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디자인의 창의적 조형을 위한 컨셉모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 So Mi 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공간디자인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공간을 디자인해 나가는 단계는 매우 중요한 반면에, 많은 학생들이 고민하고 어렵게 느끼고 있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개념을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적 방법으로 컨셉 모델(concept model)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상적 공간디자인 개념을 3차원의 컨셉 모델로 해석하여 이를 매개로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컨셉 모델의 유용성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컨셉 모델의 활용은 공간 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용하다고 나타났다. 디자인 개념을 컨셉 모델로 표현하는 방법은 5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는데, 모티브를 통한 형태화, 언어적 의미의 형상화, 이미지의 변형, 하나의 과정/상황을 형상화, 다른 분야(음악,문학,IT)와의 융합적 해석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컨셉 모델을 통한 형태적 해석이 공간디자인의 조형적 표현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나타났으며, 공간디자인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공간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공간이라는 큰 규모의 압박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형태적 스터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컨셉 모델은 공간디자인 교육의 효과적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While it is vital to set creative design concepts and interpret them formatively for spatial design, many students have troubles doing this procedure. This study suggests use of concept models as a mediation means by which to apply the design concept used for spatial design process to spac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abstract concept of spatial design as a 3-D concept model, by mediation of which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applying it to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usability & types of concept models. Through thi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enabling more creative spatial design are explored.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utilization of concept models is found useful to students learning spatial design. 5 categories of methods by which to express design concepts in the form of concept models are analyzed; morphologization via motifs, embodiment of linguistic meanings, imagery transformation, embodiment of a process/situation and convergent interpretation in conjunction to other fields(music, literature, IT). These results reveal the advantage that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via conceptual models ease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space design, and that it eases the difficulty beginners learning spatial design have.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learners can have formative studies in relatively liberal manner, freed of large-scale pressure imposed upon them by space. Accordingly,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conceptual models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ool for education of spatial design.

      • KCI등재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이연숙 ( Lee Yeunsook ),안소미 ( An Somi ),박재현 ( Park Jaehyun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공공디자인 진흥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민의 참여와 이해를 돕는 공공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교육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 시민 참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그러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공공디자인 교육은 이전에는 없는 교육과정이며, 이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들도 이에 대해 배운 경험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을 계획하고 이를 시범운영한 결과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초등교육의 효과를 증명하고 논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교육의 첫 시범교실을 주내용으로 하며,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평택시 S초등학교 4학년 학생 19명이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에 해당한다. 연구기획의 틀은 실험연구 설계방법과 유사하게 계획되었는데, 독립변인 성격인 처치는 공공디자인 교육을 위한 ‘수업내용’이며, 수업에 활용된 교육콘텐츠와 제시 방법을 포함한다. 종속변인으로서 분석된 내용은 시범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변화와 반응, 그리고 공공디자인 실습결과와 후속활동 결과이다. 공공디자인 교육효과 분석을 위해 공공 디자인에 대한 인지, 관심, 중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거수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실습과 후속활동에서 얻어진 학생들의 결과물을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공공디자인 시범교육은 학생들에게 노인, 임산부, 자전거를 탄 학생 등 다양한 공공환경 이용자의 특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용자와 환경을 연계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으며 공공디자인의 주요개념인‘생활 안전을 위한 공공디자인’,‘모든 이를 위한 공공디자인’,‘생활 편의를 위한 공공디자인‘, ‘생활품격을 높이는 공공 디자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일러스트레이션과 플래시파일 등 시범수업에 활용된 다양한 교육콘텐츠에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도된 공공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회구성원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환경 계획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를 경험하게 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공공디자인 교육이 더욱 개발되고 널리 보급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public design, a national public design promotion policy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nd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public design education that helps people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Since public design education promotes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iving together, education that can be naturally experienced and learned from an early age is important. However, public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any experience learning about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implement,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first public design educa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Method)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first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orresponds to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research framework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method. Treat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class content” for public design education, and includes educational content and presentation methods used in the clas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tudents' perception change and reaction through demonstration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public design practice and follow-up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public desig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students raising their hands on the perception, interest, and importance of public desig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public design practice, while follow-up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had the eff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ublic environment users,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students on bicycles. It also made it possible to connect users and the environment, and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main concepts of public design, such as “public design for life safety,” “public design for all,” “public design for living convenience,” and “public design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The students expressed interes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used in the pilot class, such as illustrations and flash files. (Conclusion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attemp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by enabling them to understand members of society and to experienc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regarding environmental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public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 So Mi 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공간을 디자인하는 방법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아름다움을 중요시하고, 정해진 건축적 원칙을 따르던 고대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을 강조하는 근대의 패러다임으로부터 창의력을 강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디자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인류의 과거로부터 시도된 공간디자인 방법에서 그 바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맥락에서 공간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의 흐름을 분석하고, 유명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이 시도한 여러 창의적 디자인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례를 통해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접근 방법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과 건축가와 학생작품사례를 통한 사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연으로부터의 패턴을 활용하는 방법, 합리적 조사를 근거로 조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공간이 속한 대지에 순응하거나 대비되는 방법, 고전 건축물의 원칙을 재해석하는 방법, 음악, 미술, 수학 등 다른 분야의 특징을 차용하는 방법, 폴딩, 몰핑, 스케일링, 다이어그램, 데이터스케이프 등을 포함하는 사물이나 현상이 생성되는 과정을 통한 방법으로 6가지 범주의 접근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디자인 접근 방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창의적으로 활용되는 디자인 접근방법의 특징이 분석되었는데, ``창의적 모방``, ``융합``, ``디지털``로 요약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간디자인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 방법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고, 창의적 디자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유형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Design methods for space has changed over time. The present requires a new paradigmatic shift emphasizing creativity, beyond the ancient way to follow steadfast rules and the modern methods pursuing rationality and efficiency. This new paradigm cannot be created out of nothing, but should be foun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and hitherto methodologies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al trend of spatial design perspective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various creative design methodologies of renowned architects and designers, and to analyze major features of the methods from the applications in actual cases. For this, documentary method and case study method are applied. The result shows that the design approach methods for creative spatial design consists of 6 categories, which are application of patterns from nature, rational research based approaches, response to site, reinterpretation of classic architectural theories, adoptive approaches with music, paintings, and mathematics, and generative process including scaling, folding, morphing, diagram, datascape and etc.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methods are analyzed through case analyses, which can be summarized in terms of ``creative imitation,`` ``convergence,`` and ``digit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how to design for creative space, and suggests various types of design approach methods for creative education.

      • KCI등재

        공간디자인 교육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웹 연계 공간디자인 교육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

        안소미 ( An So-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공간디자인의 교육 내용이나 형식, 그리고 방법에 대한 시도는 사회적 배경이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화되어왔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더욱 많은 함께 새로운 교육 방법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합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미래의 공간디자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지 총체적 파악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고, 연구의 목적은 공간디자인 교육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웹 연계 공간디자인 교육의 전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디자인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시기별로 파악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종합적 변화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의 공간디자인 교육은 `교과과정의 변화`, `디지털 도구의 활용`, `웹의 활용`, `새로운 주제의 접목` 의 네 가지 항목으로 변화가 파악되었다. 공간디자인 교육은 공간디자인의 전문성을 확립하는 것에서 실무교육의 강화로, 그리고 이론과 실무의 통합적 연계 방안으로 변화해나갔으며, 디지털 도구의 활용은 공간디자인 시각화에 적용하는 단계에서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적용의 확대, 그리고 아날로그 방법의 교육과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다. 최근 발달하게 된 웹의 활용은 사이버공간의 일방향적 전달에서 쌍방향적 전달이 강조되고 있고, 친환경, 고령친화, 창의성이라는 새로운 주제가 교육에 접목되고 있었다. 미래 웹 연계 공간디자인 교육은 이러한 방향에 맞추어 발전되어야 한다. Approaches to educational contents, formalities, and methods of spatial design has changed with social backgrounds or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 the modern times, due to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re have occurred more changes, with which new educational methods have been tried, yet still short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which direction the future space education should aim at. This study started out of this necessity, and its purpose is to grasp changes in the direction of researches related to spatial desig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with web linked design education. For this, the forgoing researches on space design was assorted by periods, and direction of the comprehensive changes via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Based on its outcome, domestic space design education have shown changes in 4 items of `curriculum changes`, use of digital tools`, `use of the Web`, and `grafting new subjects`. The spatial design education has advanced from securing professionalism of space design, through field education reinforcement to integrative plan of theory and hands-on experience, while the use of digital tools from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visualization to enlarged application through out the whole design process as well as suggestions on integrative plan in conjunction with analogue educational plan. Utilization of the Web that has recently developed empathizes a shift from unilateral transmission to bilateral, and the new subjects such as eco-friendliness, age-friendliness, and creativity is applied to the spatial design education. Web linked spatial design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direction.

      • 최근 고령친화환경의 주요 트랜드 분석 연구

        안소미(An, So-Mi),정화(Zheng, Hua),이지연(Lee, Ji-Yeun),이연숙(Lee, Yeu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As the world population is aging, especially in advanced countries, the paradigm of the environmental plan has been changed. Rapidly growing baby-boomer population has altered the concept of aging friendly environment, because this generation with material prosperity, unlike previous generations, is pursuing various lifestyles, and life values. Along with these, the development of today’s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al change has accelerated these demands. In Korea, there is no accumulated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managing the aging friendly environment, and accordingly, some development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follow the former experience of developed countries. Since the environment for our reference has changed so fast, it is necessary to read this changing trend for developing right one for Kore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urrent concept of the aging friendly environment chang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method was used by analyzing the contents presented at a latest leading conference on Environment for Aging which is a gathering field of live information on current tre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isiting conference, recording presented contents, collecting relevant publication, and interviewing as need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extracting keywords and connecting them to grasp the current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several current trends; combining green design strategy with elderly living environment, pursuing diverse way of social mix, and emphasizing Evidence Based Design. These trends imply the necessity of the change in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Korean elderly housing, preventing the conventional trial and error otherwise expec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SNS를 이용한 디자인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안소미(An, Som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공간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정보의 다양한 수집과 조합은 매우 중요하며, 인터넷 세대로 불리는 최근의 학생들과 젊은 디자이너들을 위한 디자인 정보의 수집과 활용방식은 보다 새로운 방식으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이미지로 교류하는 대표적 SNS인 핀터레스트를 이용하여 시도된 디자인 정보 활용기법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를 이용한 디자인 정보의 수집 및 활용기법을 공간디자인의 수업사례에 적용하고, 새로운 시도가 가지는 효용성에 대해 분석 및 검증을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이미지정보를 중심으로 한 SNS인 핀터레스트를 활용한 기법은 디자인 정보의 수집 및 저장, 체계화에 있어 유용하게 나타났고, 모바일 환경에서의 자유로운 이용과 더 나아가 같은 관심사를 가진 이들과의 정보네트워크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디자인 프로세스 중에서 실내디자인스타일을 더 명확하게 계획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 공간디자인의 융합적 시도에 대한 실증적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Collecting and combining diverse design information for designing a space is very important. Also, a new form of approach is being called for collection and usage of design information for the students of today who are being called the Internet Generation and young designers.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research used "Pinterest", one of the more popular SNS based on exchange of images, to study new training techniqu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use SNS to apply techniques of collecting and using design information to space design in class examples and then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approach.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ew technique based on Pinterest was very effective in collecting, storing and systemizing of design information. It showed potential for free use under mobile environment expansion into information network of people sharing the common interest. In addition, among various design processes, it provided more help in clarifying interior desig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in providing empirical data for new technologies in the age of Big Data and efforts on convergent space design.

      • KCI등재

        공포만화의 잔혹성에 관한 연구

        안소미(An So-M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3

        만화에는 시사, 순정, 학원, 무협, 스포츠, 심리, 학습, 생활, 공포 등의 다양한 장르가 있다. 그 중에서도 공포만화는 사실적이거나 과장된 묘사와 있을 법한 이야기 또는 과장되거나 상상력으로 가득 찬 이야기를 토대로 한다. 이토준지의 공포만화는 국내에 소개된 이후로 독자층이 형성되어 여러 판본으로 인쇄되었다. 본 연구는 공포만화의 장르를 분석함으로서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토준지의 공포만화 중 〈토미에〉는 흔히 보아온 공포물의 구조에 극히 비현실적인 상황을 부여함으로서 〈토미에〉만의 잔혹한 공포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잔혹한 공포만화는 만화의 한 장르로서 장르 분석의 중요성을 환기 시킨다. 〈토미에〉는 공포 중에서도 ‘잔혹성’의 측면에서 집요하게 묘사함으로써 독자들은 거부하고자 하면서도 즐기는 ‘카타스트로피’ 효과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토미에〉의 잔혹성을 인간 심리의 측면에서 본 ‘묘사의 잔혹성’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There are the various genres such as current affairs, romance, academy, Wuxia, sports, psychology, learning, living and horror in cartoons. Among them, the horror comics are based on the story full of real or realistic subject or exaggerated imagination. The horror comic by Ito Junji have gone through the various printings for the classes of readers since it was introduced in this country. This study has begun from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horror comics genre on the readers by analysis. 〈Tomie〉 among Ito Junji’s horror comics makes its own cruel horror image by giving a very unrealistic situation to the usual structure of horror genre. The cruel horror comics rouse significance of the analysis of the genre as one genre of the comics. 〈Tomie〉 has the ‘catastrophe’ effect for the readers who want to enjoy and deny it at the same time by stubbornly describing aspect of ‘cruelty’ of the horror thing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cruelty of portrayal’ of 〈Tomie〉 in terms of human psychology.

      • KCI등재

        공모전 수상작 디자인 주제 분석을 통한 최근 공간 디자인 트렌드 연구

        안소미 ( An So-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오늘날 공간디자인과 관련하여 공간에 내포되는 디자인 주제의 변화는 디자인 트렌드로 이해되고 있다. 색감과 마감재 등에 치우쳐진 공간디자인 트렌드 가 아닌 디자인 주제의 흐름에 대한 이해는 디자인 실무분야뿐만 아니라 공간디자인의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디자인 공모전 작품들에 내포된 디자인 주제들을 추출하여 최근 공간 디자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한국 공간 디자인 대전과 한국 인테리어 대전의 최근 2~3년간 수상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모전 수상작들의 공간디자인에 적용된 최근의 디자인 주제는 `자연친화`와 연계된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힐링`, `소통`, `전통`, `지속가능성`, `환경문제`, `가족`, `공동체`, `개인의 성장`, `여가와 문화` 등의 주제가 추출되었다. 이들을 분석하여 도출된 주요 공간디자인 트렌드는 `친환경 디자인 트렌드`, `웰빙 디자인 트렌드`, `함께 사는 사회를 위한 디자인 트렌드`, 그리고 `전통문화 디자인 트렌드`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간 디자이너와 전공학생들의 디자인 작업에 있어 현재는 물론 보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주제들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적용 가능한 실제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change of design subjects implied in the space shows the transition of design trend, so that understanding this change in very important for design practice as well as for the education of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atest design trends through the design themes that are contained in the recent space design works of competition. This study conducts a research on the subjects of award-winning works of the Korea Space Design Competition over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Korea Interior Design Competition over the last two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ly adopted design theme in the recent space design is `eco-friendly`, followed by `healing`, `communication`, `tradition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issues`, `family`, `community`, `personal growth`, `leisure and culture`, etc. Design trends that analyzed through those design themes are `trends of traditional design`, `eco-design trends`, `well-being design trends`, and, `social design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as a useful data for space designe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and anticipate the design theme for the future, and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designing creativ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