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박미희(Park, Mih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발생하는 교육격차 실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초, 중, 고등학교 800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교육의 여건 및 과정에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학교는 이를 완화하기 위해 어떠한 교육 지원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온라인 수업을 듣는 환경과 학습 여건이 열악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가정의 학생일수록 온라인 수업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학교 과제를 수행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이들은 선생님이나 보호자로부터 도움을 받기 보다는 혼자해결하거나 해결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경제적 수준이 높은 가정에서는 보호자가 자녀의 온라인 수업에 함께 참여하고 학업을 지도하면서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었다. 사교육 참여와 시간에서도 가정 배경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교육적 차이는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발생한다는 점에서 교육 불평등 문제로 연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한 학교의 노력과 지원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 기회나 여건만을 보장해주는 기존의 지원 방식으로는 현재의 교육격차를 감소시키기 어려울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학교의 역할과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in the COVID-19 era.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the school related group,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total 8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in lower-income families were inadequate environment to take the online class from home. Indeed, they were in challenge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class and to work on the assignmen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higher-income families received more supports from parents: participating with their children in online classes, supporting to school assignments and to private education. This shows that the educational gap to students based on household income is possible to link with the educational inequality. The efforts from school level was insufficient to reduce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existing education policy is necessary to be revised to resolve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the COVID-19. In addition, several alternative approaches to compensate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were discussed. This suggests that it may be difficult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 problem with the existing policy supports that guarantee educational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measures to compensate for the current educational gap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 격차: 출신 지역 및 대학 소재를 중심으로

        박미희(Park, Mih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의 중학교 패널 4차년도~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에서 나타나는 격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의 자원이 서울에 편중되어 있으며 대학의 사회적 위상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위계화 되어 있다는데 주목하여, 출신 지역과 대학의 소재지가 노동 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가 서울이외 지역 출신 대졸자보다 졸업 후 취업과 정규직 일자리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서울 소재 대학은 노동 시장에서 하나의 선별 준거로 작동하여, 출신 지역의 효과는 서울 대학 소재와 연계될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에 따라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노동시장의 성과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과 가정배경은 또 다른 불평등 기제로 나타나, 성별이나 가정배경에 따른 취업에서의 불평등이 우리사회에 고착화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첫 일자리의 취업 격차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고등교육은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기보다 대학의 소재와 연계되어 출신 지역의 효과를 더 확대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서 나타나는 취업 격차는 이후의 사회이동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사회계층 간 불평등 문제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sparities in first post-graduation job attainment. The study examines how growing up in Seoul and graduating from a university in the city affects students’ first post-graduation jobs. The effect of home region on employment outcomes showed that this variable influenced employment status and acquisition of regula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job opportunities were distributed differentially depending primarily on the graduate’s home region. Moreover, thes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mong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fact that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mpact on success in the labor market implies tha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linked to social-structural problems in our society. Other mechanisms functioning to increase inequality were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Differences in social class, gender,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are not only structurally manifested in university graduates’ first post-graduation jobs – the individual factors work together to produce inequality in later social mobility.

      • KCI등재

        협응이동훈련이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낙상물리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 ( Mihee Park ),이동우 ( Dong-woo Lee ),정모범 ( Mo-beom Jeong ) 대한물리의학회 2020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on the physical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irty subjects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the radiologic findings,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 = 15) or experimental group (n = 15,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for four weeks, with training sessions two times per week.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 fall-prevention education for 60 minutes without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To evaluate the physical factors for falls, the lower extremity strength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and biorescue were measured for balance. These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four week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physical factors for fall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may have a functional effect on fallprevention an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systematic and effective data that can be used as a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ach institution.

      • KCI등재

        청년니트 지원사업의 초기 성과 분석

        박미희(Park, Mihee),이봉주(Lee, Bongjoo),노혜진(Noh, Hyejin),박호준(Park, Hoj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취약계층 청년의 성인이행기 지원사업인 ‘희망플랜 사업’의 초기 성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희망플랜 사업은 니트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이 마땅히 없는 상황에서 니트 문제에 대한 개입을 표방하는 민간차원의 시범사업이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기획 · 지원하고 한국사회복지관협회가 운영하고 있는 희망플랜 사업은 총 3년의(2016~2018) 사업기간 동안, 청년과 그 가족, 지역사회 차원의 개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체 사업기간 중 1~2차 년도에 해당하는 사업 초기의 성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니트 확률과 향후 구직의향의 사업 전후 차이를 이중차이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프로그램 참여집단이 비참여 집단에 비해, 사업지역 거주 청년이 비교지역 거주 청년에 비해 사업수행 이후 향후 구직의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업전후의 니트확률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광의니트 확률이 사업이후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는 광의니트로 분류된 청년 중 학교에 재학중인 청년을 제외한 협의니트 확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희망플랜 사업의 초기 성과로 향후 구직의향이 향상되었다는 점, 문제가 보다 심각한 집단인 협의니트 확률에 미친 긍정적 효과가 미미하지만 존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의 니트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했다는 점은 이 사업에서 잠금효과(lock-in-effect)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initial performance of the ‘Hope Plan Project’ which is a project designed to support youth in vulnerable groups. In order to do this,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project in the probability and intentions of NEETs regarding of job seeking were analyzed using the DID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program group has a higher job-seeking intention in the future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ability of broadly defined NEETs, the probability of the participating group was higher after the project. Third, these negative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robability of core NEETs, except for those young people attending school.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is study found positive effects in the initial performance of the ‘Hope Plan’. However, the fact that the broadly defined NEET probability increas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dicated that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a lock-in-effect in this project.

      • KCI등재

        생애과정 전환기의 생활시간 배분에 관한 연구

        박미희(Park, Mihee),변금선(Byun, Geum-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3

        본 연구는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연령과 사회구조적 층화에 따른 시간 배분 경향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생활시간배분 경향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유급노동과 더불어 가사활동, 사회참여, 여가시간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생활시간 배분경향이 연령과 사회구조적 층화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자의 시간배분 경향은 유급노동시간의 점진적 감소와 가사노동 및 수동적 여가의 증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사회구조적 층화에 따라 상이하게 분화되고 있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무배우자가 유배우자에 비해, 연령증가에 따른 유급노동시간의 감소가 급격히 나타나고 여가시간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가는 비농가에 비해 연령에 따른 노동시간 감소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연령증가에 따라 가사와 돌봄활동을 감소시켰지만, 생산활동시간 총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고령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령자를 단일집단으로 간주하는 획일적인 접근을 탈피하고, 고령화라는 변화를 겪는 이들이 놓여있는 다양한 사회구조적 요인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aged and elderly persons allocated their time in overall perspective and whether the patterns were varied by ag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2009 Time Use Survey Data (17,096 time-diaries of people aged 45 or more)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using tobit regress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gradually decreased paid work times. Second, the patterns of time allocation were varied by age,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Agricultural/non-agricultural). Third,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n paid work time and leisure time. Highly educated or urban persons were likely to have less time in paid work less than other groups with increasing age. And females were likely to have less time in domestic labor and care work than males with increasing age. But they had more time in social and economic productive activities than ma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comprehensive approach to analyze the time use of elderly beyond economic working time or leisure time. To establish effective ageing society polic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ime allocation of elderly which divided into the social stratification.

      • KCI우수등재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Mihee Park),김진희(Jinhee Kim),최유림(Yourim Chai)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변화에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학교의 사회자본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 격차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4차년도(2015년)~6차년도(2017년)자료를 활용하여 3-수준 다층 성장모형(Multilevel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 참여와 지역사회 연계 활동이 중학교 1학년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참여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업성취 수준이 높았으며, 학교가 지역사회와 밀접히 연계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내 교사 간 협력은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화되는 학업성취의 수준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의 감소폭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 주체의 협력 활동은 가정배경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만큼 효과가 크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위한 교육 주체의 교육과정 참여 및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affect changes in students'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increasing social capital in schools reduced educational gaps due to family background. The three-level growth curve model was applied using the 4th through 6th Gyeonggi Education Panel (2015−2017).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involvement and community engag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s with a higher degree of parental involvement tende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growth. Students in schools with a close connection to their communities were also like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inhibit self-efficacy deterioration compared to those in schools with a poor connection. However, such cooperation did not lead to a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gap due to family background. In addition, the cooperation of teach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outcomes, either. The concluding section discusses how to improve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how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caused by family background.

      • KCI등재

        세계화와 기술발전이 청년의 NEET확률에 미친 영향: 교육 · 노동시장·복지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미희 ( Park Mih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3

        본 연구는 세계화와 기술발전이 청년의 NEET확률에 미친 영향력과, 이러한 영향력이 교육·노동시장·복지제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구조적 차원의 변인이 청년개인의 NEET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수 국가의 다시점 개인자료를 결합한 다수준 선형확률모형(multilevel linear probability model)을 적용했다. LIS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OECD 22개국 1995년~2010년 자료 중 81개 데이터셋에 포함된 331,611명의 청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와 기술발전이 청년의 NEET확률에 미친 독립적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그러나 세계화와 기술발전의 영향력은 다양한 사회정책 및 제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술발전과 사회정책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단체협상 적용률이 높고, 실업급여 소득대체정도가 높을수록 기술발전이 청년NEET 확률에 미친 부적 영향력이 더 커졌다. 즉 청년NEET확률이 더 낮아졌다. 다음으로 세계화와 사회정책의 조절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직업교육 중심성이 높을수록 세계화가 NEET확률에 미친 부적 영향력은 상쇄되었고, 단체협상 적용률이 높을수록 세계화의 부적 영향력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화와 기술발전이 청년에게 미친 영향은 노동시장제도와 복지제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해 한국사회에 제공하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on the probablity of young people falling into NEET and how these influences vary with education, labor market and welfare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multilevel linear probability model using LIS (Luxembourg Income Study) database. This study included 331,611 young people aged 18 to 34 who belong to 81 datasets from 22 OECD countrie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would affect the probability of young people falling into NEET. However, this hypothesi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olicies are as follows: (a) The higher the level of collective bargaining, the higher the generosity of the benefit level and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technological change lowered the youth NEET probability. (b) The higher the ratio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higher the generosity of the unemployment benefit system, globalization increased the NEET probability. However the higher the collective bargaining coverage, globalization decreased the youth NEET probability.

      • KCI우수등재

        다중격차 시대 지역 청년의 자본과 아비투스

        박해남(PARK Haenam),박미희(Park Mihee)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1

        이 연구는 지역 대학이 처한 위기를 직업 수행 역량의 문제로서가 아닌 한국 사회의 다중격차와 결부시켜 사고할 것을 제안한다. 지역 대학을 경험하는 이들의 삶이 한국 사회의 다중격차와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지역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하는 이들이 어떠한 사회경제적 위치를 차지하는지, 한국 사회의 격차는 이들의 생애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의 ‘자본’과 ‘아비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대전권 지역 청년 3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했다. 수도권 대학과 비교했을 때 지역 대학을 입학하고 졸업한 이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학력과 소득수준의 가정 배경을 지니고, 보다 적은 금액의 교육 투자를 경험하며, 졸업 후에는 평균적으로 적은 소득을 거두며,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진입할 가능성도 낮다. 연구 참여자들의 성장 과정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자본, 자본축적 전략이나 계획의 미비, 문화자본 위주의 자연적 자본축적 등으로 특징 지워진다. 그리고 이들은 대학 생활 가운데 보통은 경쟁을 회피하려고 하면서도 꿈자본에 단기 투자하며, 주로 단일자본축적형 노동과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느린 속도로 자본을 축적해 간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이러한 격차 문제의 해결 및 토대역량의 확충을 지역 대학의 위기 대응과 연동시킬 것을 제안한다. 지역 청년들의 자본을 다방면으로 확충하기 위한 계획, 충분한 투자, 기회 제공을 통해 괜찮은 일자리와 사회적 인정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e context of the crisis facing universitie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multiple disparities between students who enter and graduate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ose who enter and graduate provincial universities. It compares their socioeconomic positions and explains how the gap between the two is produce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s both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tatistical data,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30 youths in the Daejeon area using Bourdieu’s concepts of ‘capital’ and ‘habitus’. Compared to those of yout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amily backgrounds of the provincial youth reveal lower levels of income and eduction. These students also experience less educational investment, earn less income on average after graduation, and are less likely to get decent jobs. This gap is produced in the following ways: The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until entering university i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poor levels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 lack of capital accumulation strategies or plans, and a natural accumulation of capitals centered on cultural capital. Therefore, these students continue to accumulate capital more slowly through college life by staying away from competitive environments, investing in dream-capital in the short term, and doing single-capital accumulation work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provincial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should help the provincial youths attain decent jobs through long term investment in capital, planning and strategies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should commit to strengthening capability of the youth so that they get functionings without barr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