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신은주,이영선,Shin, Eun Joo,Rhee, Young Sun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2

        Today's consumers perceive consumption as a representation of themselves. It is not simply an act that fulfills a consumer's physical and practical needs. Even in terms of life quality, consumers increasingly want to achieve an emotional and sensible experience through consumption. Consumers now make decisions based on their need to express their position in relation to other people, pursue emotional satisfaction, and t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Culture-art products that meet suc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of consumers have mad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because of the social interest and policy support. The recognition of personal and social values of culture and arts has brought about interest in and need for culture-art products. Businesses have agilely embraced such change and actively implemente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utilizing culture and arts. For example, businesses began to sponsor artists who produce culture-art products while building facilities for cultural and art performances or exhibitions. Businesses have also provided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free-of-charge or at affordable prices. As a result, the supply in the market has started to exceed its demand as is often the case in many of other markets. However, such imbalance has occurred not because of over-supply but because of a lack of demand. Given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and culture and art related organizations, which had mainly concentrated on the supply side,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reating personal and social values in culture and arts. As a result, the government and various organizations are now creating various strategies that include policy measures to achieve their new found goal. Unfortunately however, such efforts are not meeting the expectations. Focusing on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problems, this study aims to find measures to create demand for culture-art products in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ose who consume culture-art products. In other words, given that the demand for culture-art products has not increased despite all external conditions to encourage consumpti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asons in consumers' value judgment on culture-art products. Though there were recent studies on culture-art products that applied consumer behavior on marketing theories, most of them focused on peripheral aspects such as people's motivation for or satisfaction from watching culture-art events. Hence,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what kind of value consumers perceive from culture-art products and how such value cognition leads to consump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This study acts as follow-up to a separate study entitled "Qualitative Study about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The current study aims to exte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strategies among the producing and policy agencies in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mensions of value cognition, benefits and attributes of culture-art product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benefits and attribut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ual structur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es. It was composed of value cognition, benefits, attributes of culture-art product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among a total of 662 persons ranging from their teens to their 50's who were living in Seoul, Gyeonggi-do, various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WIN 18.0 and AMOS 16.0. This empirical study found that the dimensions of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goods, aesthetic goods and public property. This shows that the consumers perceive culture-art products as products that are worthy 문화예술상품은 일반 소비재와 달리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중요한 소비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는 특별한 상품이다. 물질적 소비재나 서비스 상품은 상품속성이 주는 물질적 및 비물질적 혜택을 상정하여 상품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상품 소비는 소비자의 경험과 교육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인식에 따라 소비추구혜택이 달라질 수 있고,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은 문화예술상품의 속성을 선택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질적 연구에서 나타난 개념구조를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 및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의 하위차원을 규명하고,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역으로 적용하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문화예술상품 생산 및 문화예술 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10대 이상 50대 남녀 66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하위차원은 질적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가치인식은 대부분 추구혜택을 매개로 하여 상품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질적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수단-목적사슬을 역방향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즉,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실제적 편익으로 구체화되고, 소비자는 이러한 추구혜택에 따라 상품속성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구매의사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을 긍정적으로 형성·강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소비 촉진 요인임을 입증하였으며,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에서 소비자 중심의 상품개발과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소비자 정보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자기부상식 미세구동기의 비집중 적응제어기법

        신은주,송태승,유준,최기봉,Shin, Eun-Joo,Song, Tae-Seung,Ryu, Joon,Choi, Kee-Bong 한국전기전자학회 199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3 No.2

        This paper presents a decentralized adaptive controller design for a Magnetically Levitated Fine Manipulator to follow the given trajectory as close as possible in spite of coupling effects between motion axes(degree of freedoms or subsystems). The present controller consists of two parts: the model reference controls based on known subsystems and the local adaptive controls. The former stabilizes the motion of the manipulator so as to follow that of the reference model. The latter reduces tracking errors due to coupling disturbances by adjusting the local gains to such levels that override interactions and assure the stability of the overall system. Through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decentralized adaptive control scheme has better tracking performances comparing to the PID controller case as well as good disturbance(coupling) rejection property. 본 논문에서는 각 운동축들(자유도 또는 부시스템)간의 상호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자기부상식 미세구동기가 주어진 경로를 가능한 정밀하게 추종하도록 하는 비집중 적응제어기 설계가 제시되었다. 본 제어기는 알고있는 부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기준제어와 국부적응제어로 구성된다. 전자는 매니퓰레이터의 운동을 안정화시켜 기준모델을 따라가도록 하고, 후자는 간섭작용을 무기력화시키는 수준만큼 국부이득을 조정하여 전체시스템의 안정을 도모하고 연관성에 의해 유발되는 추정오차를 줄여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시된 기법이 기존의 PID제어기에 비해 추종성능과 외란제거 능력면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 KCI등재

        강도근 춘향가 연구: 초앞부터 <적성가> 대목을 중심으로

        신은주 ( Shin Eun Joo ) 판소리학회 2022 판소리연구 Vol.53 No.-

        강도근은 남원에서 태어나 남원에서 생을 마감한, 남원의 대표적인 판소리 명창이다. 그는 김정문, 송만갑, 유성준 등에게 소리를 배워 동편제 소리를 올곧게 이은 창자로, 20세기 중후반 남원 지역에서 많은 제자를 양성하며, 남원의 판소리 문화를 이끌었다. 그는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학습하였으되, 198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흥보가) 보유자 지정을 받으면서 흥부가를 중심으로 소리를 전수하였고, 음반 발매 역시 흥보가와 수궁가만 전 바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유로, 그간 강도근의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흥보가에 집중되었고, 강도근의 수궁가 및 적벽가와 심청가에 대한 연구가 극히 일부 이루어졌으되, 강도근의 춘향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강도근이 보유하였던 춘향가는 송만갑제로, 김정문에게 춘향가 일부를 배운 후 서울의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송만갑에게 춘향가 전바탕을 배웠으며, 송만갑 사후에는 박봉채에게도 소리를 배웠다. 강도근의 춘향가는 『강도근 5가전집』에 전바탕 사설만 전하는데, 이 사설 역시 강도근의 제자들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고, 채워지지 못한 부분은 박봉술 춘향가의 노랫말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그의 춘향가 음원은 전하지 않으며, 소리를 이어 활동하고 있는 제자도 없다. 본 연구는 그가 보유하였던 춘향가에 대한 연구로, 남원시와 전북대학교가 공동으로 2021년 발매한 음반 「강도근 구술과 판소리-춘향가, 수궁가, 흥보가」를 대상으로 한다. 이 음반에는 정회천이 개인 소장하고 있던 강도근이 부른 춘향가 도입부부터 <적성가> 부분까지의 음원이 담겨있다. 그리고 1993년 삼성전자에서 LD형태로 제작된 「혼의소리-동편제의 거장 강도근」 에 담긴 강도근의 <저건너/적성가>, <어사출도> 두 대목의 음원도 참고하였다. 이를 통해 강도근 춘향가의 사설 및 음악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강도근 음반의 사설과 『강도근 5가전집』에 기록된 사설이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입 부분에서 이몽룡에 대하여 묘사하는 진양조장단의 소리 대목은 음원에는 담겨있지 않으나 제자를 통해 동일한 사설을 소리로 불렀음을 확인하였고, 그 외에 <기산영수>, <동문밖>, <나귀안장>, <저건너/적성가>, <어사출도> 부분의 사설이 거의 일치하였다. 그러나 강도근의 춘향가 사설을 동편제 박봉술 춘향가의 사설과 비교하여 보면 서로 다른 점이 많고, 역시 동편 소리인 이선유 및 김세종제와도 차이가 있다. 박봉술의 춘향가와 구별되는 강도 근 춘향가가 가지고 있는 사설적 특징들은 대체로 김연수 춘향가와 유사한데, 김연수에게서 직접 강도근이 영향을 받은 것인지, 다른 경로로 강도근 춘향가에 변화가 일어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필요하다. 강도근 춘향가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한 곡 안에서 비교적 넓은 음역을 사용하여 노래한다는 점이다. 자유롭게 주음의 위치를 이동하며 소리하는 강도근의 스타일은, 판소리의 일반적인 청(주음)의 이동 방식과도 차이가 있다. 때문에 강도근의 노래는 듣는 이가 흔히 기대하는 음으로의 이동이 아니라, 전혀 생경하게 들리기도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된 노래들은 모두 평조와 우조를 사용하여 선율을 구사하는 곡들이되, 음을 떨어주며 소리하는 요성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강도근은 전반적으로 통성으로 소리하고, 호기롭게 부르는 특징을 보이며, 단조로운 리듬(붙임새)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이에, 강도근의 춘향가는 기교 중심의 서편제와는 확연히 차이를 보이고, 전반적인 분위기에서 동편제 판소리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Kang Dokeun was a representative P’ansori singer from the Namwon region during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He mastered authentic Dongpyeonje, which he learned from 20th century Namwon P’ansori culture and fostered several pupils, including AnSooksun, JunInsam, and LeeNancho. He was designated holder of P’ansori Heungboga(the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88. Heungboga, which he taught to his pupils, is actively sung today. However, KangDokeun possessed the knowledge of all five P’ansori (Chunhyangga, Simcheongga, Sugungga, Jeokbyeokga, Heungboga). Neither does any recorded evidence of Kang Dokeun’s Chunhyangga remain nor do records exist that contain short sound clips of its portions. Therefore, no conclus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f Kang Dokeun’s Chunhyangga; only its lyrics have been recorded in 『Kang Dokeun 5 ga full collection』 (P’ansori five batang full collection) by Kim Gihyung. The lyrics were reorganized by his pupils and the parts that were not filled were com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lyrics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This study is of Chunhyangga, which he possessed, and focuses on 「Kang Dokeun oral statement and P’ansori-Chunhyangga, Sugungga, Heungboga」, an album released by Namwon City and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1. The album contains sound source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of Chunhyangga to Jeokseongga possessed by Professor Chung Hoechun.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sound source of Kang Dokeun’s Jeokseongga and Eosachudo (the scene where the royal secret investigator appears) contained in 「Sound of Spirit-Kang Dokeun, master of Dongpyeonje」, which was produced in LD form by Samsung Electronics in 1993. Based on these sources, this study examines the lyr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Kang Dokeun’s Chunhyangga. Results reveal that the lyrics in the album of Kang Dokeun and the lyrics recorded in 『Kang Dokeun 5 ga full collection』, are in almost complete accordance with each other.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presence of parts that used Jinyangjo Jangdan that Lee Mongryong described in introduction; however, lyrics in Gisanyeongsu, Dongmunbak (Outside the Eastern Door), Naguianjang (Saddle of Donkey), Jeokseongga, and Eosachudo almost coincide. However, when comparing the lyrics of Kang Dokeun’s Chunhyangga and Park Bongsul’s Chunhyangga.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 two are largely similar to those of Kim Yeonsu’s Chunhyangga. Whether Kang Dokeun was directly influenced by Kim Yeonsu or whether Kang Dokeun’s Chunhyangga changed through other paths needs further discussion. The strongest characteristic of the music of Kang Dokeun’s Chunhyangga is that a relatively wide range is used in one piece. Kang Dokeun’s style, with is different from the movement method of the general chung (main sound) in P’ansori. Therefore his song sounds unfamiliar, commonly expects . Furthermore, all the songs examined in this study use Pyeongjo and Ujo to express melody; however, their vibrato is remarkable. However, Kang Dokeun’s P’ansori heartily sings with Tongseong and uses monotonous rhythms (butimsae) repeatedly. Therefore, Kang Dokeun’s Chunhyangga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technique-centered Seopyeonje and shares several aspects of Dongpyeonje in terms of the overall atmosphere.

      • 어린이도서관의 열람공간의 어린이 이용행태

        신은주(Shin, Eun-Joo),정현아(Chung, Hyun-A),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It may be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books in childhood, and because we want to help children stay in contact with divers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use them, through the medium of books,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the social interest in children’s libraries is increasing these days. But although many studies are being made on children’s libraries, those on their spatial environments and the usage behavio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d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use the children’s libraries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requirements, so as to analyze their behavioral responses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Concerning the bookshelves, children a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choosing and picking up books due to the height of the bookshelv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xiliary furniture for reading around the bookshelves and the users, concerning the book rea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urn out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children. We found that although the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children’s libraries have seen much aesthetic improvemen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re not qualitatively well reflected. In future plans for children’s libraries, the children’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ag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their detail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with these, should be supported.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민요 음조직에 대한 연구 검토 및 제언

        신은주 ( Shin Eun-joo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2 No.-

        제주민요에 대한 음악적 연구, 특히 음조직(音組織)과 관련된 연구는 1971년 나운영(羅運榮)의 “제주도민요의 작곡학적 연구: 음악구조를 중심으로”를 필두로 하여, 이후 조영배(趙泳培)를 중심으로 몇몇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그간의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제주민요의 음조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고, 학계에 공통의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간의 제주민요의 음조직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종지음(終止音)을 매우 중요하게 파악하여 도(do)종지·레(re)종지·미(mi)종지·솔(sol)종지·라(la)종지의 모든 음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초창기 나운영의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큰 변화없이 이어졌으며, 조영배에 이르어 선율의 골격으로 주음과 핵음에 의한 핵구조가 더하여졌다. 그러나 종지음을 기준으로 모든 음구조를 제시하는 방법으로는 제주민요 특유의 음조직을 밝히기 어렵다. 이보형(李輔亨)은 중요음 구성틀에 의해 제주민요의 토리 유형을 제시하며 이전의 논의들과 구별되나, 육지 토리에 맞추어 제주민요를 바라보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이제, 그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제주민요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보다 진일보한 결과물이 나올때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진일보한 결과물은 종지음을 기준으로 한 음구조의 나열이 아닌, 선율의 골격이나 시김 또는 제주도 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함을 가려내기 위한 시도일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된 제주민요의 독특함은 육지의 민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도·레·미·솔·라’로 구성되는 음조직을 꼽을 수 있다. 도선법(do旋法)은 “밭밟는소리”·“마당질소리”·“흙덩이부수는소리”·“써레질소리” 등상당수의 제주민요에서 사용되는 음조직이며, 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선법이다. 그렇기는 하되, 한국의 육지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선법으로 제주지역의 향토민요에서만 두드러지는 특징적인 음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종지음이 주 사용 음역의 기음(基音) 혹은 기음 4도 위의 음이 아니라, 기음부터 음을 나열하였을 때 제2음과 제4음이 주골격을 이루는 형태도 제주민요에서 흔히 발견되는 특징이다. 선율 특징으로는 비교적 넓은 음역에서 소리하며 고음으로 소리를 시작하여 점차 하행하다가, 한 음(종지음)을 중심으로 선율이 평행을 이루다가 종지하는 선율형 또한 특징적이라 하겠다. 즉 그간 제주민요의 음조직에 대해서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어업과 관련된 일노래가 많다”, “어느 한 가지 선법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서울 경기지방 민요의 토리와 유사한 점이 많다”, “순차적인 가락의 진행과 제주 특유의 사투리가 특징이다”와 같은 애매한 설명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이 좀 더 구체화시키면 어떨까 제안한다.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되 육지 민요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도·레·미·솔·라’의 음조직이 사용되고, 주로 최고음으로 시작하여 하행하는 선율구조를 가지며, 향토민요의 경우에도 음역이 비교적 넓어 한 곡 안에서도 다양한 선율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Musical studies of the Cheju 濟州 folk songs, in particular studies regarding the mode, have been carried out by some scholars started by Na Un-yong 羅運榮 in 1977 with his thesis and led by Cho Yong-pae 趙泳培. However, despite the studie s of many decades, the modes of the Cheju folk songs have not been clearly arranged and no common consent has been made in the academic world. In this regard,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modes of the Cheju folk songs which have been discussed until now. As a result, the modes of the Cheju folk songs turne d out to have various forms. Dividing the modes according to the ending-note, a vari ety of structures can be used including Do ending-note, Re ending-note, Mi ending-n ote, Sol ending-note and La ending-note. Even in the music pieces using the same keynote, the main range presents variety. Also, the frame based on the mainly used note is diversified as well.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put the modes of the Cheju folk songs in order in a brief manner. Nonetheless, native folk songs in the inland area also use a variety of modes known as t’ori 토리, and sometimes more than two modes(t’ori) are mixed and used in the modified form. Considering this, it is a natural consequence that many modes are used in the Cheju folk songs. Admitting that many different modes are used in the Cheju folk songs, what are the modes represen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eju Island then· The modes comprised of ‘do·re·mi·sol·la,’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e folk songs of the inland areas of Korea, can be considered the uniqueness of the Cheju folk songs. This form of modes is utilized in many Cheju folk songs. Moreover, it is because this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 standing out only in the native Cheju folk songs, tho ugh it is the mode widely known to the world but hardly used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In other words, no clear proposal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modes of the Ch eju folk songs and there have been some ambiguous explanations such as “there are many songs related to fishery,” “there is no noticeable representative mode,” “they ar e very similar to the modes(t’ori) of the folk songs of Seoul and Kyonggi region,” an 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 of consecutive tunes and distinct dialect of Cheju Island.” However, stepping further beyond such explanations, this study intend s to propose some concepts to materialize the features. “While a variety of modes are used, the Cheju folk songs use the modes of ‘do·r e·mi·sol·la,’ which are not used in the inland folk songs. In general, the tune structure starts with the highest note and gradually descends. The native folk songs often have a structure of diverse modes even in the same music due to the relatively wide range of note.”

      • KCI등재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조정제도 및 향후전망

        신은주 ( Eun Joo Shin ) 한국의료법학회 2011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9 No.1

        의료사고처리와 의료분쟁을 처리하기 위한 법안이 국회에 발의된 지 23년만에 의료분쟁조정법이 제정됨으로써 의료분쟁 해결에 큰 전환점을 가져 오게 되었다. 즉 종래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경우에 주로 소송을 통하여 분쟁을 해결하거나 실력행사를 통한 해결에서 의료분쟁 조정법에 의해 조정이나 중재와 같은 자주적인 방법에 의해 분쟁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분쟁 해결방법이 변화됨으로서 분쟁당사자 간에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소송에 의한 분쟁해결과 달리 조정이나 중재를 통하여 자주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갈등관계를 완전하게 해소함으로써 장래에도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분쟁해결에 있어서 큰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의료분쟁조정법이 의사와 환자 사이에 분쟁을 적절히 해결함으로써 환자에게는 적절한 피해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의사에게는 최선의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진료환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조정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법률문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의 그 밖의 관심사까지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불편한 감정까지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이나 중재를 통하여 의료분쟁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정한 의료분쟁 조정법이 조정과 중재제도를 마련하고 감정단을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사안을 규명하여 의료 분쟁을 해결하고자 한 것은 바람직하고 향후 이 법의 역할에 대한 많은 기대를 가지게 한다. On March, 2011, the Act of Medical Malpractice Damage's Relief and Mediation for Medical Dispute Resolutuin was enacted. The purpose of the Act is to relieve damages due to medical malpractice quickly and fairly. Thus, it pursues to create stable circumstances in medical service. The enactment of the Act means to change how people resolve dispute for medical malpractice. Because the Act seeks to resolve the dispute of medical malpractice through mediation or arbitration as alternation of lawsuits. So the disputants have more initiative in the course of dipute resolution by this Act. But mediation or arbitration in this act is not controlled the process by the disputants, because the act provides how and who deals with this process. However, the way of dipute resolution in medical malpractice by this Act is useful for the disputants. It establish a department of estimation and let it identify negligence of medical personnel and causation. The proof of negligence and causation is done by that department. So patient doesn't prove the negligence and causation on medical malpractice any more. In this sense, patient can overcome difficulties in proof. In addition to that, the committee of mediation give some proposition to the disputants. The dipute is ended if they accept the proposition. Therefore, the dispute through mediation or arbitration can resolve simpler and quicker than a lawsuit. The disputants in medical malpractice can resolve not only legal issues but also interests related the dispute, though. Accordingly, this alterantive way of dispute resolution is disirable. In conclusion, we look forward to resolve the dipute of medical malpractice through mediation or arbitration in the Act.

      • KCI등재

        호텔종사원의 유머스타일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은주 ( Eun-joo Shin ),조우제 ( Woo-je Ch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3

        최근 들어 펀 경영과 펀 리더십 형태의 교육을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호텔기업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종사원들이 사용하는 유머스타일이 자기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머스타일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관계적 유머, 자기고양적 유머, 공격적 유머, 자멸적 유머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20일까지 총 20일간 실시하였고 대구시내 특급호텔6곳의 종사원에게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머스타일의 요인 중 자기고양적 유머와 공격적 유머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자기고양적 유머와 관계적 유머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다른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지역과 연령대에 따른 표본의 차이로, 연령대와 직무의 특성에 따라 유머스타일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 했다. 둘째, 유머스타일의 요인 중 자기고양적 유머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르면 종사원들이 자기고양적 유머를 사용함에 따라 직무상황의 스트레스나 역경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텔종사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직무만족을 높여 경영성과에 긍정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호텔기업들은 종사원들의 유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하고, 신입사원 채용 시 심층면접을 통하여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n-management and fun-leadership education has become the focus of service industry in recent years, but hotel businesses are not actively taking part in this trend so far.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hotel employees`` humor style has an influence on their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using an actual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four humor types - relational humor, self-enhancing humor, aggressive humor, and self-destructive humor - were identified based on a preceding research and it was examined how these humor types affected an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lso,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was studied. A survey of hotel employees working at six five-star hotels in Daegu was conducted from October 1st to October 20th, 201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self-enhancing humor and aggressive humor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research that relational humor and self-enhancing humor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This difference was identified as a result of different age and region of survey samples, and thus a new conclusion was drawn that each humor style has a different influence on self-efficacy in terms of age and job traits. Secondly, self-enhancing humor showe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 of self-enhancing humor is that this kind of humors are used in the face of stress or obstacle, and hotel employees`` self-enhancing humor helps them overcome stresses and obstacles in a working situation. Thirdly, self-efficacy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led to employees`` job satisfaction at work.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hotel business to develop humor training program for its employees in order to enhance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a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anagement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have an in-depth interview on the applicant``s humor style in the employment process to find a competent employe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외국인의 강제적인 가족분리와 가족결합권의 보호

        신은주 ( Eun Joo Shin )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6

        In the modern era of globalization, immigration has been politicallycontroversial in many advanced market-economy countries. Largemajorities in all these countries would prefer fewer immigrants. Butmany advanced market-economy countries continue to accept newentrants. By means of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states havethe acknowledged right to determine who enters their borders. Accordingto international rules,“ a state has the competence to control and toregulate the movement of persons across its borders.” Thus, states definethe number of individuals they will permit to enter, the characteristics ofthose individuals and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ir entry throughtheir immigration control policies. However, this right is not absolute. It is limited by the right ofindividuals to move across borders among other reasons. Citizens of astate have the broadest right of entry. On the other hand, non-citizenshave only limited rights of entry, established in international andmunicipal laws to varying degrees. They encompass the right of an aliento join a citizen family member, the right of a resident alien to be joinedby his or her family, the right of an alien to seek asylum from a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 and the right to not be expelled from thestate. Each of these rights may constrain the state from controlling andregulation the movement of persons across its borders. Family reunification comes from the right of individuals to marryregardless of nationality, the protection of the family unit as the basicunit of human society, the right of the child to be united with his or herparents and the right to leave one’s country. Many internationalcovenants, treaties and declarations pertain to the right to familyreunification. But the right of family reunification itself is not enshrinedin international covenants. At best, governments are exhorted to facilitatefamily reunification. Now Governments including Korea need to enshrinethe right to family reunification in immigration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