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생도라지 생리활성물질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에 미치는 영향

        서종권(Jong-Kwon Seo),정영철(Young-Chul Chung),전성식(Sung-Sik Chun),이영우(Young-Yoo Lee),이수정(Soo-Jung Lee),손미예(Mi-Yae Shon),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6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에 있어서 장생도라지로부터 분리된 생리활성물질(이눌린, 사포닌, 올리고당) 및 열수추출물을 5주동안 투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이눌린(IN)과 올리고당(OS) 투여군에서는 다소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혈당은 시료투여군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장생도라지 이눌린 투여군(IN)과 총추출물 투여군(WE)에서는 각각 21.3%, 21.2%로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시료투여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는데, 특히 이눌린 투여군(IN)은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고, HDL 콜레스테롤은 당뇨유발군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시료투여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의 함량은 장생도라지의 이눌린 및 이눌린ㆍ사포닌 혼합 투여군에서 감소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 신장, 심장, 비장 및 고환의 평균 무게를 측정한 결과, 시료투여군에서 전반적으로 간장 및 심장의 무게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신장은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무게가 증가하였다. 혈청 단백질과 알부민 농도는 정상군에 비하여 당뇨대조군 및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당뇨유발군의 혈청 인슐린 농도는 이눌린 투여군(IN)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뇨중 에너지 대사물의 조성을 관찰한 결과, 뇨단백은 이눌린(IN) 및 총추출물(WE) 투여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당뇨유발군에서는 비교적 높은 뇨당이 검출되었으나 이눌린 투여군(IN)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abetic control (CM), and four experimental groups (inulin (IN), inulin+saponin (IS), oligosaccharide (OS), and total extract group (WE)). The rats have free access to water and diet.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inulin (630 mg/mL), inulin (630 mg/mL)+saponin (25.2 mg/mL), oligosaccharide (367.5 mg/mL), and total extract (225 mg/mL) into the diabetic rats for 5 weeks after STZ injection; The levels of fasting blood glucose in diabetic control increased by 10.0% for 5 weeks, but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inulin and total extract groups decreased by 21.3% and 21.2%,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of diabetic rats fed physiologically activity compounds were lower than those in diabetic control rats. HDL-cholesterol was similar among all the groups. Weights of testicle and heart were lighter, while weight of kidne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groups than normal group. The concentrations of serum protein insulin and albumin in diab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group. Urinary glucose excretion was decreased in inulin group than other diabetic groups.

      • KCI등재

        하고초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서종권(Jong-Kwon Seo),강민정(Min-Jung Kang),신정혜(Jung-Hye Shin),이수정(Soo-Jung Lee),정혜광(Hey-Gwang Jeong),성낙주(Nak-Ju Sung),정영철(Young-Chul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0

        식물체의 부위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을 비교하고자 하고초를 뿌리, 줄기 및 꽃대로 구분하고 에탄올, 메탄올 및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 수율은 뿌리 추출물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6~11배의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줄기에서, 메탄올과 물 추출물에서는 꽃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에 비해 줄기와 꽃대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환원력은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 추출물에서는 꽃대>줄기>뿌리의 순으로 높은 전자공여능 및 환원력을 보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 ㎍/mL의 저농도에서도 꽃대, 줄기 및 뿌리에서 모두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하고초 각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꽃대, 줄기 및 뿌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열수 추출물에 비해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뿌리와 줄기의 1,000 ㎍/mL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고초의 꽃대를 이용한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식품의 저장성 향상에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root, stem and flower stalk of Hagocho (Prunella vulgaris). The solvent extract yields from root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tem and flower stalk, and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against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in ethanol extrac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em extract compared with those of root and flower stalk. In the case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however, the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flower stalk.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in all test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methanol extract. In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agocho,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in flower stalk followed by stem and root.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was above 50% at 100 ㎍/mL concentration. Antibacterial activ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parts of Hagocho. However,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 KCI등재

        홍조류의 영양 성분과 항산화 활성

        신정혜,최덕주,임현철,서종권,이수정,최선영,성낙주,Shin Jung-Hye,Choi Duk-Ju,Lim Hyun-Cheol,Seo Jong-Kwon,Lee Soo-Jung,Choi Sun-Young,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갈래곰보(Meristotheca papulosa (Montagne) Kylin), 진두발 (Chondrus ocellatus, Holmes),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nfuss) 및 돌가사리(Gigartina tenella, Harvey) 를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실험함으로서 그 기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회분의 함량은 시료간의 차가 커 꼬시래기의 경우 $9.8{\pm}0.2g/100g$이었으나 돌가사리는 $17.8{\pm}0.6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2.0{\pm}0.4{\sim}6.0{\pm}0.7\;g/100g$의 범위였다. 페놀화합물은 꼬시래기에서 $78.4{\pm}1.0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진두발과 꼬시래기에서 각각 $14.9{\pm}0.5mg/g$과 $13.9{\pm}0.8mg/g$으로 정량되어 갈래곰보와 돌가사리에 비해 약 2배 정도 더 높은 함량이었다. 무기물의 총 함량은 갈래곰보에서 12,107.7 mg/kg으로 가장 높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49.1{\sim}125.6mg/g$으로 시료에 따른 함량 차가 켰으며 대부분의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정량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낮았다.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돌가사리의 경우 $250{\mu}g/ml$농도에서 $53.96{\pm}0.98%$로 5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1000 ${\mu}g/ml$농도에서는 $70.52{\pm}1.09%$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100 ${\mu}g/ml$의 농도에서는 시료들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57.87{\pm}1.70{\sim}62.07{\pm}0.87%$의 범위로 ascorbic acid나 BHT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꼬시래기에서 가장 높았는데 $100{\sim}500{\mu}g/ml$ 농도에서는 $24.04{\pm}1.9{\sim}27.52{\pm}0.82%$의 범위였으나 1000 ${\mu}g/ml$ 농도에서는 $34.81{\pm}1.36%$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홍조류 4종은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Nutritional components of 4 kinds of red seaweeds, Meristotheca papulosa, Chondrus ocellatus, Gracilaria verrucosa, Gigartina tenella,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ir functiona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from 70% ethanol extracted from these red seaweeds. Large difference in ash contents was found to exhibit among all samples analyzed in this study; $9.8{\pm}0.2g/100g$ for Gracilaria verrucosa and Gigartina tenella for $17.8{\pm}0.6g/100g$. While its crude fiber content was almost the same as those in other sample within a range between $2.0{\pm}0.4g/100g$ and $6.0{\pm}0.7g/100g$. Phenolic compounds content of Gracilaria verrucosa was also the highest as $78.4{\pm}1.0mg/g$, while the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Chondrus ocellatus and Gracilaria verrucosa were $14.9{\pm}0.5mg/g$ and $13.9{\pm}0.8mg/g$, respectively. These amounts were two folds higher than Meristotheca papulosa and Gigartina tenella. The total content of minerals was the highest in Meristotheca papulosa(12,107.7 mg/kg). The amount of glutamic acid was relatively high despite of small variation in measured levels of composition amino acid ($49.1{\sim}125.6mg/g$) for most samples investigated. SOD-like 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but its activity was lower. Gigartina tenella with highest electron donation ability exhibited increases in activity as $53.96{\pm}0.98%$ in concentration of 250 ${\mu}g/ml$ and $70.52{\pm}1.09%$ in 1000 ${\mu}g/ml$, respectively. In case of concentration of 100 ${\mu}g/ml$, particularly, the level of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57.87{\pm}1.70{\sim}62.07{\pm}0.8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than ascorbic acid and BHT.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Gracilaria verrucosa. Its activity was also increased from $24.04{\pm}1.9{\sim}27.52{\pm}0.82%$ in $100{\sim}500{\mu}g/ml$ concentration tp $34.81{\pm}1.36%$ in concentration of 1000 ${\mu}g/ml$.

      • SCOPUSKCI등재

        장생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손미예(Mi-Yae Shon),서종권(Jong-Kwon Seo),김행자(Haeng-Ja Kim),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4

        4년근과 24년근 도라지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24년근 장생 도라지의 화학성분 조성은 수분 82.7%, 조단백 1.6%, 조지방 2.1%, 조회분 0.7%, 총당 6.0%, 총 식이섬유 2.3%, 조사포닌 3.4 mg% 및 비타민 C 3.0 mg%였으며, 4년근과의 함량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기물의 함량은 24년근이 4년근에 비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K가 879.9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4년근과 4년근의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정도는 에탄올>메탄올>물의 순이었고, 전자공여능은 24년근이 4년근보다 10~50%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효과도 10~40%까지 높게 나타났다.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oots grown for 4 and 24 years were investigated. Chemical compositions of P. grandiflorum roots grown for 24 years were moisture 82.7%, crude protein 1.6%, crude lipid 2.1%, crude ash 0.7%. total sugar 6.0%, total dietary fiber 2.3%, crude saponin 3.4 mg%, and ascorbic acid 3.0 mg%. Contents of each components in 24 years old roots were similar with those of 4 years old roots. However, mineral contents in 24 years old roots were higher than that in 4 years old roots and the most abundant mineral was potassium being 879.9 mg/kg.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 from P. grandiflorum roots grown for 4 and 24 years were high in order of ethanol, methanol and water extract.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and nitrite-scavenging effect of solvent extract of 24 years old roots were higher than those of 4 years old roots in the range of 10~50% and 10~40%,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토마토로부터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의 검색

        최선영,이인숙,이수정,손미예,신정혜,서종권,강민정,성낙주,Choi, Sun-Young,Lee, In-Sook,Lee, Soo-Jung,Shon, Mi-Yae,Shin, Jung-Hye,Seo, Jong-Kwon,Kang, Min-Jung,Sung, Nak-Ju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5

        토마토 주스를 Sep-pak $C_{18}$ cartridge를 이용하여 ascorbate 및 phenolic 획분으로 분리하여 NDMA 생성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시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NDMA 억제 효과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ascorbate 획분은 최고 $81.37{\pm}0.25%$, phenolic 획분은 $72.03{\pm}0.25%$였다. Phenolic 획분을 prep-HPLC로 4개의 fractions으로 분취하여 NDMA 생성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fraction 2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ction 2를 다시 4개의 subfractions으로 재분취하여 활성실험을 한 결과 subfraction 2b의 획분에서 최대 억제율이 pH 1.2에서 $70.62{\pm}0.45%$ 및 pH 4.2에서 $75.30{\pm}0.45%$였다. 그래서 subfraction 2b를 분리, 정제한 후 GC-Mass 및 $^1H-NMR$과 $^{13}C-NMR$로 동정한 결과 phenolic acid의 일종인 o-coumaric aci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cv. Naomi F1) juice was separated into ascorbate and phenolic portions using a Sep-pak $C_{18}$ cartridge, and its each portion was tested for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scorbate and phenolic portions of tomato juice inhibited NDMA formation by $81.37{\pm}0.25%$ and $72.03{\pm}0.25%$, respectively. The phenolic por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by prep-HPLC and inhibitory effects of NDMA formation by 4 fractions $(1{\sim}4)$ from tomato juice was tested under the different pH conditions (pH 1.2 and 4.2). Fraction 2 inhibited NDMA formation by $50.10{\pm}0.46%$ (pH 1.2) and $64.30{\pm}0.20%$ (pH 4.2), respectively. Fraction 2 was further separated into 4 subfractions $(2a{\sim}2d)$. Subfraction 2b especially inhibited NDMA formation by $70.62{\pm}0.45%$ (pH 1.2) and $75.30{\pm}0.45%$ (pH 4.2). This subfraction was confirmed o-coumaric acid through the analysis of GC-Mass spectrum, $^1H-NMR$ and $^{13}C-NMR$.

      • KCI등재

        유자과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신정혜(Jung-Hye Shin),이수정(Soo-Jung Lee),서종권(Jong-Kwon Seo),전은우(Eun-Woo Cheon),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산지별 유자의 특성 및 기능성 분석을 위하여 거제, 고성, 고흥 및 남해산(창선 및 설천) 유자를 시료로 하여 과피 열수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다양한 반응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열수추출물 중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남해 설천산이 각각 122.18±1.44 ㎎/100 g과 114.39±0.94 ㎎/100 g으로 여타 시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며 여타 시료간에의 함량 차이는 미미하였다. 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은 거제산 유자 추출물에서 각각 55.45±1.36 ㎎/100 g과 28.41±0.64 ㎎/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유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시료의 첨가 농도가 500~10,000 ㎍/㎖로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환원력의 경우 10,000 ㎍/㎖농도에서는 500 ㎍/㎖ 농도에 비하여 6~9배 정도 환원력이 증가하여 흡광도 값은 0.68±0.012~0.97±0.021의 범위였다. ABTs 소거활성은 10,000 ㎍/㎖농도에서 고성산(78.13±1.30%)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10,000 ㎍/㎖ 농도에서 남해 설천산(31.36±1.36%) 및 남해 창선산(30.28±1.60%)을 제외한 시료에서 활성은 30% 미만으로 낮았다. 10,000 ㎍/㎖ 농도에서 NO 라디칼 소거활성은 26.49±1.77~40.85±0.95%의 범위였으며, β-carotene 존재 하에서 항산화능은 24.40±1.91~38.17±0.56%로 거제산과 고성산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3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function of yuza from 4 different area. The hot-water extracts of yuza peel extracts from Geoje, Goseong, Goheung and Namhae(Changseon, Seolcheon)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reaction systems.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122.18±1.44 ㎎/100 g and 114.39±0.94 ㎎/100 g in hot water extracts from Namhae-Seolcheon,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were 55.45±1.36 ㎎/100 g and 28.41±0.64 ㎎/100 g in hot water extracts from Geoje,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yuza peel hot-water extracts were significantely increased as the increament of sample adding concentration (500~10,000 ㎍/㎖). Reducing power was 6~9 folds higher in 10,000 ㎍/㎖ concentration than 500 ㎍/㎖ and it's O.D. value showed 0.68±0.012~0.97±0.021. ABTs scavenging activity was more than 80% in 10,000 ㎍/㎖ concentration samples, except from Goseong (78.13±1.30%).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Namhae-Seolcheon (31.36±1.36%) and Namhae-Changseon (30.28±1.60%) at 10,000 μg/ ml concentration, others activity were below 30%. At 10,000 ㎍/㎖ concentration,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in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 were 26.49±1.77~40.85±0.95% and 24.40±1.91~38.17±0.56%,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간장, 된장 및 맥주의 인공소화시 N - nitrosamine의 생성

        김경란(Kyung-Ran Kim),이수정(Soo-Jung Lee),신정혜(Jung-Hye Shin),서종권(Jong-Kwon Seo),손미예(Mi-Yae Shon),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3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료인 간장 및 된장, 대중적인 알코올 음료인 맥주를 대상으로 하여 발암성 N-nitrosamine(NA)을 분석하였고, 또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에서 인공소화시킴으로써 섭취 후 생체내에서 생성 가능한 NA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시료 중 질산염은 간장에서 0.3~0.9mg/kg, 된장에서 0.5~1.0 mg/kg, 맥주에서 0.5~1.3 mg/kg, 아질산염은 모든 시료에서 평균 0.3 mg/kg이었으며, DMA 및 TMA는 0.5 mg/kg 이하로 정량되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NDMA만이 검출되었으며, 간장에서 <0.5~2.7 μg/kg, 된장에서는 1.5~3.1 μg/kg, 맥주에서는 <0.5~1.8 μg/kg으로 정량되었고, 인공소화 후에는 각각 1.1배, 4.5배 및 1.6배 증가되었다. 아질산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모든 시료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NDMA가 증가되었고, 인공소화시 6.4 mM의 thiocyanate를 맥주에 첨가할 때 대조구에 비해 NDMA가 무려 3.3배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Ascorbic acid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 전 시료에서 NDMA의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12.8 mM의 ascorbic acid를 첨가한 된장에서 NDMA 생성은 약 92.3%나 억제되었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N-nitrosamine (NA) and its precursors in serveral fermented foods which were treated with nitrite, thiocyanate and ascorbic acid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Every analyzed sample contained nitrate, with levels ranging from 0.3 to 1.3 mg/kg, but nitrite was present at very low levels of less than 0.3 mg/kg. And other precursors of amines such as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were detected less than 0.5 mg/kg in every samples. N-nitrosodimethylamine (NDMA) was detected in the levels of <0.5~2.7 μg/kg in soy sauce, 1.5~3.1 μg/kg in soybean paste and <0.5~1.8 μg/kg in beer, while NDMA levels increased by 1.1~4.5 times in the fermented foods which were digested under simulated gastric condi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