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c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으로 발효한 갈색 거저리 유충이 비 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흰 쥐에 미치는 영향

        심소연(So-Yeon Sim),장성호(Sung-Ho Jang),조영수(Young-Su Cho),안희영(Hee-Young Ahn)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밀웜으로 잘 알려진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arvae)분말을 Saccharomyces cerevisiae M1(KACC 93023)으로 발효하였다. 그 후 발효물을 orotic acid에 의해 비 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발된 흰쥐에 급여하여 개선 여부를 판단해보았다. Orotic acid로 인해 지질 대사에 이상이 생긴 대조군의 경우 장기 무게 및 체중이 증가한 것에 반해 발효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급여한 군에서는 정상군과 흡사한 중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간 건강의 지표로 알려진 AST, ALT, ALP 및 LDH 활성 역시 가장 낮았으며, 각종 지질 관련 지표들도 긍정적으로 나타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 조직 및 혈청 내 과산화지질, glutathione 함량 역시 정상군과 흡사하거나 더 뛰어난 수치를 띄었다. 마지막으로 H&E 염색, Oil red O 염색을 통한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발효 갈색거저리를 급여한 군에서 정상군과 흡사한 간세포의 형태 및 배열과 함께 염색된 지방이 눈에 띄게 감소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본다면, 일반 갈색거저리를 급여하였을 때 일부 실험에서 수치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효모로 발효시켰을 경우 대부분의 지표에서 정상치에 가까울 만큼 더욱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발효물이 비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 향후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In this study, Tenebrio molitor (brown mealworm) larvae powder was ferment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M1 (KACC 93023).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powders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rats with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o compare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 rats exhibited abnormal lipid metabolism due to orotic acid, and the group that were fed the fermented larvae powder showed similar weight to normal rats. AST, ALT, ALP, and LDH activities, all known indicators of liver health, and various other lipid-related indicators appeared positive, suggesting improvement. The lipid peroxide and glutathione content in the liver tissue and serum were similar to or bett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Finally, 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liver tissue using H&E and oil red O stainings revealed that the fermented powder group showed markedly reduced fat along with normal hepatocyte shape and arrangement. To summarize, it was confirmed that dietary brown mealworm larvae improve non-alcoholic fatty liver function, and, when fermented with yeast, most indicator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to almost normal levels. As such, the fermented powder can be considered to improve non-alcoholic fatty liver, suggesting that it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 박물관의 몰입을 위한 증강현실 특성

        심소연(Sim, So-Yeon),김미영(Kim, Mi-Young),문정민(Moon, Jeong-M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Augmented reality, which appeared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can augment one"s sense of reality and immerse a person in a seamlessly combined real and virtual world. In this respect, there has been an interest in space or augmented reality and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historical trends, museums have been orienting themselves toward guests rather than collec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national and international museums where augmented reality has been in place since 2008 targeting non-profit exhibitions with a purpose for an emotional experience. To figure out immersion factors for virtual reality immersion in museums, this study categorized immersion in an augmented reality into immersion through stories, immersion through a five-senses experience, and immersion through spatial direc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t cases, it was discovered that immersion through a five-senses experience was most frequently used when including all the display media. Education and interest provided through monitors and portable IT equipment were available to museum guests and projector type displays using space were used less. In sum up, this study investigated non-profit exhibitions in museums which have introduced augmented reality to understand the immersio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in museums, and presented basic data for future museum immersion projects.

      • KCI등재

        유용 효모균주를 이용한 발효참당귀분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심소연(So-Yeon Sim),박우상(Woo-Sang Park),신현승(Hyun-Seung Shin),옥민(Min Ok),조영수(Young-Su Cho),안희영(Hee-Young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10

        본 연구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한 참당귀 분말을 수용성 용매에 추출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당도 및 pH를 확인한 결과, NF군 1 °Brix에 비해 F/3군 0.9 °Brix로 발효가 됨에 따라 당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F/3군의 pH는 NF군 및 F/0군에 비해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Thin-layer chromatography 실험결과, F/3군이 NF군에 비해 대부분 저분자의 당 형태로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참당귀 분말 추출물에 비해 발효 참당귀 분말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미네랄 중 K 및 Ca 함량은 F/3군, F/0군 및 NF군 순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은 NF군보다 F/3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참당귀 및 발효 참당귀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NF군 41.89%, F/0군 39.51%, F/3군에서 60.26%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 및 항염증 효능 실험결과, 참당귀 분말 추출물에 비해 발효 참당귀 분말 추출물에서 효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방 생약재 중 참당귀를 유용 미생물로 발효시켜 사용함으로써 항산화능, 생리활성물질, 미백효능 및 항염증 효과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어 향후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n aqueous extract of Angelica gigas (Ag)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Sc). First, the soluble solids of the F/3 group, in which the Ag was fermented by Sc for 3 days, decreased from 1°Bx to 0.9°Bx. On the other hand, the pH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days of fermentation. The result of a TLC experiment confirmed that it gradually decomposed into a low-molecular weight sugar form upon fermentation.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fermented group than in the non-fermented group. K and Ca contents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in the following order: F/3, NF, and F/0 groups.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F/3 group. The DPPH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NF, F/0, and F/3 groups were 41.89%, 39.51%, and 60.26%, respectively.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lipoxygenase were stronger in the F/3 group than in the NF group.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of Ag Nakai can lead to an increase in its antioxidant ability, physiological activity, whitening and anti- inflammatory effects. Thus, this oriental herbal medicine can be developed into a functional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in future.

      • KCI등재

        박물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몰입요소 연구

        심소연 ( So Yeon Sim ),문정민 ( Jeong Min Moon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박물관은 유물의 수집과 보존, 전시를 통하여 관람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공간으로 단순 관람을 넘어교육과 체험, 학습 등에 대한 관심의 증대가 필요한 공간이다. 최근 디지털매체의 등장으로 전시관의 관람객과 전시물 그리고 공간이 서로 상호작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로 이제는 단순히 상호작용이 아닌 관람객에게 보다 흥미를 유발하고, 보다 강한 몰입을 통한 연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증진을 위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몰입적 측면에서는 연구가 아직 부족한 걸로 조사되었다. 몰입은 사용자가 최적의 경험을 하는 상태로 시카고대학의 저명한 심리학자가 정의한 것으로 주위의 모든 잡념, 방해물들을 차단하고 자신이 모든 정신을 한 곳에 집중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몰입요소를 연구하고자하며 커뮤니케이션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3 가지 관점으로 몰입요소를 재정리하 였다. 이러한 관점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단순히 박물관의 전시는 단순히 시 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술을 넘어, 상호 작용이 가능하고 조작을 할 수 있으며, 현실세계와 가 상세계의 영역이 분리되어 다양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선행연구와 미디어매체에 따라 재정리된 몰입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를 통한 몰입이다. 이는 전시물 및 동 선에 스토리를 적용하여 궁금증 유발을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에게 보다 효과적인 몰입을 통해 전시를 관람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오감체험을 통한 몰입은 시각.청각.촉각.미각.감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관심과 체험을 유발하는 체험적 전시연출을 말한다. 마지막, 공간연출을 통한 몰입은 공간의 구성환경을 활용하여 시대별 혹은 상황에 맞도록 공간 및 전시물 등이 변화함으로써 전시공간을 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을 대상으로 보다 높은 몰입을 통해 새로운 공간경험 창출을 충족시키는 몰입요소를 분석하여, 향후 박물관 내 관람객과 전시물, 공간 3 가지의 요소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있는 기초자료로써 의미를 찾을 수 있다. A museum is the place to deliver information to audience through collection, conservation, and exhibition, so the enhancement of attraction was indicated for education, experience, and learning over simple opening of it. Recently,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a invigorates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 among audience, exhibits, and space. As a result, the stagecraft through stronger immersion was indicated to arouse audience`s interest over simple interaction. Although aggressive studies have been proceeded diversely on communication invigoration for museums, the further study on immersion need to be carried. Immersion is defined by a eminent psychologist as a volunteer involvement focusing completely on something and blocking obstacles like distracting thoughts. In this study, a rearrangement of immersion element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is proceeded from three point of view based on analysis for advanced research. These points of view have close connection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Beyond museum exhibition which simply supplies visual information, competitive exhibition iscomposed for audience to interact, to operate and to experience various effects between the real world and virtual reality. Immersion elements are rearranged as follows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nd multimedia materials. The first element for immersion is a story. It is applied to articles on exhibition and to moving line to arouse audience`s curiosity for effective immersion. The second element for immersion is the Five Senses Exhibition. It means heuristic stagecraft which stimulates five senses to stir interests and experiences. The last element for immersion is spatial choregraphy which transmutes spaces and articles situationally and in tune with the times using space composition. Immersion elements through which museums meet the need for creation of spatial experience are analyzed and are imparted as the preliminary data which subserve effective interaction among audience, exhibits, and space henceforward.

      • KCI등재

        어린이체험 전시관의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랙션 특성에 관한 연구

        심소연(So Yeon Sim),문정민(Jeong Min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정보화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환경이 가능해졌고, 이에 사용자체험이라는 개념과 논의가 다양한 공간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전시관에서는 단순 시각만으로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특히, 주 5일제 실시로 가족단위의 어린이체험 전시관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어린이들의 수준에 맞는 전시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 중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은 재미와 체험을 부여 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전시공간에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체험 전시관은 어린이들의 인지발달 및 감성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으로 다양한 체험과 상호작용을 하는 체험유형의 전시 방법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행되고 있는 연구를 살펴보면 어린이체험전시관의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랙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 시점에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체험전시관의 체험유형과 인터랙션유형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2010년 이후 등장한 국내 어린이체험전시관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체험전시관에서의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체험유형의 특성 조작형 체험(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기술조작을 통해 작품영상에 인위적인 변화를 주는 유형), 감각형 체험(시각, 후각, 촉각, 청각, 미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을 체험하는 유형), 반응형 체험(센서기술을 활용하여 반응을 공간을 직접 느끼도록 하는 유형), 유도형 체험(정기적 혹은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변화를 통해 주변과의 상관관계를 유도하는 유형) 4가지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재정리하여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 직접 감각을 자극하고 공간을 느낄 수 있는 감각형 체험과 반응형 체험이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체험하는 인터랙션 유형 방법으로는 기기조작과 터치, 센서가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또한 직접 느낄 수 있는 기기조작, 터치 그리고 센서의 순으로 전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와 경험으로 변화하고 있는 이 시대에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랙션 특성을 제시하여 향후 건립되는 어린이체험전시관은 실질적이고 실증적인 체험전시의 연출을 고대하며 본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we can have diverse hands-on programs available through interaction.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and the hands-on programs have been created in many different spaces. Today, diverse hands-on programs as well as visual experiences are available in exhibition centers. In particular, the audience available for children`s hands-on program centers is increasing as the five day work week schedule has been implemented, and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exhibition programs and content. Therefore, as the use of digital media presents a fun and hands-on experience simultaneously, it has been considered one important way to stimulate the attention of visitors. So, a children`s hands-on program center using digital media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space for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provides opportunity for diverse experiences and interac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hardly dealt with interaction using digital media in a center. At this time of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research on types of hands-on programs at children`s experience centers using digital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reorganized four different hands-on programs based on previous studies targeting domestic children`s hands-on program centers which have appeared since 2010: manipulative experience using digital media( making artificial changes using technical manipulation with keyboards or a mouse), sensory experiences (emotional experience by stimulating the five senses of sight, smell, touch, hearing, and taste), responsive experiences (feeling responses in a space using sensor technology), and induced experience( inducing correlations with neighbors through regular change or periodic change with an interva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most experiences concentrated on sensory and responsive activities and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interaction they intended, manipulation of equipment, touch, and sensors were frequently used. In this time of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children`s hands-on program center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using digital media and provide real and practical hands-on activities.

      • 브랜드체험을 위한 쇼윈도의 인터랙션 특성에 관한 연구

        심소연(Sim, So Yeon),문정민(Moon, Jeong M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본 논문은 Brend H. Schmitt의 체험유형 ‘감각체험, 감성체험, 인지체험, 행동체험, 관계체험’ 다섯 가지의 특성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감성과 인지’의 체험을 심리적 체험, ‘감각과 행동’의 체험은 물리적 체험, ‘관계’는 심리적?물리적 체험을 바탕으로 집단에 의해 발생되는 관계적 체험 이렇게 3가지로 크게 분류하였다. 논문을 진행한 결과 패션 로드샵 중 쇼윈도의 인터랙션은 심리적?물리적?관계적 체험 중 심리적, 물리적 체험을 통한 쇼윈도의 인터랙션이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관계적 체험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하는 방법으로는 모바일, 터치, 센서 그리고 카메라로 나타났다. 모션센서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고 터치와 카메라, 모바일 순으로 활용되어지고 있었으며 쇼윈도의 공간이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체험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나타고 있었다. 이렇게 옷을 팔아야 하는 매장의 쇼윈도에서 디지털을 활용한 쇼윈도의 인터랙션은 소비자에게 새롭고 신나는 경험과 다른 소비자들과의 공유 및 소통을 하기 위해 나타난 방법으로, 현재 변화하고 있는 쇼윈도의 앞에서 사람들은 브랜드의 체험을 통해 브랜드를 오래 기억 할 것이다. 참여와 경험, 네트워크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쇼윈도의 인터랙션을 활용한 특성을 제시하여 기존의 체험방법이 아닌 새로운 체험방법의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쇼윈도의 변화를 기대하는 바람으로 본 논문을 시작하고자 한다. Through analysing Brend H. Schmitt"s experience types of "sense, feel, recognize, act, and relate to"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tudy roughly classified these into three groups: "sense and recognize" as "psychological experience", "sense and act" as "physical experience", and "relate to" as "relational experience" which occur by group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perience. As a result, interaction with the display windows of fashion road shops usually depended on a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perience followed by a relational experience and mobile, touch, sensors and cameras were used as methods for experience. A lot of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through motion sensors were found, and touch, camera, and mobile were used in good order. The display window has appeared as a new space where customers can experience a brand. As interac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in display windows of shops is a method to communicate and share new and exciting experiences with customers, people in front of a changing display windows will remember the brand through the experience. This stud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in display windows in the era of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networks and expects that research on new experience methods will bring change to display windows.

      • KCI등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굼벵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효과

        심소연(So-Yeon Sim),안희영(Hee-Young Ahn),서권일(Kwon-Il Seo),조영수(Young-Su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7

        본 연구는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을 발효시킨 분말을 수용성, 에탄올, 메탄올 용매별 추출하여 항산화 등의 실험에 임하였다. 발효 균주로는 3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Lactobacullus gasseri Ba9, 1종의 곰팡이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1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총 6종의 유용 미생물 균주를 사용하였다. 발효 굼벵이 분말 추출물의 유효성분(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 활성 효능(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실험, 혈전용해능, α-amylase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총 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바실러스 균주 발효 굼벵이 분말의 수용성 추출물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발효군 보다 발효군에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였고, 그 중 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전 용해능에서 또한, 바실러스 균주 발효 굼벵이 추출물에서 우수한 혈전 용해능을 확인였고, 효소-기질 분해능 실험의 α-amylase 활성은 비발효군보다 발효군에서 높은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발효균주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굼벵이 추출물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이 강화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건강 식품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queous,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larvae of the edible insect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fermented using several kinds of microorganisms, were tested in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Six effective microorganisms were used for fermentation, namely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Lactobacillus gasseri Ba9,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and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iological activities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ibrinolytic activ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examined in aqueous,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P. brevitarsis seulensis powder and fermented P. brevitarsis seulensis powder.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aqueous extract of B. subtilis-fermented P. brevitarsis seulensis powd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stronger in the fermented group than the nonfermented group. Fibrinolytic activity were highest in the extract from B. subtilis-fermented P. brevitarsis seulensis powder. The α-amylase activity in starch was higher in the fermented group than the nonfermen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bioactive materials derived from fermented P.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 KCI등재

        버스정류장의 디지털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심소연(So Yeon Sim),문정민(Jeong Min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교통 공간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람과 배송되어지는 물건이 출발하거나 도착 혹은 환승하는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있어 신속성, 안전성, 쾌적성, 안락성, 편리성 등을 제공해야 하며 버스정류장, 지하철, 공항, 선박 등의 종류가 있다. 그 중 버스정류장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대부분 기다림과 만남, 환승 등 행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지고 있으나 정보화 시대가 도래 하면서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인해 단순히 물리적 이용뿐 만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정보전달 및 인터랙션 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광주광역시의 대다수 버스정류장은 버스를 기다리는 단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조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버스정류장 구성요소에 따른 디지털미디어 활용을 분석하여 광주광역시 버스정류장의 적용방안을 디지털미디어 활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범위로는 버스정류장 구성요소 중본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벽면, 천정, 의자를 중심으로 적용 가능한 국내ㆍ외 디지털미디어 활용 사례를 조사한다.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광주광역시 버스정류장 중 벽면과 천정, 의자로 구성된 형태의 6가지 버스정류장 현황을 조사한다, 이후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디지털미디어의 ‘빛, 소리, 영상, 문자’ 4가지요소를 통해 광주광역시 버스정류장의 디지털미디어적용방법을 제시한다. 적용방법으로는 첫째, 벽면은 빛과 영상을 통해 스크린과 모니터로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하여 감성을 자극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둘째, 천정은 빛과영상, 문자요소를 통해 보다 아늑한 공간으로 변화해주고 마지막으로 의자는 소리와 영상요소를 통해 시지각적으로 새로운 공간을 제시한다. 위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디지털미디어를 통해변화된 버스정류장 공간은 단편적인 기능으로만 활용되어지던 광주광역시 버스정류장공간을 벽면과 천정은 빛과 영상, 문자요소를 활용하고, 의자는 빛과 소리, 영상요소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정보전달 및 감성적인 공간으로 변화함으로서 사용자와 버스정류장 간의 인터랙션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변화 속에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버스정류장을 단편적인 기능만하는 공간이 아닌 다양한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정보전달 및 인터랙션 하는 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버스정류장 개선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Transportation spaces provide expediency, safety, pleasant feelings, comfort, and convenience to people as spaces for the departure, arrival, or transfer of people or things to be delivered, and consist of bus stops, subways, airports, and ship terminals. Of these, bus stops are used by a number of people as a space where various things such as meeting, waiting, and transferring is done.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availability of digital media, these spaces have changed into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action through the delivery of digital media to users as well as simply being for physical use. Despite these changes, most bus stops in Gwangju are made to perform the simple function of waiting for bus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bus stops in Gwangju by analysing the use of digital media with the various components of bus stop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cases of digital media use which can be applied in the walls, ceilings, and chairs of bus stops. Of the bus stops in Gwangju with diverse forms, six types of bus stops made up of walls, ceilings, and chairs were investigated. Then, through the four factors of lighting, sound, images, and graphics from digital media drawn from previous studies, methods for applying digital media at bus stops were presented. For the application methods: first, walls stimulated emo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on screens and monitors using light and images and provided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econd, ceilings changed the space to be cozier through lighting, images, and graphics; finally, chairs provided a new space visually and cognitively through sound and images. As in the methods presented above, the space of the bus stops which were changed through digital media have changed into new emotional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using lighting, images, and graphics for the walls and ceilings, and lighting, sound, and images for chairs where interactions between the bus stops and users can be activated. In current trends in public design, it is suggested that bus stops, which are used by many people, should be made into spaces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action through diverse digital media rather than simply being spaces for waiting for buses.

      • KCI등재

        키토산 겔을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 차폐 시트 개발

        김소(So-Yeon Kim),김미소(Mi-So Kim),탁상민(Sang Min Tak),이지환(Ji Whan Lee),심소연(So Yeon Sim),주은희(Eun Hee Joo),김성배(Sung Bae Kim),김창준(Chang-Joon Kim) 한국생물공학회 2014 KSBB Journal Vol.29 No.3

        Sick-building syndrome occurs when indoor air is polluted with harmful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formaldehyde which are contained in furniture or new building materials. In this study, formaldehyde-shielding chitosangel sheet was develop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Chitosan and agar were dissolved in acetic acid solution.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chitosan, acetic acid and agar were 3, 3, and 2.5 %(w/w). Formaldehyde was spreaded on gypsum board and then wall paper was attached on it by using glue. When chitosan-gel sheet was attached on this control board, the amount of formaldehyde released from the board was decreased by 63% than in control board. On the other hand, decrease in formaldehyde releasing was only 32% when liquid solution of chitosan was spreaded on the control board. This result clearly indicates that chitosan-gel sheet removes formaldehyde more effectively than liqud solution of chitosan. Furthermore, this type of sheet is more applicable to new building than spraying type.

      • KCI등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장성호(Sung-Ho Jang),심소연(So-Yeon Sim),안희영(Hee-Young Ahn),서권일(Kwon-Il Seo),조영수(Young-Su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8

        본 연구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갈색거저리를 발효시킨 분말을 water, ethanol, methanol 용매별로 추출하여 다양한 실험을 행하였다. 균주는 3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F5), Lactobacullus gasseri Ba9 (Ba9), 1종의 곰팡이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Ak), 1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Sc), 1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s) 총 6종의 균주를 사용하였다. 각 균주를 이용한 발효 후 갈색거저리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DPPH assay,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 함량, Cu 환원력, Fibrinolytic activity, 효소-기질 활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DPPH assay 결과, Water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그 중 Bs 균주 발효 추출물이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의 경우, phenolic compound는 Ak발효군이 가장 함량이 많았고, Flavonoid는 Bs발효군이 가장 높았다. 환원력은 ethanol - Bs발효군에서 높은 수치를 확인하였고, Fibrinolytic activity 및 전분분해능은 water - Bs발효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효 갈색거저리 분말은, 기존 갈색거저리 분말보다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측면에서 효능이 상당부분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발효거저리분말은 식품산업전반에서 높은 이용가치를 증명하는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this study, Tenebrio molitor (T. molitor)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F5), Lactobacillus gasseri Ba9 (Ba9),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Ak),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Sc), and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s). After fermentation, the fermented products were extracted by water, ethanol, and methanol,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a DPPH assay, the water extracts of the fermented products of T. molitor showed high antioxidant ability. Among the water extracts, the fermented product by Bs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highest in the fermented products by Ak and Bs, respectively. Reducing activity was detected the most high activity on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product by Bs. The water extract of the fermented product by Bs exhibited strong enzymatic activity for fibrinogen and starch hydrolysis. Based on the observed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the fermented products of T. molitor by microorgansims can likely be applied as functional materials in various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