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전환교육 평가 연구들의 경향과 과제

        배성직 ( Sung-jik Bae ),( Gary Cl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전환교육은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루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계획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전환 평가에 관한 연구는 전환 프로그램의 효과 및 인식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미국에서의 전환교육과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으며, 전환평가와 관련한 국내 문헌을 고찰하였는데, 여기에는 전환 연구에 대한 3편의 논문 리뷰들과 13편의 전환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및 9편의 전환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전환교육과 전환 평가에 대한 연구결과의 요약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는 첫째, 장애학생의 전환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요구들이 있다. 둘째, 전환 프로그램의 효과 및 추적 연구조사에 적합한 도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장애 영역에구분됨이 없이 전환에 필요한 주요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ransition education in Korea is evolving and the expectations for students are changing. Students are expected to be involved in their IEP meetings and transition education actively contributes to make a bridge from school to socie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ole of transition assessment is an ongoing monitoring process on students`` progress and readiness for transition. Reviewing the studies on transition area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ew programs and planning next transi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analgize three literature review articles on transition issues. Second, we collect and find implications from 13 experimental studies focusing on effects of transition programs and 8 experimental studies focusing o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ransition. Finally, we suggest issues and trends of transition assessment for the future and the needs of developing a Korean transition assess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on Transitional Outcomes : A Study of Korean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Bae, Sung Jik,Wehmeyer, Michael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전환은 성과지향적인 전환계획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전환 과정 중에서 자기결정능력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들 중에 하나이며, 이는 외부의 간섭없이 자신의 삶의 질에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 주도자로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학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장애학생의 전환목표에 미치는 자기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2003년 4월에서 5월, 두 달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를 위한 도구로서 전환목표에 미치는 자기 결정능력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문항 수는 28 문항이며,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번째 부분 4개 문항은 예상되는 졸업후의 진로 (추후교육, 취업 등)을 물었으며, 두번째 부분 20개 문항은 전환 수행수준 (일상생활, 여가생활 등)을 물었으며, 세번째 부분 4개 문항은 자기결정 (삶의 질, 결정경험 등)을 물었다. 최초 설문지는 영문으로 제작되어 전문가의 평정을 거쳤으며, 이후 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전문가의 평정을 거쳤다. 배포는 한국전환교육연구회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대상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중, 고등부 및 전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138개의 학생 설문지, 127개의 학부모 설문지, 및 18개의 교사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자료가 불충분한 설문지 42개를 제외한 107개의 학생과 학부모 설문지 및 17개의 교사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학생들의 평균 나이는 17세 였으며, 평균 IQ는 40이었다. 교사들의 평균교육경력은 약 7년이었으며, 설문에 응답한 아버지는 41명 (38.3%), 어머니는 65명 (60.7%), 그리고 한명 (1%)은 자매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졸업후 예상되는 전환성과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학생의 졸업후의 진로에 대한 기대가 부모와 교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2) 졸업 후 거주생활에 있어 부모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졸업 후 주거 생활에 있어, 어머니는 학생과 함께 사는 것을 아버지에 대해 유의하게 선호하였다. 3) 각 항목간의 상관분석에서 지능과 전환수행수준과 자기결정능력간에 상관이 있었으며, 전환수행수준과 자기 결정능력간의 상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연구의 제한점으로서는 표집의 제한성 및 최근 연구를 포괄하지 못한 점 등을 들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환교육 및 자기결정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생, 부모, 교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서는 1) 학생, 부모,교사간의 전환 및 자기결정에 대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2) 부모와 교사가 학생의 전환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3)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전환계획 및 자기결정능력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특수교육 : 역사적 전개와 현황에 대한 이해

        김동일,배성직 국립특수교육원 2001 특수교육연구 Vol.8 No.-

        남·북 화해 무드와 함께 북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북한의 장애인에 관련된 교육 및 복지에 관한 전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 복지, 인권 세 분야의 연구논문에서 다루어진 특수교육관련 내용과 북한의 원전 및 탈북자의 수기에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북한의 특수교육연구를 위한 기본틀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해방 전·후 및 전후(戰後)의 북한 특수교육 역사를 원전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북한 특수교육의 개관적인 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점자 사용, 특수애육원, 영예군인학교, 특수교육과 관련된 교육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Special education is the milestone which shows the nation's interests toward social welfare and security. Special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concurrently began in 1894 by the Rosetta Sherwood Hall, and American missionary and physician, first taught a blind girl. Despite of the similarity of the early stage, the lack of the interaction has made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between South and North, such as the development of sign language and braille, since 1945. In this article, we focused on the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through their first-hand manuscripts, interviews of the people who escape from North Korea, and other researchers. This article has the limitation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From the 1945 to 1960s, degree of public interests and supports of the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were generally high. However, from late 1960s, it is hard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In this article, a few first had resources of North Korea were cited and the historical overview was provided. In order to draw a complete picture of the special education in North Korea, further research agenda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문제에 대한 교상의 지각

        김동일,배성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아시아교육연구 Vol.4 No.1

        사회적 기술은 학령기에 익혀야 되는 중요한 기술로서 이 시기에 사회적 기술 문제를 갖게되면 향후의 학습 및 성인기의 사회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에 비추어 보면, 사회적 기술에 문제를 가진 학생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정서·행동, 의사소통, 문제해결, 사회적 규범 등 4개 문제 영역의 37개 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4개 영역의 문제 심각성 평균과 표준편차, 발생 빈도의 합, 영역별 심각한 문제의 순서 및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는 아동의 학급당 출현율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영역별 문항간 상관과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 경력, 태도에 따른 사회적 기술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서는 첫째, 중요한 사회적 기술의 위계와 문제행동의 출현율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의 성별, 경력, 태도의 배경변인이 교사 지각이나 평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교사의 지각이나 평정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는데 객관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결함의 이해와 교육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표집을 확대하고 부모, 중·고등학교 교사 및 또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Social skills for elementary students are so critical that the future learning and adult life of a particular individual depend on this social aspect of the development.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studies of social skills were underestimated and even relied upon very few systematic data.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Metropolitan area. The teachers' perception on social skill problems survey consisted of 4 categories, encompassing emotional and behavior,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ocial norm.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reliabilities, and factor loadings of the each category of the social skill problem were reported.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a potential sample bias (i.e., geography and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1) priority and estimated prevalence of social skill problems 2) correlations on items in each categories and reliability (Cronbach's Alpha: .80), 3) teacher's gender, experience and attitudes didn't show the systematic relations with perceptions on social skill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social skills not only for the elementary students but also for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