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논어(論語)』 "지(知)" 개념의 재해석

        서세영 ( Se Young Se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東方學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논어』의 지(知)를 용례에 따라 분류하여 지 개념을 파악하였다. 지(知)는 일관된 개념 체계를 가지기 보다는, 동사, 형용사, 명사 등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되며 용법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다. 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법에 따라 의미를 구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명사로서의 지는 대상화하고 개념화할 수 있지만, 동사로서 지는 ‘알다’라는 행위가 가진 의미를 탐구해야 한다. ‘알다’라는 행위를 구체화하는 것은 문장 속에서 어떤 목적어, 주어와 관계를 맺는가에 달려 있다. 즉 행위로서의 ‘알다’는 ‘무엇을’ 아는가, 혹은 ‘어떻게’ 아는가, 또는 ‘누가’ 아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에 근거하여 지의 개념을 분류하였다. ‘알다’라는 것은 일차적으로 식(識)의 의미를 가지며, 이는 각각 정보나 지식을 갖추다, 새로운 것을 추론하고 유추하다, 천명을 깨닫다는 의미로 구분된다. 또한 지는 사(司)의 맥락에서 사람의 능력을 인정한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사람의 능력을 알아보아 관리에 등용한다는 의미에서 도덕적 가치로서의 사람됨을 알아주다는 의미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知)는 명사로서 쓰이며, 이때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덕목의 하나로서 지(智), 혹은 그것을 갖춘 사람으로서 지자(智者)의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논어』의 특정한 맥락에서 지 개념이 어떻게 변용되는지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논어』의 특징적인 지 개념을 포착하였다. 나아가 『논어』와 공자 학문의 전체 체계 속에서 ‘지’가 구성하고 있는 지위를 구상하였다. This Article’s aim is to grasp the concept of zhi(知) in the analects through grouped according to usage of zhi(知). Zhi(知) does not have a coherent conceptual framework. It uses a variety of usages such as verbs, adjectives, and nouns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usag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meaning according to it’s us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zhi. As a noun, it can be objectified and conceptualized, but zhi as a verb should be explored with the meaning of ``know``. To embodies meaning of ``know`` is depends on the subject and the object used in a sentence. ``Know`` as an act may be embodied by asking questions such as do you know ‘what’, do you know ``how`` or ``who`` know. This Article classified the concept of zhi based on this point. The primary meaning of zhi is ‘know’. And it is classified into learning information or knowledge, ratiocinating and analogizing that do not know, and realizing the Mandate of Heaven, respectively. In the context of si(司), it means that having the ability to know a person. It’s meaning is changed from employing an official to evaluating the morality of the men. Finally, zhi(知) is used as a noun. In this case, it means ‘wisdom’ or ‘wise man’. Through this classification, it was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zhi change in particular context of the analects. In the whole framework of Confucius`` studies and the analects, I have configured the status of zhi.

      • 무미(無味)의 이해 방식에 관하여

        서세영(Se-Young, 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1 No.-

        이 글에서는 ‘맛없는 맛’에 대해 고찰하였다. 프랑수아 줄리앙의『Eloge de la fadeur』라는 책을 중심으로 하여 ‘맛없는 맛’을 이해하기 위한 방식을 살펴보고 이 방식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무미의 맛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무미’와‘담’의 의미를 구분하였다. 한국과 동양의 문화에서는‘무미’와‘담’은 구분된다. 무미와 담은‘드러남’의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무미는 󰡔도덕경󰡕에서 비어있고 고요한 도의 맛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도의 맛은 텅 비어 있어 어떤 맛도 없기에 뭐라고 설명할 수 없는 물의 맛과도 닮아 있다. 비어있는 맛, 그 렇기에 아무런 맛 자체가 없는 맛인 동시에 있는 그대로의 맛이다. 반면 유가경전에서 무미는 담의 형태로 나타나며 조화를 이룰 바탕의 색, 바탕의 맛으로 그려진다. 유가의 무미는 흰 쌀밥의 맛이자 앞으로 있을 조화로운 화합을 준비하기 위한 맛이다. 그리고 이 맛은 담담하며 담백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드러남을 담(淡)이라고 할 수 있다. 드러남의 측면에서‘담’은 중국 전통적 풍격의 하나에 속하며 여러 예술 작품에 드러난다. 담이란 고심과 단련의 과정을 거친 후에 마치 본래 그대로인 듯한 경지에 도달하는 자연스러움이다. 담의 추구로 얻고자 한 것은 드러난 형상, 얻어진 감 각 그 자체가 아니다. 그 너머에 있는 어떤 것을 말하기 위해 담이라는 형식을 취한다. 담이란 무미가 드러난 형태이자 도의 실제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렇기에 담을 감지하는 순간, 환기되는 것은 맛없는 맛이자 스스로 그러함이다. 무미의 감각적인 경험은 무미가 드러난 형식인 담을 통해서 환기된다. This paper is about 'a taste of Non-taste(맛없는 맛, 無味之味).' I make study of this concept in Francois Jullien's 『Eloge de la fadeur』. Non-taste(무미, 無味)is different from tasteless.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two concepts. Non-taste is compared to 'Darm(담, 淡).' Non-taste is a appearance of Tao(도, 道). I distinguish Darm with Non-taste. Non-taste is a Taoist's term, but Darm is a Confusian's term. Darm is not Non-taste. In chinese philosophy, Darm is a aesthete term to explain a work of art. Darm is a term of high level in art. The basic idea of Darm is not simple. Darm's level require a strong training, a endurance and a hard work. After this course, you gain the Darm's level. However Darm is a natural situation. The level of Darm is like to Non-taste. There is no effort to reach at the level of Non-taste. Darm's level is over the other's level. If you want to know something is Non-taste or not, you need to understand Darm. Non-taste and Darm are two aspect of Tao. A taste of Non-taste is a way to show Tao.

      • KCI등재

        순자의 `악(惡)` 개념과 악인(惡人)에 관한 연구

        서세영 ( Se-young Seo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본고는 순자(荀子)의 본성론에 근거하여, 악(惡)과 악인(惡人)의 개념을 연구하였다. 순자의 악 개념은 본성론의 관점에서 논의되므로, 본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순자의 `성(性)` 개념의 범주를 분리하여, 후천적 작위와 대비되는 선천적 본성과, 그 구체적인 설명 방식이자 세 가지 양태인 성(性)-정(情)-욕(欲)으로 나누었다. 이 구분을 통해, 악의 가능성은 `욕`에서 발생하지만, 선천적 악과 후천적 선이라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 본성과 작위의 구도에서 `성악`을 말하고 있음을 추론하였다. 순자는 `욕`을 추구하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그것을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조절의 정도에 따라 쟁탈, 다툼, 혼란이 발생하게 되는데, 순자는 이를 `악`으로 보았다. 순자의 선악 개념은 `사회[群]`를 전제로 한다. 악은 욕망을 추구하는 개인의 생명 원리와 욕망을 조절해야만 하는 사회 구성 원리가 어긋나는 간격 속에서 탄생한다 할 것이다. 이러한 본성과 악의 논의를 바탕으로 악을 저지른 행위자로서 악인을 사유할 수 있다. 본성의 측면에서 논해지는 악은 보편성의 의미를 지니므로, 악을 저지른 행위자로서 악인은 인위적인 `작위`를 가하지 않으며 자연스러운 본성을 따르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보통의 악인`이다. 그러나 순자는 적극적으로 선인이 되고자 힘쓰지 않는 이유를 `비루함`으로 설명한다. 비루한 악인은 선하고자 힘쓰지 않아 `악인`에 머무는 인간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evil and evil person based on Xunzi(荀 子)`s theory of Human Nature. Since the concept of evil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ory of Human Nature, it should be based on a discussion of nature. In this study, I divided the category of the concept of Human Nature(性) into the innate nature that is contrasted with acquired behavior and nature(性)-emotions (情)-desire(欲) that is a concrete description and three modes of the innate nature. Through this distinction, I inferred that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trast between an innate evil and an acquired good, Xunzi argued that human nature is evil based on the innate nature and acquired behavior. According Xunzi, it is inevitable to pursue desire but it is possible to control desire. Controversy, strife, and confusion aris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rol of desire, which Xunzi regarded as `evil`.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of Xunzi is based on `society(群)`. Evil is born in the gap between the principle of social organization that desire should be controlled and the principle of individual life pursuing desir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can think the evil person who commits evil. Since the evil that is discussed in terms of human nature has the meaning of universality, a evil person is an `ordinary villain` in the sense that he follows natural nature without artificial behavior. However, Xunzi explained that the reason why he does not want to become a good man is because of his `Abjection`. An abject villain is a man who does not want to be good, but he stays in the evil man.

      • KCI등재

        『심리록(審理錄)』을 통해 본 조선후기 여성범죄 양상과 판결의 특징

        서세영 ( Seo Se-young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본 연구는 『심리록(審理錄)』에 소재한 여성범죄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 범죄에 대한 정조(正祖)의 판결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정조의 형정(刑政)의 의의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여성범죄는 여성에 의한 범죄를 총칭한다. 『심리록』을 통해 살펴본 조선후기 여성범죄의 양상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여 전체 수록 범죄 가운데 3.5%로 매우 적었다. 범죄의 종류는 대부분 인명범죄이고, 남성과 달리 경제, 정치 영역의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 인명범죄의 경우는 대부분 투구살(鬪毆殺)에 해당하나 남편을 위한 복수 및 성범죄 피해자로서 가해자에 대한 복수를 시행한 사건의 경우는 모살(謀殺)의 성격을 띤다. 여성범죄에 대해, 정조는 남성범죄와 유사하게 흠휼(欽恤)의 논리를 적용하여 판결하였지만, 강상(綱常) 윤리와 관련된 범죄는 그 처분에 있어 여성범죄의 특징을 드러낸다. 남편복수 사건의 경우 강상 윤리는 부인의 죄를 용서하는 논리로 사용되었다. 반면 간통 사건에서 강상 윤리는 간통에 대해 죄를 묻는 논리로 활용되었다. 성 관련 범죄에 대한 처분은 여성의 절개를 강조하고 풍속을 단속하기 위한 교화의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남편복수, 성범죄 복수 등의 사건에서는 특별히 방면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인명 살상이라는 범죄를 처벌하는 것보다 윤리의 부식(扶植)이라는 점에 더 가치를 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female crimes in Shimrirok, analyze cases of how King Jeongjo(正祖) judged these crimes, and through this, discuss the significance of governance in relation to punishment of King Jeongjo. Female crime is a generic term for crimes committed by women. The proportion of female crimes in Shimrirok is 3.5% of the total, were reflecting women's social status. Most of the types of crimes are homicide, and unlike men, they did not commit crimes in the economic and political fields. Most of the cases of homicide are Tugusal(鬪毆殺), but cases in which revenge for the husband and as victims of sexual crimes, revenge against the perpetrator are characterized by Mosal(謀殺). Regarding Female crimes, King Jeongjo judged them by applying the logic of humiliation(欽恤) similar to male crimes, but crimes related to the ethics of Gangsang(綱常)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rimes in their disposition. In the case of revenge for the husband, Cardinal ethics were used as a logic to forgive his wife's sins. On the other hand, in adultery cases, Cardinal ethics were used as a logic to accuse the adultery of adultery. Punishment for sex-related crimes was used as a means of edification to emphasize women's chastity and to crack down on customs. In particular, cases such as revenge for husbands and revenge for sexual assault were specifically released, which placed more value on establishing of ethics than punishing homicide.

      • A Case of Glanzmann's Thrombasthenia with β<sub>3</sub> Subunit Missense Mutation

        황자영,서세영,한승훈,김소영,김현희,이원배,Hwang, Ja-Young,Kim, Min-Ji,Lee, Weon-Sun,Seo, Se-Yeong,Hahn, Seong-Hoon,Kim, So-Young,Kim, Hyun-Hee,Lee, Won-Bae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05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5 No.1

        Glanzmann's thrombasthenia는 혈소판 표면의 fibrinogen과 von Willebrand factor(vWF)의 수용체인 당단백 ${\alpha}_{IIb}{\beta}_3$의 결함으로 인해 ristocetin을 제외한 모든 agonist들에 대해 응집 이상을 보여 혈소판 수와 형태는 정상이면서 심한 출혈 시간의 연장을 가져오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다. 저자들은 II형 Glanzmann's thrombasthenia로 진단된 4세 여아에서 ${\beta}_3$ 유전자의 이상 중 보고되지 않은 부위의 이상을 최초로 밝혔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lanzmann's thrombasthenia is an autosomal recessively inherited hemorrhagic disorder that results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bnormalities in platelet membrane glycoprotein IIb-IIIa, also known as ${\alpha}_{IIb}{\beta}_3$ integrin which is an adhesion receptor for fibrinogen and von Willebrand factor. We describe here a 4-year-old girl who had Glanzmann's thrombasthenia with the ${\beta}_3$ subunit missense mutation.

      •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

        김원명(Won-myoung KIM),서세영(Se-young 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본 연구는 다산(茶山, 1762-1836)의『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에 나타난 유학(儒學)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진 유학과 성리학의 천(天)과 명(命) 그리고 성(性) 개념의 비교를 통해 성리학의 특징을 제시하고, 다산의 학문이 이러한 성리학의 특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산이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사이에서 어떻게 유학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이 드러나는지 밝힐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all argue that within Dasan(茶山)'s philosophy there are both Neo-Confucian elements and what might be called the ‘post’ Neo-Confucian elements. First, we begin with an account of Neo-Confucianism, focusing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requirements of Neo-Confucianism shall become clearer as the Neo-Confucianists' understanding of Tian(天) and Xing(性) is compared to the Confucianists'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m. We then illustrate how Dasan accepts the Neo-Confucianist's requirements (while rejecting some of them). Second, we shall show that Dasan rejects some of the Neo-Concianists' requirements. His rejecting is to be found within his explanation of Xing(性) and Ren(仁). Ren(仁), the Confucian moral principle, is equivalent to TianLi(天理) and also to XingLi(性理) according to the Neo-Confucianist. While Xing(性) is accepted as the universal principle by the Neo-Confucianists, Dasan interprets it as one's love towards one's own counterparts. He treats Daoxin(道心) to be the ground for Ren to be actualized. Hence, as we shall argue, while Dasan's philosophy is typically treated as a post Neo-Confucianism, it still falls within Neo-Confucianism. This is so especially when his studies are motivated by the Neo-Confucianists' concerns.

      • KCI등재

        연구논문 : 홍대용(洪大容)의 세계관 변화와 그것의 현대적 의의

        김원명 ( Won Myoung Kim ),서세영 ( Se Young Seo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북학자 중 한명인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고, 그의 세계관 변화 속에서 그가 일찍이 당시 수준에서 현대적인 글로컬화된 철학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그의 세계관 변화를 고찰하는 것은 조선의 역사에서 지식인들의 세계관 변화의 추이를 대표해 살펴보는 것이다. 당시 조선 지식인들이 명(明)을 중화로 인식하고 조선을 동이(東夷)로 인식하던 것을, 명의 멸망 후 조선을 소중화(小中華)로 청(淸)을 북쪽 변방으로 인식했던 것이, 18세기에 이르러 변화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것이 홍대용의 세계관 변화이다. 홍대용의 세계관은 35세(1765~6년)에 있었던 북경 여행을 계기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그의 말년인 50세(1780년)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의산문답(醫山問答)」에 이르러서는 그의 철학적인 사유와 함께 완성된 세계관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세계관이 전통적 세계관에서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질적인 변화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의 철학적 의의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홍대용의 학문이 원숙할 때 이른 경지는 모든 곳에 곳에 도가 있고, 그래서 모든 곳이 중심이 된다는 것이다. 홍대용의 세계 인식은 조선 지식인의 전통적 세계관인 화이관을 벗어난 것이다. 그는 지원(地圓), 지전(地轉)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나만의 중심을 무화(無化)시키고 전통적 화이관을 해체하였다. 이것을 현대적으로 풀이하면, 다원주의적이고 글로컬적인 세계 인식을 갖게 되었던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그에게 이제 도(道)는 모든 곳에 있는 것이며, 지역으로도, 종족으로도, 문화로도, 시간적으로도 각각이 모두 스스로 중심이 되는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는 지역성과 세계성이 동시에 가능해지는 현대적 의미의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선구적으로 주창하고 사유했던 철학자로 해석된다. 그에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각자의 자리에서, 인사(人事)와 천시(天時)에 따른 각자의 온전한 도(道)를 적절하게 이룰 수 있는 존재로 해석되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Hong, Dae-Yong(洪大容, 1731 ~ 1783)`s view of the world, who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in school of North scholarship in Cho-seon(朝鮮) Dynasty in ninth century and had the glocalized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What we stud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means to look over trends of the change of Cho-seon dynasty intellectuals` view of the world at that time. At the time, Cho-seon intellectuals recognized Cheong(淸) as a marginal north, Cho-seon as the cultural center after destruction of Ming(明). However, this world view is changing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ong`s view of the world represents this change of it in 18th century. Th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was begun in his age 35 years old(1765-6) when he had been traveling in Beijing. His philosophical view of the world is shown in his later work Questions and Answers In Hospital Hill(醫山問答, 1780). In this paper, we research a qualitative change of his view of the world from traditional one. And we research that it has wh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Hong`s one, everywhere is a center and Dao is everywhere, which is beyond the traditional one which is so called hwayigwan(華夷觀). That is based on the theory that Earth is round and turns, which denies only one center in the world. He has the pluralistic and glocal view of the world. In space, time, culture, and even race, there is no only one center, every space and time, and regional culture, and even race have their own center and have their own Dao. He can be interpreted for us as a philosopher who advocated glocalization pioneeringly in modern meaning which can be local and global at the same time. All human being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are ones who could achieve their own Dao in their place in accordance with a right time and a right work.

      • KCI등재

        연구논문 : 출토문헌과 철학사의 철학

        김원명 ( Won Myoung Kim ),서세영 ( Se Young Seo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20세기 후반 중국에서는 사상사를 다시 쓰게 만들 1973년의 ‘마왕태 한묘’와 1993년의 ‘곽점 초묘’ 발굴이 있었는데, 이글은 두 번째 발굴과 관련된다. 1998년 5월 형문시박물관에서 『곽점초묘죽간』이라는 책이 나오자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발굴본 전적이 출토될 때마다 학문적으로 중국이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가 엿보이는 상황에서, 일본인 학자(池田知久)나 미국인 학자(Robert H. Henricks)는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반면, 우리 학자는 상당히 뒤처지고 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태도는 필수적이다. 첫째, 수입철학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리 논문에 대한 인용과 비판이 필수적이다. 둘째, 철학사적 기술이 절실하여, 황로학 등에 대한 우리식 정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초전적과 논문은 단순하므로 자료를 공유하자. 이를 위해 이글에서는 중국의 곽기와 한국 김경수의 저서를 일목요연하게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곽기는 그의 책은 먼저 『노자』, 『태일생수』, 『오행』, 『성지문지』(成之聞之: 작자는 고쳐 『大常』으로), 『성자명출』(性自命出: 「上」, 「下」를 각각 『有性』과 『求心』으로 設題) 6종을 설명하고 있고, 다음으로 곽점죽간과, 『주역』(周易), 『논어』(論語) 그리고 ‘자사(子思)학파’ 및 ‘도가’의 관계를 다룬다. 김경수는, 중국 학계에서 말하는 지금의 유법투쟁사관은 유가에 대하여 도가와 법가가 결탁하여 대립하였다는 주장인데, 한대의 정치는 유가와 도법가가 대립하지 않았으며 도법가(道法家)는 근거 없는 현대의 창작물이라는 입장에서 새로운 주장을 내놓는다. 그에게는 『태일생수』조차 유가계열의 작품으로, 『존덕의』가 도가계열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이런 주장에 대해 한국학계는 반응해야 한다. 중국학계는 도가가 유가를 반대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는데, 한국학계는 그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또, 태일신앙에 대해서는 한국학계가 중국보다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한국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황로학 연구가 집약되어야 할 때다. There were two amazing excavations which are worth rewriting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One is Han dynasty tomb of Mawangtui(1973), the other one is Chu tomb of Guodian(1993). This paper related with the later, since the city museum of Jingmen has published Guodian Chumu Zhujian. Whenever excavation happens, China intends to lead it academically. While some Japanese(Ikeda Tomohisa) and American(Robert H. Henricks) participate with this situation, Korean scholars are just following them. To overcome it, research attitudes are required. First, to escape from import philosophy, quotation and critique for Korean works are necessary. Second, historical description for Chinese Philosophy is needed, for example, definition of Hwanglao is welcomed. Third, because basic materials and theses are limited, we could handle them in common. For them, I would like to introduce two scholars, who are Guoyi of China and KIM Kyungsu of Korea. Guo, first of all, not only interpreted 6 materials(Laozi, Taiyishengshui, Wuxing, Chengzhiwenzhi entitled Dachang, Xingzimingzhu separated with Youxing and Qiuxin), but also treated between Guodian Bamboo and classic texts and thoughts including the Book of changes,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school of Zisi, and Taoism. KIM insists that Confucianism and ‘Taoistic legalist’ are not antagonistic in politics of Han dynasty. Furthermore, against Chinese scholars who maintains the view of struggle history of Confucianism and (Taoistic) legalism which was prearranged thing between Taoism and Legalism, KIM asserts Taoistic legalist is a modern definition. According to him, Taiyishengshui is one of Confucian works; Zundeyi is closing to Taoist serials. We, Korean scholars, have to response them. While Chinese stresses Taoist is not against Confucianism, Korean thinks that possibility are low. On the religion of Taiyi, Korean concerns about it more than Chinese. Besides, new researches on Hwanglao studies in Korean should be concen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