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슬람 문화권 소비자의 한류에 대한 태도 유형 : Q 방법론적 접근

        서용구(Suh, Yong Gu),김장현(Kim, Jangh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회 시장이지만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쉽지 않은 이슬람 문화 소비자들의 한류에 대한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논의를 통해 32 개의 진술을 표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29 개의 진술문을 수집하였으며, 이슬람 문화권 소비자들로부터 Q 분류 프로세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데이터는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Q 계수로 분석되었다. Q 방법론 분석을 기반으로 국제적 관점자, 경제적 관점자, 젊은 세대 관점자, 문화전이자의 네가지 유형이 정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슬람 문화 소비자의 한류에 대한 태도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슬람 문화 또는 국가의 한류 관련 연구 및 산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Attitude toward Korean Wave among consumers of Islamic culture, although it is a market of opportunit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but it is relatively inaccessible compared to other markets due to its cultu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nfirm the attitude of the Islamic culture consumer toward the Korean Wave, the following procedure was conducted. First, 32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review of existing studies and discussion with researchers. Th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 classification process for 29 Muslim culture consumers count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 factor through QUANL program. Based on the Q methodology analysis, four types were defined: global perspectives, economic perspectives, young generation perspectives, and cultural appropriators. And based on the score of each ty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We also identified statements that are common to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tegorize the types of attitudes toward the Korean Wave in the Islamic culture consumer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industry related to the Korean Wave in the Islamic culture or country.

      • KCI등재

        복합관광쇼핑몰 방문객 유형분석에 따른 특성 연구

        서용구(Suh, Yong Gu),문윤정(Moon, Yoon Jung),용건(Suh, Yong Kun)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복합쇼핑몰 방문객들을 활동기준에 따라 유형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쇼핑몰 관계자들의 몰링과 소비자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유형화한다. 둘째는 이러한 유형에 따른 특성을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복합쇼핑몰 방문객들이 쇼핑몰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는지에 따라 어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주관성측정에 효과적인 도구인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쇼핑몰 이용객과 관리자간 쇼핑몰에 대한 인식과 생각차이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10대 ∼ 50대 여성 이용객을 분석하여 그 유형을 4가지 요약할 수 있었다. 복합쇼핑몰의 1차적 기능인 쇼핑만을 위한 이용객 유형인 제1유형- 기능형 쇼퍼와 복합쇼핑몰을 일상 탈출과 놀이 문화,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사회적 의미로 즐기고 있는 제2유형- 여가 생활 몰링족, 그리고 자신들의 가치 추구와 편익을 위해 다양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복합쇼핑몰을 활용하는 제3유형- 가치추구 몰링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근거리의 복합쇼핑몰 방문을 즐기며, 편안하고, 기분전환이 가능한 도심의 여행지처럼 몰링을 즐기는 제4유형- 생활권 몰링족 타입이 이들이다. 연구문제 Ⅰ을 통해 4가지 유형의 몰링족들이 과연 복합쇼핑몰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그것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해석해 봄으로써 다양한 이용객군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진행한 연구문제 Ⅱ인 복합쇼핑몰 관계자와 이용객 상호간의 몰링 인식유형과 상호지향성 연구를 통해서는 현재 국내 복합쇼핑몰의 관계자들의 마케팅 근시안(Marketing Myopia)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Q 분석에서는 이용객 자신의 입장과 관계자로 가정한 두 가지 경우 모두 4개의 유형들이 도출된 반면 관계자들의 경우는 양쪽 모두 유형이 1개씩만 추출되었으며 이는 관계자들의 몰링 인식이 단순하고 평면적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국내 복합쇼핑몰이 지역 대표 관광명소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디자인과 브랜드 전략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공헌점: 본 연구는 Q 방법론과 Co-orientation 모델을 적용하여 복합쇼핑몰 방문객을 유형화하고 인식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wo research questions: 1) identifying the malling types adopting the Q methodology for visitors and 2) finding different perceptions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between shopping mall managers and visi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study adopted the Q methodology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visitors according to how visitors perceive shopping mall as well as their behaviors, and how managers perceive shopping malls and visitors. The co-orient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gap of perceptions between visitors and managers of shopping malls. Results/findings: The study first provided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types: Type I is the function shopper who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price and distance. Type II is teenagers who consider shopping malls as a social location where they can spend time with their friends. Type III is similar to cherry picker type who takes advantages of shopping malls for their own necessities. In particular, this group had higher education than the other three. Finally, type IV could be referred to as district shoppers who primarily care about distance from their location. They enjoy walking around the shopping mall and are also familiar with it. For the second goal of the study, the research attempted to find perceptions on malling behaviors. Visitors of shopping malls have multi-dimensional perceptions, whereas managers have one dimensional perception, known as 'Marketers Myopia'.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se results have captured distinctive types of shoppers based on subjectivity, implying the necessity of strategic changes of mall managers to respond to various types of shopping mall visitors. Future work/research: The desirable shopping mall model would be found in reduc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gaps of visitors and managers. Originality/value: The study first classified the types of visitors of shopping malls and tried to identify the gap of perceptions based on the Q method and the co-orientation model.

      • KCI등재

        가전제품 소비자의 Channel Equity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용구(Suh Yong-Gu),이은경(Eun-Kyung Lee)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가전제품 소매채널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 및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가전제품 구매 채널 현황과 소비자들의 점포선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특정 채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소위 channel equity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 하고자 한다.<BR>  분석결과 가전제품 멀티채널 쇼핑환경은 소비자로 하여금 채널별로 차별화된 구매 패턴과 쇼핑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었다. 백화점이나 대리점은 품질의 우수성과 A/S 측면에서 우세하며 대형할인점, 앙판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전자제품 판매 상가는 가격적인 측면이 경쟁 우위로 조사되었다. 채널별 소비자 만족도에 있어서는 애프터서비스가 잘되고 있는 백화점이나 대리점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 채널임을 알 수 있다.<BR>  채널 에퀴티의 구성요인은 가격 경쟁력과 비교구매, 이용편리성, A/S, 판매원의 전문성, 배송의 신속성, 제품 검색용이, 판매원의 친절성, 매장의 쾌적성, 교통 편리성 등을 들 수 있다. 백화점의 경우 거의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어 채널 에퀴티가 높게 평가되었다.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에 있으며 TV홈쇼핑의 경우는 비교구매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채널별로 채널 에퀴티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비중은 매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 만족도를 평가한 후 에퀴티 포트폴리오와 채널별 에퀴티 구성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향후 채널 에퀴티의 개념과 관리 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Ⅰ. Introduction<BR>  Retailers in the 21st century are being told that future retailers are those who can execute seamless multi-channel access. The reason is that retailers should be where shoppers want them, when they want them anytime, anywhere and in multiple formats. Multi-channel access is considered one of the top 10 trends of all business in the next decade (Patricia T. Warrington, et al., 2007) And most firms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channels in their markets.<BR>  Given this trend, we need to evaluate a channel equity more systematically than before as this issue is expected to get more attention to consumers as well as to brand managers. Consumers are becoming very much confused concerning the choice of place where they shop for durable goods as there are at least 6-7 retail options. On the other hand, manufacturers have to deal with category killers, their dealers network, Internet shopping malls, and other avenue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y hope their retail channel behave like extensions of their own companies. They would like their products to be foremost in the retailer"s mind-the first to be proposed and effectively communicated to potential customers. To enable this hope to come reality, they should know each channel"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rom consumer perspectives.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key determinant of retail customer loyalt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regarding the effects of shopp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n consumers" channel choices and channels.<B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orean consumers" channel choice and satisfaction towards channels they prefer to use in the case of electronic goods shopping. Korean electronic goods retail market is one of good example of multi-channel shopping environments. As the Korea retail market has been undergoing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s since it had opened to global retailers in 1996, new formats such as hypermarkets, Internet shopping malls and category killers have arrived for the last decade. Korean electronic goods shoppers have seven major channels : (1) category killers (2) hypermarket (3) manufacturer dealer shop (4) Internet shopping malls (5) department store (6) TV home-shopping (7) speciality shopping arcade.<BR>  Korean retail sector has been modernized with amazing speed for the last decade.<BR>Overall summary of major retail channels is as follows: Hypermarket has been number 1 retailer type in sales volume from 2003 ; non-store retailing has been number 2 from 2007 ; department store is now number 3 ; small scale category killers are growing rapidly in the area of electronics and office products in particular.<BR>  We try to evaluate each channel"s equity using a consumer survey. The survey was done by telephone interview with 1000 housewife who lives nationwide. Sampling was done according to 2005 national census and average interview time was 10 to 15 minutes.<BR>  Ⅱ. Research Summary<BR>  We have found that seven major retail channels compete with each other within Korean consumers" minds in terms of price and service. Each channel seem to have its unique selling points. Department stores were perceived as the best electronic goods shopping destinations due to after service.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perceived as the convenient channel owing to price checking. Category killers and hypermarkets were more attractive in both price merits and location conveniences. On the other hand, manufacturers dealer networks were pulling customers mainly by location and after service.<BR>  Category killers and hypermarkets were most beloved retail channel for Korean consumers. However category killers compete mainly with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arcades while hypermarkets tend to compete with Internet and TV home shopping channels. Regarding ch

      • KCI등재

        가전제품 소비자와 Channel Equity에 관한 연구

        서용구 ( Yong Gu Suh ),이은경 ( Eun Kyung Lee )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가전제품 소매채널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 및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가전제품 구매 채널 현황과 소비자들의 점포선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특정 채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소위 channel equity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가전제품 멀티채널 쇼핑환경은 소비자로 하여금 채널별로 차별화된 구매 패턴과 쇼핑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었다. 백화점이나 대리점은 품질의 우수성과 A/S 측면에서 우세하며 대형할인점, 양판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전자제품 판매 상가는 가격적인 측면이 경쟁 우위로 조사되었다. 채널별 소비자 만족도에 있어서는 애프터서비스가 잘되고 있는 백화점이나 대리점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 채널임을 알 수 있다. 채널 에퀴티의 구성요인은 가격 경쟁력과 비교구매, 이용편리성, A/S, 판매원의 전문성, 배송의 신속성, 제품 검색용이, 판매원의 친절성, 매장의 쾌적성, 교통 편리성 등을 들 수 있다. 백화점의 경우 거의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어 채널 에퀴티가 높게 평가되었다.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에 있으며 TV홈쇼핑의 경우는 비교구매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채널별로 채널 에퀴티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비중은 매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 만족도를 평가한 후 에퀴티 포트폴리오와 채널별 에퀴티 구성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향후 채널 에퀴티의 개념과 관리 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I. Introduction Retailers in the 21st century are being told that future retailers are those who can execute seamless multi-channel access. The reason is that retailers should be where shoppers want them, when they want them anytime, anywhere and in multiple formats. Multi-channel access is considered one of the top 10 trends of all business in the next decade (Patricia T. Warrington, et al., 2007) And most firms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channels in their markets. Given this trend, we need to evaluate a channel equity more systematically than before as this issue is expected to get more attention to consumers as well as to brand managers. Consumers are becoming very much confused concerning the choice of place where they shop for durable goods as there are at least 6 -7 retail options. On the other hand, manufacturers have to deal with category killers, their dealers network, Internet shopping malls, and other avenue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y hope their retail channel behave like extensions of their own companies. They would like their products to be foremost in the retailer`s mind-the first to be proposed and effectively communicated to potential customers. To enable this hope to come reality, they should know each channel`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rom consumer perspectives.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key determinant of retail customer loyalt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regarding the effects of shopp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n consumers` channel choices and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orean consumers` channel choice and satisfaction towards channels they prefer to use in the case of electronic goods shopping. Korean electronic goods retail market is one of good example of multi-channel shopping environments. As the Korea retail market has been undergoing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s since it had opened to global retailers in 1996, new formats such as hypermarkets, Internet shopping malls and category killers have arrived for the last decade. Korean electronic goods shoppers have seven major channels : (1)category killers (2) hypermarket (3) manufacturer dealer shop (4) Internet shopping malls (5) department store (6) TV home-shopping (7) speciality shopping arcade. Korean retail sector has been modernized with amazing speed for the last decade. Overall summary of major retail channels is as follows: Hypermarket has been number 1 retailer type in sales volume from 2003 ; non-store retailing has been number 2 from 2007 ; department store is now number 3 ; small scale category killers are growing rapidly in the area of electronics and office products in particular. We try to evaluate each channel`s equity using a consumer survey. The survey was done by telephone interview with 1000 housewife who lives nationwide. Sampling was done according to 2005 national census and average interview time was 10 to 15 minutes. II. Research Summary We have found that seven major retail channels compete with each other within Korean consumers` minds in terms of price and service. Each channel seem to have its unique selling points. Department stores were perceived as the best electronic goods shopping destinations due to after service.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perceived as the convenient channel owing to price checking. Category killers and hypermarkets were more attractive in both price merits and location conveniences. On the other hand, manufacturers dealer networks were pulling customers mainly by location and after service. Category killers and hypermarkets were most beloved retail channel for Korean consumers. However category killers compete mainly with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arcades while hypermarkets tend to compete with Internet and TV home shopping channels. Regarding channel satisfaction, the top 3 channels were service-driven retailers: department stores (4.27); dealer shop (4.21); and Internet shopping malls (4.21). Speciality shopping arcade(3.98) were the least satisfied channels among Korean consumers <Channel Satisfaction Scores> III . Implications We try to identify the whole picture of multi-channel retail shopping environments and its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n electronic goods. From manufacturers` perspectives, multi-channel may cause channel conflicts. Furthermore, inter-channel competition draws much more attention as hypermarkets and category killers have grown rapidly in recent years. At the same time, from consumers` perspectives, ``buy where`` is becoming an important buying decision as it would decide the level of shopping satisfaction. We need to develop the concept of ``channel equity`` to manage multi-channel distribution effectively. Firms should measure and monitor their prime channel equity in regular basis to maximize their channel potentials. Prototype channel equity positioning map has been developed as follows. We expect more studies to develop the concept of ``channel equity`` in the future. <Channel Equity Positioning Map>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문화전이가 한국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용구(Suh, Yong Gu),배일현(Bae, Ilhyun),김장현(Kim, Janghyun),이철성(Lee, Chul-Sung)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인도네시아는 한류의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로 세계 4위 규모의 인구 수와 다른 문화에 개방적인 특성은 향후 인도네시아에서 한류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 인도네시아는 한류의 시작으로 보는 중국, 일본과 달리 한국과 지정학적 관계, 정치적 위험이 적은 국가이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 내에서 한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도네시아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가 한국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문화전이, 정보비용절감, 제품태도를 거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인도네시아 소비자 469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SPSS 24.0과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높을수록 문화전이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광효과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정보비용절감이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비용절감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품태도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의 태도 형성과 구매의도에 핵심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Indonesia is a country where the Korean Wave is spreading rapidly, and has the world s fourth largest population, and its openness to other cultures raises the possibility of the Korean Wave s growth in Indonesia in the future. In addition, unlike China and Japan, where the Korean Wave began, Indonesia is a country with little geopolitical relationship and political risk with Korea. However, despite the growth potential of Indonesia,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Korean Wave in Indonesi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Korean products for Indonesian consume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ity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cultural appropriation, information costs saved, and product attitude.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is,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of 469 Indonesian consumers, we analyze using SPSS 24.0 and SP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image congruity, the higher the cultural appropriation, and the information costs sav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alo effect on the product attitude was found to mediate this. However,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costs saved did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 but through product attitude, and cultural appropriation was found to be a key variable in attitude 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대형마트, SSM 규제 정책의 효과분석

        서용구(Yong-Gu Suh),조춘한(Chun-Han Jo) 한국유통학회 2019 流通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라 2012년부터 시행중인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의 의무휴일 규제와 출점 규제 이후 특정 상권의 소비증가율을 비교하여 휴일 규제와 출점 규제가 주변 상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신한카드 가맹점 및 사용자에 대하여 신한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추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 도입 이듬해인 2013년 29.9%였던 대형마트 소비 증가율은 2016년 -6.4%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통시장 소비 증가율도 18.1%에서 –3.3%로 감소했다. 결국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에 대한 규제 정책은 효과 달성에 실패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8년간 시행된 대형마트, SSM에 대한 규제 정책을 반성해보고 향후 방향을 모색해 본다.

      • KCI등재

        기업 브랜드 아우라 영향 요인과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서용구 ( Yong Gu Suh ),김보영 ( Bo Young Kim ),문윤정 ( Yoon Jung M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1

        소비 트렌드가 변화되면서 현대인들에게 브랜드는 제품을 구별하는 식별의 기준을 넘어 개인의 내재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특정한 가치 추구에 따른 구매의 총체적 경험을 이끌어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서 브랜드의 성공은 소비자의 감성적, 의미적 가치 자극과 연관되고 있으며, 이에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브랜드 요인을 다양한 개념들을 소개하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브랜드의 독창성, 역사성, 그리고 진정성을 기반하는 브랜드 아우라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아우라의 개념 및 속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개발관리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브랜드 아우라의 영향요인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선호되는 국내 10개 기업 브랜드를 대상으로 총 1700명의 설문을 조사한 결과 브랜드 아우라는 ``브랜드 정체성``, ``브랜드 차별화``, ``브랜드 감성화``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소비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customer behavior is enormously changing, meaning of brand is not anymore a criteria to discern product different to the modern people but consumption experience to satisfied personal desire, and to identify him/her own lifestyle and taste. In this context brand success is discussed in cognitional category of customer mind. And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brand identity, brand essence, and brand resonance to explain about the changed situations about brand success. However even though brand aura including brand identity, emotion, and difference, is embossed as a significant concept to developed brand communication with modern customers, there are not much existing literatures about brand aura. So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the brand aura and critical factors affecting customer purchasing intention. To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has selected total 1700 questionnaires to the survey based on top ten favorite brands of Korean. Hence brand arua is an important factor to effect purchasing intention and brand identity, emotion, and difference can be the elements of it.

      • KCI등재

        문화전이가 한국제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 : 우즈베키스탄 시장을 중심으로

        서용구(Suh, Yong-Gu),배일현(Bae, Il-Hyun),안동휘(An, Dong-Hwy),김장현(Kim, Jang-Hyun)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실크로드 중심국가인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류를 통한 문화전이가 제품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의 한국 드라마나, K-pop 같은 문화콘텐츠 제품을 통한 높은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우즈베키스탄 시장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하려는 기업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에서 수집한 287명의 설문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즈베키스탄인들에게 문화전이가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즈베키스탄인들에게 문화전이가 높을수록 한국기업에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즈베키스탄인들에게 문화전이가 높을수록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에 대한 태도,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한국제품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쾌락적 제품의 경우 한국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지지만, 실용적 제품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품에 따라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으로 우즈베키스탄 시장을 공략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ultural appropriation through Korean cultural contents on product exports in Uzbekistan. In other words, it wa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Korean companies which want to enter the Uzbekistan by analyzing how cultural appropriation like Korean dramas and K-pop culture works in the Uzbekistan marke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of 287 people collected in Tashkent, the capital of Uzbekista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ultural appropriation to Uzbekistan people,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toward Korea was. Second, the higher the cultural appropriation to Uzbekistan people,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Third, the higher the cultural appropriation to Uzbekistan people,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Fourth,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toward Korea, the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and the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to Korean products. Finally, in the case of hedonistic products,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toward Korea,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but in the case of practical products, this was not the case. This result suggests that for Uzbekistan people, the attitude toward hedonic products such as movies, music, and dramas is naturally linked to purchase intentions. However, in the case of practical products, it was not confirmed whether the attitude toward Korea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directly. Nam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arget the Uzbekistan market wit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products.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Central Asian region including Uzbekist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