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노경희 ( Kyung Hee Rho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5

        본 논문은 미국에 전하는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각 자료들의 서지적 특징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 조사는 버클리대학(아사미문고와 리치몬드문고)과 하버드대학(옌칭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미국에 소장된 정약용 저작 20종과 정약용 주변 인물의 저작 3종, 총 23종에 이르는 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정약용 저작의 미국 내 소장 현황과, 이에 대한 실제 조사 작업 과정 및 국내외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서지적 특징을 자세하게 정리하였다. 이들 자료 중에는 현재 국내에 전하지 않는 유일본 및 자료적 가치가 높은 선본善本 자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니, 차후 다산 정본定本의 확정을 위해서는 이들 자료와 국내에 전하는 자료들 간의 면밀한 비교 검토가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단지 정약용의 저작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아직 정본이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다른 저자의 저작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 작업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닐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ces Cheong Yagyong(丁若鏞)`s collections recently found in US and their bibliography. The search covered libraries in UC Berkeley`s East Asian Library and Havard-Yenching Library to identify 20 works of Cheong Yagyong and 3 works of his family. Current state of Cheong Yagyong`s collections in U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bibliography in comparison to other collections housed in Korea and Japan will be summarized. Many original materials without any copies of manuscripts or with great bibliographic momentum are included in these collections. To establish his set of original texts, meticulous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these collections with domestic ones are require. The same also applies to other writers without well-established original sets. For this purpose of international arrangement of Joseon(朝鮮) dynasty`s collections, this elaborate survey can be much meaningful offering useful methodology.

      • KCI등재

        17세기 초 문관출신 명사(明使) 접반(接伴)과 한중(韓中) 문학교류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본고는 17세기초 문관출신 明使의 接伴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 한중 문학교류의 구체적 실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문관출신 사신단이 파견된 1602년ㆍ1606년ㆍ1609년의 접반 활동에 주목하여, 이 시기 양국 문인들이 벌인 활발한 문학 교류 활동을 고찰하였다. 1602년 전란 이후 첫 번째 문관출신 사신단인 顧天峻과 崔廷建의 방문을 맞아 조선 정부에서는 당대 최고의 문인들로 구성된 접대단을 구성하였다. 이때에 중국 사신과의 문학교류 활동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선 접대단의 문인들 간에는 활발한 시문수창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12년 후 이 기간 중 주고받은 시문을 모아서 이를 기념하는 시집을 편찬하는 등 자신들의 모임에 대해 상당한 자부심을 보였다. 또한 중국 사절단의 수행원 중 문학에 관심 있는 이들과의 교유를 통해 양국 간에 문학교류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1606년에 조선을 방문한 주지번과 양유년 일행은 한중 문화교류에 있어 역대 최고의 성과를 보인 사절단이었다. 주지번은 조선 체류 기간 중 명의 문화를 조선 문단에 전하고 조선의 문화를 수집하는데 적극적이었으며, 중국에 돌아간 뒤에도 조선의 문화를 중국 문단에 소개하고, 조선문인과 편지를 주고받는 등 지속적인 문화 교류 활동을 펼쳤다. 1609년 副使 熊化의 방문을 통해 양국 사절단의 책임자인 李廷龜와 웅화는 형식적인 교류를 넘어서 깊은 우정을 쌓았다. 또 중국사신 劉用의 수행원인 徐明과 조선 접대단의 수행원인 許筠 간에 활발한 문화 교류 활동이 이루어졌으니, 여기서 양국 사절단의 수행원들 간에도 교유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초 양국 문인들은 접반 활동을 계기로 하여 오랜 세월에 걸쳐 형식적인 관계 이상의 친분을 쌓을 수 있었다. 이러한 친분 관계는 이후 양국 문화 교류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들의 교류는 서로의 문화에 함께 관심을 갖는 ‘쌍방 간의 교류’였으며, 또 중국 사신이 돌아간 이후에도 끊이지 않고 이루어진 ‘지속적인 교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할 것이다. Literary interchange between Chosun and Ming during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was investigated with an emphasis on the interaction with Ming`s envoys visiting Chosun. Documents on the visits in the years 1602, 1606, and 1609 reveal active literary interaction between diplomatic personnels who were also leading in the literature in each country. In 1602, when Gu Tian Jun(顧天峻) and Cui Ting Jian(崔廷健) from Ming entered Chosun as the first envoys after the Imjin War(Invasion of Korea by the Japanese in 1592), Chosun provided a group of the best literary writers for the reception and guiding them to the capital city. At this time, there was not an active literary interchange between two countries`s envoys but those writers of Chosun utilized the chance to exchange their improvised works. As a result, 12 years later, they published a collection of those poetry, in which they showed their proudness of their literary talents and gathering through the collection. Instead of Ming`s envoys, their attendants who were interested in the literature were involved in the interchange to a certain degree. In 1606, Zhu Zhi Fan(朱之蕃) and Liang You Nian(梁有年) from Ming triggered the largest literary interchange between two countries so far. Zhu Zhi Fan continued the interaction by introducing Chosun culture to Ming, keeping record of the literary interchange, and keeping correspondence with Chosun officials. In 1609, Xiong Hua(熊化) from Ming established a friendship with Yi Cheng-gu(李廷龜) of Chosun through their literary interaction. In the meantime, Xu Ming徐明 as an attendant of Liu Yong(劉用), an envoy, interacted with Heo Kyun(許筠) who coordinated their visit, which supports that the literary interchange extended to the attendants to a significant degree. The interaction between Chosun and Ming`s envoys at this time is meaningful as a demonstrative case of active bi-directional exchange that continued even after the diplomatic event.

      • KCI등재

        17세기 전반 조선과 18세기 에도 문단의 명대(明代) 전후칠자(前後七子) 시론(詩論) 수용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16세기 명문단에서 흥기한 전후칠자의 시론이 17세기초 조선문단, 18세기 에도문단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각 문단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검토한 것이다. 17세기 전반 중국과의 교류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조선문인 허균과 18세기 에도문단 고문사파의 중심인물인 오규소라이[적생조래(荻生?徠)]·핫토리 난카쿠[복부남곽(服部南郭)]를 중심으로 양국 문단의 전후칠자 시론 수용 양상을 살피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전후칠자 문학론의 수용 경로, 한시에 대한 인식과 전후칠자 시론과의 접점, 전후칠자 시론 관련한 시선집의 편찬과 간행의 모습을 고찰하여, 양국 문단의 시론의 차이와 함께 중국 문학 수용에 있어 문화적 기반을 함께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후칠자 문학의 수용에 있어 조선문단은 직접적이며 동시대적으로, 에도문단은 간접적이며 단절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17세기초 조선문인 허균은 한시에 대해 성정(性情)의 발현을 중시하고 개성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데 반해, 18세기초 에도문단의 소라이와 난카쿠는 정어(情語)를 재현하고 전범을 존중할 것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후칠자 관련 시선집 편찬에 있어서 허균은 시선자(詩選者)의 선시관(選詩觀)을 최우선으로 두고 독자적인 시선집 편찬에 집중하는데 반해, 소라이 학파의 경우 기존 시선집의 편찬 기준에 대한 신뢰를 보내면서 에도문단에 성당시와 명시를 소개하고 학습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선집을 편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양국 문단의 문학적 성격과 문화적 배경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관점에서의 비교를 통해 전통시대 동아시아 한문학 교류의 성격을 총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compared how the literary worlds of the early 17th century Chosun and the 18th century Edo accommodated and developed the poetic theory of the earlier and later Seven Ming Masters differently, reflecting their own situations. The focus was on Heo Kyun from Chosun and Ogyu Sorai/Hatori Nankaku from Edo who were active in literary exchange with Ming in their respective times. I comparatively observed the path through which the Ming literature was accommodated, how it was appreciated, and how the related anthologies were edited and published,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their poetic theories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two literary worlds contrast in several aspects. The Chosun literary world was more direct and contemporaneous while the Edo literary world was rather indirect and punctuated in accepting the Ming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While Heo Kyun emphasized the manifestation of "nature" and characters in interpreting the Ming literature, Sorai and Nankaku regarded it as a standard and emphasized the reproduction of emotional words. In publishing the anthologies of Chinese poems, Heo set the priority on the variety in combining the editions and focused on making his own edition, Sorai group relied on the previous editions and used them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nd learning Tang and Ming poetry. This study reveals the contrast in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literary societies. The multi-faceted approach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extended to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xchange.

      • KCI등재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노경희 ( Rho Kyung-hee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집중하였다. 조선 개국 이래 개성은 전 왕조의 수도, 곧 ‘구도(舊都)’의 이미지 속에서 새 왕조의 수도인 한양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가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임란과 병란을 거치면서 조선이 새롭게 재편되는 시기였던 17세기 들어와 개성은 이제 고려의 그림자를 벗어나 조선의 한 지역으로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갔다. 본고에서는 17세기에 편찬된 개성에 대한 기록물을 바탕으로, 그 안의 역사적 사실들이 삭제되고 추가되며 변개되는 모습을 추적하여, 시대와 계층에 따른 개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과정에서 형성된 후대의 개성 이미지와 전파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창비왕설’ 비판과 ‘두문동 72현’에 대한 현창, 정몽주 순절 선죽교 기록의 확충, ‘송도삼절’과 ‘황진이’ 설화의 형성과 정착 등의 기록들에 주목하여, 17세기 들어와 개성의 이미지가 ‘충절’과 ‘풍류’ 공간으로 다시 형성되고 있음을 밝히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cess of finding a new identity of Gaesong from the capital of Korea to the province of Choson. In particular, the period focused o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Since the founding of the Choson Dynasty, Gaesong has established a double-sided image in the image of the capital of the former dynasty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Hanyang,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However,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war(Imjin War), Gaeseong was not any more the capital of Korea, but created an image of Choson as a local place. Based on the records of Gaesong in the 17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Gaesong's image according to times and classes.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revealed that Gaesong's image was re-formed into a space of Loyalty and Pleasure.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7세기 전반기 명문단의 조선시선집 간행과 조선한시에 대한 인식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본고는 l7세기초 조산문인의 시문집이 명문단에서 활발히 소개·간행된 사례들을 둘러싸고, 그러한 문화활동이 가능했던 배경에 대해 외적 요건과 내적 요건으로 양분 하여 고찰한 것이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양국 간의 교류에 대해 조선문단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던 것과 반대로, 명문단에서 왜 조선문인의 시문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에 주목하였다. 당시 명문단에 조선시문이 소개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전란으로 인한 교류의 확대라는 외부적 조건과 조선한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던 내부적 분위기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임란 시기 조선에 파병된 명나라 장수들은 명으로 돌아가 조선관련 서적과 조선한시선집을 편찬하였다.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진 사신 교류를 통해 중국문인들이 조선문인의 시문집에 서문을 써주거나, 그들의 개인시선집올 중국에서 간행해주는 일도 나타났다. 이러한 외적 요건을 통해 명나라 문단에 조선의 한시가 소개될 수 있었다. 당시 명문인이 조선의 한시를 수집하게 된 내부적 요인으로는, 箕子가 전한 중화문명이 조선에 전해왔다는 자부심과, 주나라 관리들이 민간의 시를 수집하였던 ``采詩``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한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명나라 문인들이 높이 평가한 조선한시의 성격으로 『시경』 의 『국풍』 에서 강조되었던, ``天然`` 의 성정을 솔직히 토로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선한시의 성격을 명문인이 높이 평가하게 된 것은, 당시 명대문단에서 문학 流派를 막론하고 ``眞詩``를 추구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Publication of Chosun poetry in Ming was studied analyzing both the exterior and interior factors which led to such cultural activity. In contrast to the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Chosun literary world, I focused on why the Ming literary world became interested in Chosun poetry. Enhanced cultural exchange due to the war and increased interest in Chosun literature within Ming were effective in introducing Chosun poetry to Ming. Ming generals dispatched to Chosu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returned and published Chosun-related books including collections of Chosun poetry. Active exchange of envoys resulted in Ming writers writing the prefaces for the editions of Chosun poetry and publishing poetry collections of Chosun writers. Such external fact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literature exchange between the countries. Internally, the self-esteem of Ming writers that Jizi introduced Chinese culture to Chosun and their eagerness to succeed to the poetry-collecting tradition (Caishi) in Zhou dynasty. In addition, Ming writers appreciated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poetry well expressing the aesthetics of nature, which was emphasized in the Feng of the Shib Ching. It can be argued that such characteristics of Chosun poetry charmed Ming writers considering that they were pursuing true poetry (Zhenshi) regardless of literary branches.

      • KCI등재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노경희 ( Kyung Hee Rho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본 논문은 1936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의 저본 또는 다산 저술의 정고본定稿本에 가장 근접하다고 평가받아온 다산 집안의 소장본, 또는 저술단계에 필사된 다산과 그 제자들의 필사본에 주목하여, 이들 자료를 고본橋本이라 지칭하며 그 성격을 규명하고 전승 현황을 살핀 것이다. 먼저 다산 필사본 자료의 명칭이 정리되지 않고 사용되어 논의에 혼란을 주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각 필사본의 용어 가 갖는 의미를 살피고 본고에서 다루는 고본 자료들의 성격을 살피었다. 다음으로 현재 해외와 국내의 국공사립 도서관에 전승되는 고본 자료를 총정리하고, 서지적 특정을 검토하여 이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들 자료는 다산 저술의 정본定本의 확정하기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자료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anuscript of Cheong Yagyong丁若鏞`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The manuscript of this article means the things written by Cheong Yagyong and his disciples, and owned by his family. These manuscripts are evaluated to be the original texts. First of all, the conceptions of various kinds of manuscripts`s titles was determined for the research. And the transmission of these manuscripts were chased to make the list. This search covered libraries in foreign and domestic areas to identify 27 manuscripts. Current state of Cheong Yagyong`s manuscript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bibliography in comparison to other manuscripts(not to be written by author and his disciples) will be sum-marized. To establish his set of original texts, meticulous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these collections with another copies are required.

      • KCI등재

        경성제대 일본인 교수와 조선인 학생의 <춘향전> 읽기-아카데미아의 <춘향전> 근대적 연구의 시작-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2 No.-

        본 논문은 ‘경성제국대학(이하 경성제대)’이라는 학문 공간에서 일본인 교수와 조선인 학생들이 보인 <춘향전>에 대한 인식을 살핀 것이다. 경성제대 교수들은 전원이 일본인이었으며, 조선어문학과의 경우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와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두 사람의 교수만이 있었다. 이렇게 제도권 학계에서 우리나라 국학의 근대적 연구는 일본인 교수들과 함께 시작하였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맡게 되었으며, 이에 이들의 영향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당시 경성제대 조선인 학생들은 일본인 교수진의 강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았으니, 어떤 면에서는 더욱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렇게 한편에서는 영향을 받고, 다른 한편으로는 반발을 보이는 길항적인 모습이 우리 국문학 연구 초창기의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양면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춘향전’이라는 전근대 통속문예물이 ‘근대’라는 공간에서 어떻게 읽히고 수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1927년 조선문학 강좌 담당 교수 다카하시 도루가 발표한 「조선문학연구-조선의 소설」과 1928년 예과 학생 김종무가 발표한 「我觀春香傳」이다. 이 글들은 ‘대학’이라는 근대적 학문 공간(아카데미아)에서 조선고소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 최초의 연구 성과이며, 당시 경성제대 문학부 학생이었던 조윤제와 김태준의 조선 고소설 연구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의 고소설이 제도권 학계의 연구대상으로 편입되는 시기에 <춘향전>이 전통시대 통속문예물에서 근대의 ‘고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aces how a Japanese professor and a Korean student perceived the Chunhyang-jeon under the academic environ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in 1924. There were only two Japanese professors, Takahashi Toru and Ogura Shinpei,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modern academic studies of the famous Korean literary work, Chunhyang-jeon, began with these Japanese professors, their influence on its study should be considered. Korean students were more critical in accepting lectures of Japanese professors. Such antagonistic attitude which simultaneously shows the influence by Japanese scholars and disavowal against them pictures the typical early stage of Korean literature studies. The main texts studied here are “The Study of Joseon Literature - a novel of Joseon” written by Japanese professor, Takahashi Doru, in 1927, and “I read Chunhyang-jeon(A-Kwan-Chunhyang-jeon)” written by a Korean student, Kim Jong-mu, in 1928. These are the first researches that analyzed the premodern novels of Joseon in the modern academic space called ‘university’ (Academia).

      • KCI등재

        다산(茶山)저술의 전승과 유통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다산가장(茶山家藏)의 고본(稿本)에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이르기까지

        노경희 ( Kyung Hee Rho ) 한국한문학회 2012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0

        This study focuses on Tasan Cheong Yagyong`s literary works from bibliographical viewpoint. It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transmission and circulation of the works, from the original versions to the first published complete collection, Yeo-yu-dang jeon-seo, in 1938. Depending on the era, his works were published in different forms: by woodblock printing in late Chosun and by metal typ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le they were continually hand-transcribed throughout the time. In terms of the editors, they were mostly published by his own sons and disciples in late Chosun and by various Chosun or Japanese writers in modern era. Woodblock-printed I-dam-sok-chan has been found to be the only official publication in Chosun, presumed to be published in the late 19th century. Considering that Tasan`s family would have lost power after he was exiled, there would have not been enough support to publish such a large collection of 500 volumes. Tasan`s works, however, managed to survive and be distributed in manuscripts through Chosun era and by typing through modern era. By the efforts of himself, his son, and his disciples, nearly complete copies of his original works remained available. As his works included many practically useful books, even in Chosun, there were considerable number of manuscripts circulated and afterwards they were rediscovered and metal-type published by knowledgable scholars such as Jang Ji-Yeon, Choi Nam-Seon, and Jeong In-Bo. In parallel with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apanese scholars also published the works by hand-transcribing and metal-typing. From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Tasan`s works have been published by diverse entities for a large variety of purposes. By observing the historical or sociological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rough the eras, we can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the scholarly community in the count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