South Korea by exploring its current state and defects in order to expand citizens'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on civic education lies in establishing additional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secure citizens' right to pursue lifelong learning.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Lifelong Education Act cannot be applied to civic education 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specific provisions in order for civic education to be cove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legislation on civic education in South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 A Korean Public Sector Study

        오정록(Jeong Rok Oh)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공공부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6개의 한국 공공기관에서 총 279명의 근로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직공정성의 3가지 하위차원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난 데 반해서,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표준화된 상관계수의 관점에서 볼 때,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경력만족의 분산을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들은 선행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세하게 논의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시사점은 조직공정성과 경력개발 연구의 통합을 위해, 조직공정성의 3가지 하위차원을 경력만족의 선행변수로서 한 연구내에서 고찰했다는데 있다. 인적자원 실무자들이 조직 내에서 근로자들의 경력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공정한 의사결정 과정을 촉진시키고 다양한 경력개발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the public sector of South Korea. A total of 279 employees in six public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tes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career satisfaction. Whil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teractional justice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In terms of standardized coefficients, procedural justice accounted for the variance in career satisfaction more than distributive justice di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etail,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research. The primary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s of career satisfaction within a study in order to integrate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development research. Human resource practitioners should facilitate fair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provide various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to improve employees’ career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의 통합적 개선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오정록 ( Oh Jeong Rok ),박준우 ( Park Jun Woo ),김봄이 ( Kim Bom-i )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9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공공부문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제의 연도별 개선 제안사항에 대한 유형 분석을 통해 통합적 개선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증제 관련 문헌 고찰과 더불어 인증제 심사위원 11명에 대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도별 개선 제안사항의 유형 분석을 통해 수립된 통합적 개선체계는 크게 운영조직, 심사, 사업홍보, 사후관리의 4유형으로 구분되며, 심사위원들의 개선 의견을 반영하고 나아가 2020년 제도 개선반영 여부를 연계한 결과, 향후 검토 가능한 개선과제 현황은 역사적 변천 과정의 결과로서 총 43가지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함의는, 향후 문제점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라는 관점에서 개선체계의 각 유형별로 자세히 논의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함의를 공공기관 경영평가 제도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추가적인 Best HRD 인증제 개선의 필요성을 유사 제도 벤치마킹, 인적자원 특화 제도로서의 전문화, 근본적인 제도 개선 처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개선 필요사항의 도출, 정리, 실행 단계의 지속가능한 선순환 구조 구축에 행정사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tegrated improvement system for the Best Human Resources Developer (Best HRD) certification scheme in Korean public sector through the type analysis of improvement suggestions by year.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with 11 judges of the certification scheme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review. The integrated improvement system established through the type analysis of improvement suggestions for each year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operating organization, audit, scheme promotion, and follow-up management.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judges’ opinions about improvement and linking whether or not to reflect the scheme improvement implemented in 2020, the status of improvement tasks that can be reviewed in the future is divided into 43 categories through the historical transition. The implications of analysis results were discussed in detail for each type of improvement system in terms of the future problems and the need for scheme improvement. Furthermore, by comparing these implications with the case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the need for additional improvement of the Best HRD certification scheme was emphasized in terms of (1) benchmarking similar schemes, (2) specialization as a specialized scheme for human resources, and (3) the prescription for fundamental scheme improvement.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sustainable virtuous cycle in the development, re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stages of improvement needs in the future in terms of the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of Career Satisfaction

        Jeong Rok Oh(오정록)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이 논문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연구를 통해 경력만족의 선행변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조직의 스폰서십)이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잠재적인 매개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에 관한 통합적 문헌조사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과 더불어 개념적 모델로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모델에 의하면 조직공정성은 경력만족의 주요한 선행변인의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은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직장 내 경력개발의 맥락에서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기여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경력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매개변수들과 같이, 조직공정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of and career satisfaction by conduct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organizational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i.e., organizational sponsorship) as the potential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Based on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ual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along with organizational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odel, organizational justice can add to the pool of important antecedents of care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c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field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career satisfaction in a career development context in the workplace. Further, this study provided additional theoretical backgrounds to conduct organizational justice related research on diverse factors, such as potential mediating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satisfaction.

      • 한국의 학교 외의 시민교육 제도화를 위한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의 한계와 개선방안

        오정록(Oh Jeong Rok) 헌법이론실무학회 2017 헌법연구 Vol.4 No.1

        2015년 대한민국 국회에 두 가지의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이 제안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 외의 시민교육 법제화는 한국의 시민교육 제도화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을 분석하여 한국의 학교 외의 시민교육 제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교육 제도화의 필요성은 현재 한국의 법제는 학교 외의 시민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에 기인한다. 비록 2015년에 제안된 두 가지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을 포함하여 시민교육과 관련된 과거의 법안들이 유사한 입법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중대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일례로 학교 외의 시민교육에 있어 적합한 추진기관 결정의 문제를 들 수 있다. 2015년에 제안된 민주시민교육지원법안의 근본적인 한계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행정자치부, 한국경영자총연합회 등 관련되는 기관들의 이해관계를 동시에 충족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초래된다. 관련되는 기관들에 의해 제기된 핵심적인 문제들이 이 연구의 법적 분석을 통해 검토가 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한국의 학교 외의 시민교육 법제화를 위한 개선방안이 첫 번째로 시민교육의 기본 원칙과 목표, 두 번째로 시민교육의 개념과 정의, 세 번째로 시민교육의 추진 주체라는 근본적인 합의 의 관점에서 제시되었다. As two drafts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were presented a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 2015, the legislation on civic education outside school is a core issue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rafts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in order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 education outside school in South Korea.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lies in the problem that the current legal system of South Korea lacks the systematic support for civic education outside school. Although the former drafts regarding civic education in the past, including two drafts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in 2015, have similar objec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s such as the issue of the optimal organization in charge of civic education outside school.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drafts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in 2015 come from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interests of the stake-holders, such as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Korea Employers Federation. Although the core issues, which were raised by the stake-holders, could be resolved through the leg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legislation on civic education outside school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ree primary consensus about (1)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goals of civic education, (2)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civic education, and (3) the optimal organization in charge of civic education.

      • KCI등재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Jeong Rok Oh(오정록),Cho Hyun Park(박조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을 탐색하고 한국의 노동교육을 고찰하여,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관한 주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한국의 노동교육과 이와 관련된 법제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면밀하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인적자원개발뿐만 아니라 성인교육 및 평생학습의 관점에서도 함께 이루어졌다. 세 번째로 이와 같은 종합적인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근로자 주도의 노동교육에 가지는 시사점을 한국의 노동조합교육 법제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화가 이루어질 경우 산업민주화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근로자의 노동조합교육 참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의 노동조합교육은 적절한 법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directed learning (SDL) in the workplace and to examine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n order to draw the critical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TUE). First,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its legal system were reviewed in a detailed way. Second, SDL in the workplace was close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not onl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but also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review, the implications of SDL in the workplace for worker-initiated labor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legislation on TUE in South Korea. Since legislation at the national level can promote workers’ participation in TUE in the context of SDL for industrial democracy, TUE in South Korea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legislativ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 KCI등재

        노동조합교육의 법제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정록(Jeong Rok Oh)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4

        노동조합교육은 근로자의 권리와 책임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노동 관련 연구에 있어서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근로자 주도 노동교육 법제 발전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노동조합교육 법제화를 검토해 볼 수 있다. 노동조합교육의 법제화 필요성은 근로자 평생학습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노동조합교육은 근로자가 일터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자기계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관련 법제인 교육기본법과 평생교육법은 노동조합교육에 대한 직접 적용이 힘들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육기본법 또는 평생교육법이 노동조합교육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노동조합부설 평생교육시설을 인정하거나 또는 직접 노동조합교육에 대한 명문 규정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Trade union education is important in the filed of labor studies in that it can be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employe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this context, the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can be examined as the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the legal system for worker-initiated workers’ education.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lies in establishing additional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secure labor workers’ right to pursue lifelong learning. In other words, trade union education can improve worker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for their own development in the workpla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Lifelong Education Act cannot be applied to trade union education 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either to allow trade unions to have 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or to make specific provisions in order for trade union education to be cover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 KCI등재

        사내대학의 통합적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사내대학 역할을 중심으로

        박조현 ( Cho Hyun Park ),오정록 ( Jeong Rok Oh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5 지식경영연구 Vol.16 No.2

        A corporate university (CU)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established by an organization whose primary purpose is not education. Traditionally, a CU is considered a training facility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proliferation of the CU has engendered its diverse purposes, roles, and form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ree types of the existing CUs: (a) a CU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 a CU to satisfy employees’ learning needs; and (c) a CU to develop a competent national workforce. Also, this study suggests a holistic CU model including the three CU types. In order to transform a CU to a multifunctional CU embracing all three types of CU, organizations should (a) provid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hannels, (b) present clear organizational goals, (c) establish organizational policies/systems to encourage learning in CUs, and (d) devise an effective approach to evaluate the impact of CUs. Organization’ s critical roles in the development of CUs can assist CUs in becoming the core of knowledge management.

      • KCI등재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ekyung Song(송태경),Jeong Rok Oh(오정록)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직문화 및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런 모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보다 통합적인 연구가 여전히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인들의 상호간 관계 및 영향력을 제시함으로써, 지식경영 및 관련된 변인들을 통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통합적인 접근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문화, 조직문화,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지식경영, 조직성과 간의 상호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상호관계가 개념적 모델로서 요약되었다. 이 모델에 의하면 조직내커뮤니케이션, 지식경영,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조직내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는 지식경영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개념적 모델에 기반하여, 조직성과를 최대한 향상시킬 방법을 찾고자 하는 인적자원 연구자 및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들이 제시되었다. Although previous studies show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uld be influential factors i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ore integrated research to indicate relationships among all of the factors is still needed. By indicat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nd the direction of the influence, this paper suggests various ways to develop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and other related facto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n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exta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e relationships are summarized in the conceptual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knowledge managemen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is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H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seeking to optimally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