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생산품 유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를 중심으로-

        신원우 ( Shin Won Woo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4

        제점을 파악하고 마케팅 관점에서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8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시설 및 장애인근로자와 중증장애 인근로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및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의 의무구매비율(1%) 미충족, 생산자와 수요자간의 품목 불균형, 생산시설과 판매시설간의 상호연계 부족, 장애인생산품의 품질 개선 요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및 공공기관의 의사결정자들의 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가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등을 통하여 중증장애인생 산품 구매에 대한 제반 지원이 명문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생산시설의 생산품 품질관리 및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내 관련된 전문인력의 재능기부 참여를 통한 자체적인 개선 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일반 소비자도 중증장애인생산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홍보할 필요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of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in affirmative action in Korea and to present the improvement suggestions for employment policy for disabled people. Since 2008, the sales figure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agencies, which have legal obliga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has increased sustainedly.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product facilities and severe disabled workers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increase of sales figure.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non-fulfillment of the legal obligation of sales (1%), product imbalanc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lack of interconnectedness between product facilities and sales facilities, and poor quality of products. The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most desirable to strengthen publicity targeted for decision-makers of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and marketing system in product facil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urchase system for purchasers in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general consumers such as e-business purchasing 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과 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신원우(Wonwoo Shi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일국양제의 구조적 문제와 불안요인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일국양제에 대한 역대 중국 지도자들의 발언 들을 통해 중국의 일국양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홍콩반환 후 중국 정부가 시도해왔던 조치들과 이에 대한 홍콩인들의 저항을 연대기적 서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덩샤오핑부터 시진핑까지 역대 중국 지도자들의 일국양제에 대한 공식 발언들을 살펴보면, 중국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공존을 강조하고 있을 뿐, 양제가 일국에 우선한다는 인식을 공식적으로 나타낸 바 없다. 반면 양제에 방점이 있다는 견해는 「홍콩기본법」의 중의적 해석에 기초한다. 이는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을 대하는 중국 정부와 홍콩인의 태도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다. 즉,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홍콩 문제는 중국 정부가 인식하고 있는 권리(인식된 권리)와 홍콩인이 본래 갖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권리(해석된 권리)의 충돌이다. 다음으로 홍콩에서의 일국양제의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홍콩의 불안요인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불완전한 주권 문제와 홍콩인들의 정체성 문제이다. 중국은 대만과의 통일문제를 불완전한 상태의 주권국가에서 완전한 주권국가로 거듭나기 위한 주권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홍콩의 주권 및 정체성 문제들이 이를 침범하고 있다. 둘째,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가 갖는 민주화운동에 대한 불안감과 홍콩인의 중국 정부에 대한 불안감의 충돌 문제이다. 셋째, 홍콩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치적 · 경제적 불평등이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최근 홍콩의 문제들은 중국 정부와 홍콩인들 상호 간의 선험적(先驗的) 인식에 대한 선행적(先行的) 대응의 결과이다. 2019년 홍콩 송환법 반대시위가 이전 시위들과 구분되는 특징은 「홍콩 국가안전법」이라는 제도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일국양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를 홍콩인뿐만이 아니라 대만인도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is study explores how China has institutionalized one country, two systems after the handover of Hong Kong, and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nxiety from Hong Kong. First, the study looks into statements about one country, two systems made by the leaders of China in order to check China’s perception about one country, two systems. Then, the study analyzes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fter the Handover, and how Hong Kong people resist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official statements by the leaders from Deng Xiaoping to Xi Jinping indicate that China emphasizes coexistence of capitalism and socialism. However, there is no perception that is officially expressed to indicate how two systems are prioritized over one country. The Basic Law of Hong Kong has multiple interpretations, leading to an opinion that “two systems” is prioritized. This is leading t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Hong Kong people when they respond to institutionalization of one country, two systems. In short, there are issues found in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and these issues involve conflict between rights. These are right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perceives as its from the beginning (perceived rights) and rights that Hong Kong people interpret as theirs from the beginning (interpreted rights). Next, there is an analysis on factors associated with anxiety from Hong Kong in terms of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This analysis considers three aspects. First, there are issues from incomplete sovereignty and identity of Hong Kong people. To China, the China-Taiwan unification issue is an issue of sovereignty; China wants to be a completely sovereign state instead of having incomplete sovereignty. However, the issues from Hong Kong intrude into this goal, and these issues are linked with identity and sovereignty of Hong Kong. Second, there is a conflict of anxiety between China and Hong Kong; China, an authoritarian state, has anxiety about the pro-democracy movement. On the other hand, people in Hong Kong have anxiety about the Chinese government. Third, there is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observed while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in Hong Kong. This, in turn, presents a factor associated with anxiety. Recently, there were several issues during the process to institutionalize one country, two systems. These issues are the results from preemptive action, which is taken due to a priori perception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Hong Kong people. “Anti-Extradition Law Amendment Bill Movement(2019-20 Hong Kong Protests)” is different from the past protests because it has led to an institution called Hong Kong National Security Law. This is even more significant since not only people in Hong Kong but also those in Taiwan have clearly realized the stance of the Chinese government for one country, two systems.

      • KCI등재

        2019년 홍콩 시위의 특징과 일국양제 위기론에 관한 고찰

        신원우(Wonwoo Shin)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2019년 홍콩 시위의 발생 원인과 특징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홍콩 시위로 인해 제기되고 있는 일국양제 위기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홍콩 시위’는 정치적 문제로 촉발되었고, 그 내면에 경제적 문제가 혼재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2014년 홍콩 시위’와 비슷하다. 다만 2019년 홍콩 시위는 2014년 홍콩 시위보다 모든 면에서 더 크고 격렬히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이번에도 홍콩 시위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홍콩 문제를 대만과의 통일문제에 관하여 공세적 정책을 펴나가는 상황에서 나타난 심각한 위기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2019년의 홍콩 시위 발생 원인을 정치적 · 경제적 불평등과 상대적 박탈감에서 오는 홍콩 시민들의 불만, 중국공산당의 홍콩에 대한 강압적 정책, 이에 대한 홍콩 시위의 적극적 호응으로 발생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홍콩 시위로 인해 향후 중국의 일국양제가 실패하게 될 것이라는 일각의 예상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다. 이번 홍콩 시위는 정책의 실패이지 제도의 실패는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이번 홍콩 시위에 대하여 정치적 사안에 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며, 경제적 사안에 관해서는 경제적 혜택 제공 등 유연한 정책 변화를 진행함으로써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protests in Hong Kong, and it analyzes the crisis theory on the one country, two systems arrangement brought up by the Hong Kong protests. And, the author set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risis theory on the one country, two systems principle. “The 2019 Hong Kong protests” are similar to the 2014 protests since they were sparked by political issues intertwined with economic issues. However, “the 2019 Hong Kong protests” unlike “the 2014 Hong Kong protests” have been larger in scale and more intense in all aspects. China has, once again, maintained a firm stance on the Hong Kong protests. This is because Beijing sees the Hong Kong protests as an indicator of a grave crisis that came as its aggressive policies to pursue reunification with Taiwan are employed. The author, in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2019 Hong Kong protests were caused by Hong Kong citizens’ grievances built up by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and relative deprivation, Beijing’s oppressive policies on Hong Kong and the Hong Kong government’s active response towards such policies. However, the author argues against those who forecast that China’s one country, two systems arrangement will fail due to the Hong Kong protests. The recent protests in Hong Kong are the outcome of failed policies not a failed system. Therefore, the Hong Kong protests are expected to be resolved as China maintains a firm stance on “the Hong Kong protesters” and flexibly changes its policies on “Hong Kong” at the same time, thereby finding a point of compromise.

      • KCI등재

        [특집 : 노숙인, 공동체로부터 소외된 사람들] 1990년대 이후 한국 노동시장 변화와 노숙인 문제의 등장

        신원우(Shin Wonwoo),김소영(Kim Soyo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5 亞細亞硏究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ause of the korean homeless problem in 1990s focused on the social structural perspective in changing labor market.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aspects of research on the homeless, it is much rare on the cause of the homeless origination referring to the importance.<br/> Before examining this structural causes, we consider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n homeless problem in U.S, England, and Japan in the 1980s which have been understood evidently as a different kind of occurrence of homeless people resulting from the neo-liberalism and social-structural shift. Also we examined that the Korean homeless people have been the fragile conditioned group undergoing chronical job instability, unemployment, and risk on poverty.<br/> And more specifically, we stared the structural causes of homeless problem driving from the globalization causing from neo-liberalism. The structural aspects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the korean company has taken the new employment strategies increasing of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outsourcing. Second, industrial structural shifts have occurred as a form of manufacture downsizing and growing of service sector. Third, IMF economic crisis and recession make their employment opportunity shrink.<br/>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it is requested to overcome the limit of individu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to be homeless people as a result of the idleness, a weak-will, or an unfortunate childhood of the individual.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the poor from becoming homeless and solve the problem, it need to convert the viewpoints to the structural causing perspective. Also this study recommends the national poverty policy that can guarantee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he weak group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 actual minimum living.

      • KCI등재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 차이에 관한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 향상과 문화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복지수준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수립과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조사한 한국복지패널의 2012년 7차년도 자료의 가구의 경제상활 및 복지수준에 대한 인식 및 전망으로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년 전에 비해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상황이 비슷하다고 인식한 응답 비율이 72.9%로 가장 높았으며,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후에 현재보다 여가·문화생활이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전망보다는 긍정적 전망이 좀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학력,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거주지역, 소득계층인지 차이에 따라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비수급자일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위층이라고 인식할수록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문화복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목표와 표적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기하고 있다.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복지 정책의 방향 정립이 필요하며, 정책의 표적 대상과 관련하여 문화복지 정책의 우선 대상을 저소득계층을 포함한 문화소외계층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ultural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of 12,460 individuals who were aged 15 and over on 7th wav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on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 and househol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respondents perceived no change of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comparison with last yea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ir recreational and cultural life in next year would be better than now.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welfare level by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national basic lifehood security status, populated areas and income status. These findings can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clear goal and policy target of cultural welare polic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ultural welfare policy.

      • KCI등재후보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신원우(Shin, Won Wo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본 연구는 문화복지 정책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복지는 전국민의 문화권 증진과 문화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볼 수 있다. 문화복지의 특성으로는 목표, 수혜대상, 역사적 발전과정, 유형, 구체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 중 문화이용권사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문화이용권사업의 추진기관은 주최기관, 주관기관, 후원기관등 3개영역으로 구분되며, 사업초기에 비해 문화이용권 사업의 성과는 수혜자수 및 예산투입 대비 수혜자수를 기준으로 볼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문화이용권사업의 문제점으로는 문화이용권 사업의 목표에 대한 혼란, 전달체계 및 전문성있는 매개인력 미흡, 전달체계의 모니터링 한계에 따른 감시감독체계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화이용권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복지 목표실현을 위하여 문화이용권 대상자를 경제적 소외계층에서 문화적 소외계층으로 확대해야 하며,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확대와 문화관련 시설확충을 위한 관련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이용권 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급자측면에서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가들의 참여와 수요자 측면에서의 홍보 및 문화교육강화를 통한 소비자선택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복지 전달체계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실질적 문화 복지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을 통해 전문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전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for opportunity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in regards to cultural welfare. Cultural welfare is the policy for opportunity expansion to enjoy the culture for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well as quality of cultural life of all citizens.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began as a public policy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y lottery funding for the Arts in 2005. This program has developed in terms of finance and participation of recipients and providers. However, this program has a few problems such as confusion about the policy goal, shortage of public delivery system and practitioners and limitation of surveill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government make an effort to include the culturally disadvantaged persons as recipients of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secure budget for cultural facilities. As well, government needs to gather the art providers of various cultural genres and to strengthen the consumer rights via active promo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it is needed to build the produc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