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가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선혜연(Seon, Hye-yon),김영빈(Youngbin Kim),황매향(Mae-Hyang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reer value of female adult learners. In this study, 169 female adults who study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nswered to a questionnaire asking the career choice criteri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CQR-M). As a result, six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tself; what suits me, what I feel rewarded and fulfilled, what I enjoy, what I can do well, what contributes to society, what is moral. and eight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cceptable salary, social recognition, long-lasting work, time-free work, relationship-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ork & family balance, physically and mentally less demanding work, convenient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suggested on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career inventory and career services for female adult learner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이 연구는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진로가치를 탐색하고 정리하여, 일반 대학생과 구별되는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선택기준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 169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의 절차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가치는 크게 ‘일 자체의 속성’과 ‘일의 환경적 특성’의 두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일 자체의 속성’ 영역에는 나에게 맞는 일,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는 일, 즐겁고 행복한 일, 잘할 수 있는 일, 사회에 기여하는 일, 도덕적인 일 등 6개 범주가 포함되었고, ‘일의 환경적 특성’ 영역에는 수용가능한 보수, 사회적 인정, 안정적으로 오래 할 수 있는 일, 시간적 여유가 있는 일, 자유롭고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 일-가정 병행, 신체적·정신적으로 덜 힘든 일, 편리한 근무환경 등 8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진로검사 및 진로서비스의 개발 필요성 및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성인학습자 간의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도 차이

        선혜연 ( Hye Yon Seo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 대학가의 변화되는 특징 중 대학원생과 성인학습자의증가에 초점을 두고, 대학의 학부생과 전통적인 대학원생, 그리고 성인학습자들 간의 대학원진학목적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여 차별적인 진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중부권 2개 대학에서 198명의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대학원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 수준 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학 학부생들과 학부를 졸업하고 곧장 대학원에 진학한 전통적인 대학원생, 그리고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통한 사회생활을 경험한 후 대학에 다시 돌아온 성인학습자 간에는 같은 교육과정에 진학하더라도 진학 이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학습자는 학부생이나 전통적인 대학원생들에 비해 높은 진로성숙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 그리고 성인학습자들의 진로발달 및 진로상담 서비스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ree groups of students(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returning-adults students) differed in career maturity and purpose of entering graduate school. A total of 198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and returning-adult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administered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Lim un et al., 2001). Results from one-way ANOVAs and ScheffE tests indicated that the three groups differed in career maturity and purpose of entering graduate school. Specifically, returning-adults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career maturity than did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for career counseling practice with the three groups of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동향

        선혜연 ( Hye-yon Seon ),정솔뫼 ( Sol-mwe Jeong ),송효경 ( Hyo-kyeong Song ),오정희 ( Jung-hee Oh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人間理解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 동향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내담자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 6월까지 발표된 32편의 국내·외 연구물을 대상으로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들은 200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2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스라엘,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연구의 수가 제한적이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변인간 관계 연구가 가장 많았고 척도개발 연구, 개관 연구 순으로 많았다. 또한, 대부분 양적연구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었으며, 질적연구만을 사용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셋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의 구성요인은 연구마다 요인 수와 내용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는 주로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애착, 진로결정수준등의 변인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를 기준으로 군집분석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추후 연구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of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 total of 32 articles were analyzed based on basics, objects, theme, methods and content.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number of career counseling studies 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2000. (2)Most studies were empirical based and used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with quantitative data. (3)±ere is a wide variability in the constructs and number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various scales measuring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Lastly, the meaning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is discussed.

      • KCI등재

        교원양성대학 학생들의 학업 및 진로 고민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선혜연(Seon, Hye-yon),정여주(Chung, Yeo-ju),오정희(Oh, Jung-hee),김한별(Kim Han-byul),하애실(Ha, Ae-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 및 진로에 대한 고민의 내용을 탐색하고 정리하여, 교원양성 학생들의 학업과 진로를 조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및 진로에 대한 어려움을 묻는 질문지를 배부하여 2017년 4월부터 한달간 총 104명의 질문지를 수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총 5회의합의과정을 통해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학업관련 고민으로는 대학공부방법이 낯설고 힘듦, 공동학습 과정에서의 갈등, 학습동기와 흥미 부족, 학습수준이 높아짐, 학습할 양이 많음, 학사관리 체계에 대한 불편감, 교육실습에 대한 부담, 경제적지원 부족의 총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진로관련 고민으로는 임용고사 응시 및 결과에 대한 불안, 교사로서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고민, 자기이해부족으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의 고민, 교사 이외 진로개발상의 제약, 교사로 진로를 결정하여 걱정 없음, 원치 않은 진학으로 인한 회의감의 총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양성 및 대학생 학업 및 진로 조력 체계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cademic and career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institute of teacher education and to give data to help the institutes of teacher education improve their curriculum and develop program for their students’ study and career. In this study, 104 students who are in the institute of teacher education answered to a questionnaire asking academic and career difficult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CQR-M). As a result, total 8 categories were drawn in academic difficulties; unfamiliar and difficult study method, conflict in group study,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high level of study, lots of study volume, uncomfortable university graduate management system, pressure of teaching practicum,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total 7 categories were drawn in career difficulties; anxiety to take and fail in teacher qualification exam, worries about qualification and roles of teacher, psychological discomfort coming from lack of self-understanding, worries in preparing process of teacher qualification exam, limitation on developing other career except being teacher, no worries because of deciding to be a teacher, regret coming here without want.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suggested on curriculum of institutes of teacher education and program for their students’ study and career and meaning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관계 분석

        선혜연(Seon, Hye-Yon),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5한국교 육종단연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으로 성장한 청소년 5,920명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자료를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감소 추세는 학생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 초기치와 학업적 효능감 초기치, 학업성취 기울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기울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초기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기울기 및 학업성취 기울기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과 학업성취를 위한 교육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3-year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were in the following.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decreasing and their changing pattern was linear pattern mod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ose students who had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academic self-efficacy in grade 7th, with the change rates of both positively inter-related. Implications fo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and continued research are discussed.

      •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 연구 동향

        선혜연 ( Hye Yon Seon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2 No.-

        This study reviews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y have been revealed in research undertaken in Korea. Firstl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he current discussions in US on the issues related multicultura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was reviewed. Secondly, the literature search with key words were undertaken. The literature searching process revealed the appearance of research from the year 2010 and the lack of research in area of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searched studie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y were the empirical examinations of variables related career developments,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nd so on. Lastly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s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 KCI등재후보

        지방 중위권 대학의 대학생활적응도검사 개발 연구

        선혜연 ( Hye Yon Seon ),하창순 ( Chang Sun Ha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이 연구는 중위권 대학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수준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대학생활적응도검사를 제작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의 몇몇 대학에서 개발된 대학생활 적응 측정도구는 대부분이 최상위권 대학의 재학생들을 위한 도구였다는 점에서 선행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충남권 소재 중위권 대학의 대학생 면담을 거쳐 학생들의 적응상의 문제를 잘 반영하는 문항들을 선정한 후, 예비연구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전문가의 문항 평가를 거쳤고, 본연구에서는 구성된 검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연구의 결과와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도 검사는 크게 학교생활영역과 정신건강영역의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각 영역은 3개의 하위 요인을 포함하는데 전자는 대인관계 및 스트레스, 진로 및 결정, 학습의 3가지 요인이 포함되고, 후자는 심리적 위기, 정서적 예민성, 우울감의 3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검사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작된 검사의 특징 및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college adjustment inventory at the middle level college of a provincial university. Study 1 was done to select items based on the existing scales,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 researchers. Study 2 was don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two domain and six factor were gener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dysfuctional attitude, and study habit(school life domain), psychological crisis, emotional fragility, and depression(mental health domain). To verify the validity of inventor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ten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were don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진이미지를 활용한 상담의 개입전략에 대한 탐색적 고찰: 내담자의 치료적 변화를 중심으로

        선혜연 ( Hye Yon Seon ),오정희 ( Jung Hee Oh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연구논총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상담의 창의적 접근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는 사진치료의 다양한 기법을 기존의 전통적인 상담 개입들과 비교하여 내담자의 치료적 변화를 중심으로 탐색해보고,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사진이미지 활용 상담 개입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진이미지를 활용한 상담의 역사 및 발전 과정을 개관한후, 관련 문헌과 연구물을 토대로 내담자의 치료적 변화 목표에 따라 사진이미지 활용 개입들을 분류하고, 전통적으로 활용되어 온 상담의 치료적 개입들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상담에서의 내담자 변화를 크게 정서적 변화, 인지적 변화, 행동적 변화, 체계적변화의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고, 이러한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전통적인 상담 개입을 효과적으로 보완 및 대치할 수 있는 다양한 사진이미지 활용 상담 개입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 현장에서 내담자들의 다각적인 변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상담 기법들과 통합할 수 있는 사진이미지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photographic therapy gaining attention as a creative approach of counseling in accordance with client``s therapeutic changes and to present the photo-using intervention strategy for effective counseling. For this, we reviews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and research, classify various photo-image intervention strategies in terms of client``s therapeutic changes, and compare them with conventionally utilize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s a result, client``s therapeutic chang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systematic ones. These changes confirms that the photo-using intervention techniques that can replace and supplement conventionally used ones in each approach. Based upon the research outcome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that are useful for counselors taking the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in the counseling field to make photo-using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by integrating photo-using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existing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송효경 ( Hyo-kyeong Song ),선혜연 ( Hye-yon Seo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충청, 강원 지역 소재의 7개 대학에 재학 중인 35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는 문제해결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고,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성격적진로문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진로상담에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문제해결력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357 college students from 7 colleges in Korea using the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scale,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Second, problem-solv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study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상담자의 괜찮은 일(Decent Work)에 대한개념도 연구

        김원아(Kim, Won-A),선혜연(Seon, Hye-Y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상담자의 ‘괜찮은 일(Decent Work)’에 대한 여성상담자의 인식을 확인하고 추후 여성상담자들의 진로 및 상담자의 일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상담경력 3년 이상의 여성상담자 15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상담자의 괜찮은 일에 대한 내용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7개의 최종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뷰에 참여한 15명 중 14명의 여성상담자들이 도출된 최종 진술문을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고, 이러한 유사성 분류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상담자들은 상담자의 괜찮은 일을 2개의 차원, 5개의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차원은 ‘외재적 가치-내재적 가치’차원과 ‘개인적 영역-직업적 영역’차원으로 명명되었으며, 5개의 범주는 ‘사생활과 편의성의 보장’, ‘자기성장 및 욕구 충족’, ‘전문성과 주체성에 대한 인정’, ‘상담의 특수성을 고려한 업무지원’, ‘실리적 보상과 시설의 구비’로 명명되었다. 각 범주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는 ‘자기성장 및 욕구 충족’과 ‘상담의 특수성을 고려한 업무지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의미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emale counselor s perception of decent work as a counselor, an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ward their career at present and in future. Apropos this the contents of counselors decent work were extracted through interviews with 15 female counselo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Based on the interviews, 57 statements were finally derived. Of the 15 counsellors interviewed, 14 categorized and evaluated the final statements for similarity. Based on this similarity classification data, female counselors recognized the decent work of counselors in two dimensions and five categories. The two dimensions were external and internal value and personal and occupational domain. The five categories were: guarantee of privacy and convenience, self-growth and fulfillment of need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support of work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counseling, and provision of practical compensation and fac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