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문화경관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의 이해 -중랑지역을 중심으로-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4

        문화경관은 시간의 경과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문화의 소산물이다. 최근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지역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연구지역인 중랑은 서울 외사산의 하나인 용마산과 유명인사의 묘역인 망우산, 봉화를 올렸던 봉화산 그리고 장미축제가 화려한 중랑천 변에 입지해 있다. 이와같이 중랑은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그 위에 문화경관 자원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지오투어리즘이 가능하게 되었다. 중랑 지오투어리즘의 루트는 지자체의 노력으로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지역주민과 인근 주민들의 지역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이와같은 활동은 부정적 요소를 긍정적 이미지로 탈바꿈하는데 성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랑향토 문화해설사들을 양성하여 이들이 지역해설사로 활동함으로서 지역이해의 시너지효과를 보고 있다. The cultural landscape is the result of local culture formed by the passage of time. The importance of the area has become even more apparent recently as globalization progresses. Jungnang area is located to the west of Seoul Yongma Mt., famous people was buried Mangwu Mt., the people was lighted a signal fire in Bonghwa Mt. and it is located in Jungnangcheon. Thus Jungnang storytelling is central to the form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on the basis it was possible to geo-tourism. Jungnang root of geo-touris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is to continue to help local residents and local understanding of local residents. In particular, it is successful in transforming the negative elements of the above activities as well as a positive image and volunteered to train the local culture Jungnang Commentator.

      • KCI등재

        서울 중랑 옹기마을의 사례 연구 -질적접근방법을 중심으로-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2

        서울에서 최후까지 옹기점이 남아있었던 지역은 중랑구 신내동과 망우동이었다. 이는 조사된 자료와 과거 옹기일에 종사하였던 마을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점말, 피울, 직곡``이라는 자연 마을명도 남아있다. 중랑지역의 옹기점의 지리적인 입지요인은 첫째, 양질의 토양, 물, 땔감 등의 자원취득이 용이, 둘째, 지방과 서울과의 편리한 교통, 셋째, 옹기가마가 입지할 수 있는 지형조건이 용이, 넷째, 동성촌의 마을사람들의 유통노동력이 풍부, 다섯째, 용이한 소비지접근성이다. 중랑지역에서 3대째 옹기일에 종사한 배요섭옹이 무형문화재 옹기장 30호로 지정받아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Ceramics shop was left in the Jungnang area(Shinnai dong & Mangwu dong) in Seoul till the last. I confirmed the interest charges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area inhabitants who did that I associated with ceramics. The past natural village name is ``jumal, piwol, jikok``. The geographical convenience factor of the ceramics shop of the Jungnang area seems to be next. The first, the high quality soil, Water, the resources acquisition such as the fuel is easy. The second, convenient traffic with district and Seoul. The third, the topography condition of the ceramics geographical convenience is easy. The fourth, the circulation trouble power of the village is rich. The fifth, the approach of the consumption market is convenient. The Baeyesub engaged in work of the Ceramics(onggi) in a Jungnang area for the third generation maintains existence to date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30.

      • KCI등재

        중국 중원문화와 관광자원의 이해-하남성(河南省)을 중심으로-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1

        중국 중원지역은 중국 8대 古都 중 4개 도시(안양, 낙양, 정주, 개봉)가 속하는 중국의 역사 문화가 살아있는 지역이다. 중원의 상징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자원환경 위에 유구한 세월의 풍부한 문화자원이 중첩된 역사문화유산의 보고이다. 또한 중국 내부교통의 중심지로 동서남북으로 철도와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이지만, 도시발달이 미비하였다가 최근 경제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부터 풍부한 자원과 최근 외국선진기술의 도입이 더해져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금 하남성은 중원의 역사 문화적 관광자원을 토대로 중국 제5직할시로 부상하겠다는 계획이다. 궁극적으로 중원지역은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의 발굴·복원에 초점을 둔다면 중원경제의 미래는 밝으리라 사료된다. The central area of China is the historical cultural breathing area which includes four city(Anyang, Luoyang, Zhengzhou, Kaifeng) of the old eight capital. The symbol of the central city is the area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where the abundant cultural resources are overlapped through age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It is also a hub for traffic which the rails and highways are passing through but it did not develop much. However, the economy around central area recently starts to revive. It is accelerating for development with the abundant resources and instituting the latest advanced technology from overseas. The Henan province whishes becoming the 5th city as a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central area have prepared the ground. Ultimately, If the central area focuses on discovering and restoring the sustainable heritage, the future of the central area will be bright.

      • KCI등재

        한국 관음신앙과 4대 관음성지의 지리적 해석

        김일림 ( Il Ri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1

        한국불교에서 관음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심적 보살 중 하나이며, 대승 불교 전체의 신앙, 사상, 의례 등을 아우르는 핵심적 보살을 의미한다. 한국의 현대불교신앙은 시대적, 지역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현세적 염원을 담고 있는 관음신앙이 불교에 확대 해석되어, 최근 현세적 염원의 주요 기도처로 관음성지가 불교의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불교는 통불교적 성격을 띄우면서 대부분의 사찰에서 관음전을 배치하고 있지만, 한국의 관음성지는 석가모니불(혹은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중심의 통불교적 가람배치에 준하지 않고, 관세음보살을 중심으로 원통보전, 보광전(보타전)을 주 전각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국의 4대 관음성지는 인도 남부 해수관음의 발상지와 같이 먼 바다를 내다볼 수 있는 위치에 해수관음상이 함께 입지해 있다. 특히, 4대 관음성지는 창건설화에 기초하고 있으며, 해발고도가 높고, 바다에 접해 있으면서 주 전각은 현세적 염원을 들어주는 관세음 기도처로서 자연스럽게 자연환경에 입지하였으며, 특별한 사찰 공간배치의 틀을 갖지 있지 않다. In Korean Buddhism, Avalokitesvara is one of the most central bodhisattvas in Buddhism in the MahayanaBuddhism, and it means a core Bodhisattva that includes the faith, thought, and rituals of the whole Buddha. The modern Buddhist faith in Korea was extended to Buddhism by the influence of the time and the local environment, and the faith in the Avalokitesvara religion containing the temporal aspiration. Recently, as a main prayer place of temporal aspiration, the Avalokitesvara Sacred place became a feature of Buddhism. Therefore, although Korean Buddhism is a total Buddhist character and most of the Buddhist temples have a Avalokitesvara, Korean Avalokitesvara Holy Sites does not constitute the overall Buddhist temple arrangement centered on Buddha Buddhism (or Vairocana Buddha, Amitabha Buddha). It is the building of the Wontongbojeon, Bogwangjeon(botajeon)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outh Korea's 4th Avalokitesvara Pilgrimage Sites are located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see the distant sea as the birthplace of the southern Seafareres’ Avalokitesvara in India. In particular, the Four Pillars of the Holy Land are based on the story of the founding, and the elevation of the sea is high, and the main shrine is a prayer place for the temporal aspiration. However, there is no framework for unique temple layout.

      • KCI등재

        서울의 도시 주제공원의 유형별 특징과 도시정체성 탐색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1

        도시공원은 세계사적으로 근대화 과정에 생겨난 일종의 발명품이었다. 한국의 도시공원은 1900년대 초에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양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도시공원의 기능과 특성에 적합한 명칭과 구분 및 운영관리가 부적절하거나 미흡하다. 서울의 도시공원은 생활권과 주제공원으로 구분되며, 이중 주제공원의 특성을 활성화시키면 도시재생에도 도움이 되고, 도시의 랜드마크로서 도시정체성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서울의 주제공원은 변화하고 있지만 주제공원에 대한 공원개념의 재정리가 필요하며, 큰 틀에서 도시색채를 기획하고, 이 위에 주제별 공원의 명칭과 특성 및 운영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기보다는 주제공원의 성격을 명확하게 재구조화 및 분석하여 적용할 수 있고, 특히 도시민과 상호보완적으로 조성할 때 도시 정체성이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다. City parks were a kind of invention in the history of world modernization. Urban parks in Korea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early 1900s. Although it has increased in quantity at present, the name, classifica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suitable for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ity parks are inadequate or insufficient. Seoul's urban parks are divided into living zones and theme parks, and by revit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parks, it can also help the city to regenerate, and can secure urban identity as a landmark of the city. Currently, the theme park in Seoul is changing, but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concept of the park for the theme park, plan the urban colors in a large frame, and on top of this, the nam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management of the theme park. This can be applied by clearly restructuring and analyzing the nature of the theme park rather than creating something out of nothing, and especially when creating complementaryly with urban people, urban identity can shine more.

      • KCI등재

        산업유산을 활용한 서울도시공원의 유형 분석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후화된 산업유산을 활용하여 공원화된 서울도시공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도시공원에 활용된 과거산업은 공장류의 제조업, 정수장의 산업서비스업, 교량·철도·항공의 물류수송업, 석탄·석유·화약의 전기에너지업의 산업유산을 활용하였다. 둘째, 산업유산의 활용 정도는 원형보존의 공원화는 아직 없고, 증·개축 보전하여 7개 공원을 조성했고, 현지에 상징물로 흔적표식한 공원이 5개 조성되었다. 셋째, 공원유형은 근린공원과 문화공원으로 분류되며. 넷째, 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공원은 작은 규모의 휴식할 수 있는 쉼터 기능부터 문화예술공연과 생태환경 활동 등의 생활문화커뮤니티를 이루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다섯째, 공원이용은 지역구민부터 넓게는 서울시민 및 그 외 지역민들이 즐겨찾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향후 서울도시공원의 정체성은 산·학·관·민들의 모티터링을 통해 상호교류할 수 있는 정책설정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parked Seoul city parks by using the aging industrial heri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st industries used in Seoul City Park were industrial heritages of manufacturing of factories, industrial service industries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of bridges, railroads, aviation, and electric energy industries of coal, oil, and explosives. Second, as for the degree of use of industrial heritage, there has not been a park of original preservation yet, and 7 parks were created through expansion and renovation, and 5 parks marked with traces as symbols were created in the area. Third, park types are classified into neighborhood parks and cultural parks. Fourth, in city parks utilizing industrial heritage, programs that form a living and cultural community such as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and eco-environment activities are operated from small-scale resting shelters. Fifth, the use of the park is being used as a favorite place for local residents to a wide range of Seoul citizens and other local residents. In the future, the identity of Seoul City Park is required to establish a policy that enables mutual exchange through monitoring of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and people.

      • KCI등재

        1950년-60년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서울의 장소성

        김일림 ( Kim Il Rim ),강옥희 ( Kang Ok H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4

        대중가요는 1900년대 초기 서구에서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점차 대중가요의 질도 향상되어 주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여 대중문화의 꽃을 피웠다. 서울의 명칭은 1949년부터 경성에서 서울로 변경되었다. 1950년-60년대 대중가요 속의 서울은 해방과 전후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주도의 계몽 노래부터 산업사회로 전환하는 도시에 대한 동경, 도시생활의 적응과정에 대한 혼돈과 어려움 그리고 사랑과 이별들에 대한 내용들이다. 이는 서울 전체와 초기 서울행정구역발달에 따른 강북의 남산·명동·삼각지노선과 마포·여의도·영등포 등의 장소에 대중들의 희로애락으로 표출하였다. 서울을 노래한 대중가요는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되는 등 서울의 장소성을 증명해주고 있다. 나아가 각 대중가요들이 지역캐릭터 등의 콘텐츠로 개발되고, 주변지역과 연계하여 대중가요제와 가수추모제등을 개최하는 등 유명 장소로 자리매김하여 관광과 교육장소로 거듭나고 있다. 따라서 대중가요를 통한 시대적 장소감은 장소정체성으로 연계되어 음악지리와 문학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다. Popular songs were formed in the West in the early 1900s, and now the quality of popular songs has gradually improved, moving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and the blossoms of popular culture. In the popular song of the 1950s and 1960s, Seoul was the enlightenment song of State-led to overcome the liberation and the post-war period, longing for the city transforming into an industrial society,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the adaptation process of urban life, and love and separation. This was expressed as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ublic in the whole of Seoul and in places such as Namsan, Myeong-dong, Samgakji route and Mapo, Yeouido, and Yeongdeungpo in Gangbuk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Seoul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popular song that sang Seoul was selected as < Seoul Future Heritage >, proving the identity of Seoul’s place. Furthermore, each popular song is being developed into content such as local characters, and it has become a place for tourism and education by holding a popular song festival and a singer memorial festival in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The sense of place of the times through popular songs is linked to the identity of the place and can be used as music geography and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 전통불교사찰의 재해석

        김일림 ( Kim¸ Il Rim ),정우진 ( Jung¸ Woo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고문헌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조선시대 불교와 불교사찰에 대해 해석하였고, 지리지와 고지도를 통해 서울전통불교사찰의 입지를 확인하여 현재 서울전통불교사찰을 재해석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억불 속에서 불교는 국가방위수호, 왕실기도, 국가제사, 불당중창 및 승군활동 등 불사와 법맥을 유지하여 왔다. 둘째, 지리지 속에서 조선 초기에는 도성 내의 사찰이 존재했으나 유학자들의 상소로 존폐를 거듭하면서 후기에는 도성 밖의 내사산과 외사산을 중심으로 산사가 입지하였다. 셋째, 지리지와 고지도 상의 서울에 입지한 사찰은 현존하는 29개 사찰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양 자료에 모두 있는 사찰은 9개 사찰이다. 이들 사찰들은 과거에는 산사에 해당하지만 현재는 승가사와 문수사를 제외하고는 도시개발로 아파트 내에 입지하거나 산지라도 접근이 용이하다. 다섯째, 현재 서울 전통불교사찰은 고문헌 속의 26개 사찰을 포함한 60개 사찰이고, 이는 근·현대를 거치면서 도심의 포교당 형식의 사찰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현대불교사찰은 도시변화와 함께 도시인구를 흡수하기 위해 사찰입지의 접근성, 불교원리의 단순성, 종교심리의 현실성을 받아들여 다양한 방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This study interprets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significance in reinterpreting the current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Seoul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rough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and old ma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at in the midst of billions of dollars, Buddhism has maintained the immortality of Buddhism, including national defense protection, royal prayer, national ancestral rites, liturgical recitals, and monk activities. Second, in the early Joseon geography, there were temples within the capital city, but as they continued to exist due to the appeal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r years, mountain temples were located around the inner and outer Mt. Third, as for the temples located in Seoul on geography and old maps, 29 existing temples could be identified. Fourth, there are 9 temples in both materials. These temples in the past were mountain temples, but now, with the exception of Seunggasa Temple and Munsusa Temple, they are located within apartments due to urban development or are easily accessible even in the mountains. Fifth, there are currently 60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Seoul, including 26 temples in the ancient literature, which are changing into the city’s Pogyodang-style temples through the modern and modern times. Therefore, modern Buddhist temples in Seoul are being reborn in various ways by accepting the accessibility of the temple site, the simplicity of Buddhist principles, and the reality of religious psychology in order to absorb the urban population along with the urban change.

      • KCI등재후보

        강원도의 불교와 전통사찰의 특성

        김일림(Il-Rim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tion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temples in Kangwon Province. The temples are located according in harmony with the natural setting like topographical environment. Traditional temples in Kangwon province are mostly located in hilly ares and among the Mountain. The location of Buddhist temples arae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They are the ground level location type, the foot of mountain location type, the mountain location type. Less a half(47.6%) of buddhist temples in Kangwon province belong to the mountain location type.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four essential building of a Buddhist temple -- the Daeungjon building, two Yosache buildings and a Munlu -- as related to the principles of Buddhism and Sashindo, te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the small temple types(So-sachal), the middle temple types(jung-sachal), and the large temple types(Tae-sachal). In Kangwon, the Jung-sachal type is the most popular with 45.2% of total. Buddhist temples in Kangwon Province represent buddhist culture having accumulated from the past and are the cultural complex and mixture of elements consistent with landscape. They also reflec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of each time period.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temple in Kangwon Province are a result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spirit, which was made in the progress of pursuing changes, as well as, regarding tradition as an important factor. Traditional temples in Kangwon province are representative of the modern buddhist movement of purity and the activities of propagand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