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 교육과정 모형 탐색

        김언진 ( Eon Jin Kim ),황윤세 ( Yoon 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 교육과정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질과 특성, 역할을 규명하고 역량의 개념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성격을 제시한 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직 교사 및 원감, 원장을 대상으로 1차 조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설문지를 제작하여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 후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기본소양 역량, 인지발달적 역량, 교수방법적 역량,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자기주도 학습 역량의 5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a model of educating teachers based on the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It deals with a need for competency-based training; the focus of which was on identifying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role of kindergarten teaching· To analyze component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Using key words, and taking regional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the data was collecte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structured and based on the data that was obtain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which in turn was distributed again·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etencies of kindergarten teacher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confirmed· Based on analysis of the secondary survey, qualities required by kindergarten teachers were classified in five different categories: · A basic literacy competency · A cognitive developmental competency · An instructional competency · A social interactional competency · A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Kindergarten teachers training models were based on those five findings·

      • KCI등재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언진(Kim, Eon-Jin),김병희(Kim, By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이론적 기반을 둔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육현장 적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S시에 소재한 J유치원과 C유치원 만 5세 37명을 대상으로(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 2017년 7월 3일에서 9월 29일까지 12주 동안 24회에 걸쳐 실시하고 본 연구자가 제작하고 수정 ·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유아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내용으로 도덕적 인지, 도덕적 감정, 도덕적 행동의 세 가지 하위 요인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가능하며 앞으로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에 기반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유아의 인성 함양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ildr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theory of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and verify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in children education. For this, 37 children (19 in experimental group, 18 in comparative group) at 5 years of 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J kindergarten and C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of Gangwon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24 sessions from July 3rd to September 29th, 2017 (12 weeks)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using a tool self-developed and modified for this study. The study found that the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 character,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three sub-factors of moral knowing, moral feeling and moral action as well.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on practical fieldwork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hoped that the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can be actively carried out to promote the character of children.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신념과 실제

        황윤세 ( Yoon Se Hwang ),김언진 ( Eon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 of diversely implemented integrated curriculum in day care center. The six participants were public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had experience in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more than four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 gathering document, and the process of class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showed a dualistic to integrated curriculum that while they showed supportive attitudes toward integrated curriculum and expressed their natural preference of integrated curriculum, they also reveales their confusion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expressed problems and burdens by occurring in the administr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occurred in several types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omnibus-type organization and network-typ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 6명은 일반 어린이집 교사로 4년 이상의 경력자로,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노력하는 교사이며, 동시에 현재 국가수준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로 선정되었다. 연구 자료는 면담, 수업준비과정 및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신념으로 유아의 발달 측면 및 경험과 흥미 충족을 위해 통합교육과정을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선호하지만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한계와 어려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통합교육과정의 실제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신념을 토대로 주제와 일상생활의 연계, 주제에 따른 영역별 통합,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유아 사고의 확장을 위한 상호작용, 반성적 사고 없이 개발된 교육계획안 사용, 유아의 흥미와 요구와 상관없는 교사 주도적 활동 진행, 시간표처럼 구성된 교육계획안, 통합된 주제가 아닌 특별활동, 옴니버스식 구성의 단일 영역활동의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이는 이후의 통합교육과정의 실제화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Lickona의 통합인격교육론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 인성교육 관련 활동 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김언진 ( Kim Eon-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Lickona의 통합인격교육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통합인격교육론의 인성교육의 구성요소별로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의 주요 구성 방향인 인성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에는 통합인격교육론에서 제시한 인성교육 요소 중 도덕적 느끼기와 도덕적 행동하기의 활동 수가 도덕적 알기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인격교육론의 구성요소에 따른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생활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초등학교에 가요(54개, 14.51%)`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봄과 동식물(14개, 3.76%)`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인격교육론의 구성요소에 따른 인성교육 관련 활동을 활동역영별로 분석해 본 결과 대·소집단활동에서는 `이야기 나누기(40개, 25.84%)`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견학(2개, 1.34%)`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역할(63개, 28.2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실외(2개, 1.79%)`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통합적인 관점에서 균형 있게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Nursing Process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ckona`s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moral feelings and moral actions in the character education elements presented in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than the moral knowledg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lement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showed that `go to elementary school(54, 14.51%)` was the largest, `spring, animals and plants(14, 3.76%)` was the lowest. Third, in analyzing th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theory, `story-sharing(40, 25.84%)` wa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large group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field trip(2, 1.34%)` occupied the lowest portion. In the free choice activities, `role(63, 28.25%)`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and `outdoor(2, 1.79%)` occupied the lowest portio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윤세 ( Yoon Se Hwang ),김언진 ( Eon Jin Kim ),김경아 ( Kyoung A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21편의 논문으로 어린이집 적응 관련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어린이집에 서의 적응 전체 평균효과 크기는 1.26으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에 따른 중재변인별 효과 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출간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간 시기, 실험집단별, 연구대상 연령별, 프로그램 적용 기간별,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유아의 적응 교육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론되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ery adjustment programs. Analyzed materials were twenty-one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Doctoral theses or a peer reviewe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adjustment nurseries were selected as objects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ffect sizes of the moderating variables related to adjustment programs nurseries differed.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ffect size between publication types. Third, effect size was found to depend on the test tool used to measure creativity; when choosing a measurement tool, researchers must take the nature of the target into consideration. Adjustment programs for children have a great impact on adjustment to nurseries. Consequently, nursery adjustment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re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 관련 활동의 인성덕목 분석

        김병희(Byung-Hee, Kim),김언진(Eon-Ji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인성교육 관련 그램책 활동의 연령 및 생활주제별 빈도는 어떠한지, 연령별로 인성덕목 각각의 빈도가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주제별 그림책 관련 활동 중 인성교육 활동의 비중은 ‘우리나라’가 36개(18.7%)로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내고 ‘나와 가족’이 33개(15.6%), ‘우리 동네’가 35개(19.4%) 순으로 많은 비중을 나타냈다. 각 연령별로 만 4세가 91개(12.3%), 만 3세가 82개(12.1%), 만 5세가 72개(10.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로 인성덕목에 따른 빈도를 보면, 만 5세는 ‘협력’이 25개(31.6%)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효’가 1개(1.3%)로 가장 적게 나타났고 만 4세는 ‘존중’이 40개(43.9%)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효’가 1개(1.1%)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만 3세는 ‘존중’이 39개(47.5%)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효’가 1개(1.2%)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의 바람직한 인성함양을 위한 균형 있는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oth the frequency of age and lifestyle topics, and the frequency of character virtues by age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guide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related to picture books of lifestyle topic was shown the highest as 36 in ‘Korea’ (18.7 %), followed by 33 in ‘my family and I’ (15.6 %), and 35 in ‘our neighborhood’ (19.4 %). In each age group, 91 (12.3 %) were four years old, 82 (12.1 %) were three years old, and 72 (10.3 %) were five years old. Secon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character virtues by age, ‘cooperation’ topped the list by 25 (31.6 %) and ‘filial piety’ by one (1.3 %) for five years old, and in the age group of 4 the ‘respect’ was shown to be the largest by 40 (43.9%) and ‘filial piety’ at the least by 1 (1.1%). In the age group of 3, ‘respect’ topped the list by 39 (47.5 %) and ‘filial piety’ at the least by 1 (1.2 %).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balanced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owards desirabl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haracter.

      • KCI등재

        유아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윤세(Yoon-se Hwang),김언진(Eon-jin Kim),김경임(Kyoung-im Kim),윤미경(Mi-kyoung Y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25편의 논문으로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다문화 교육에서 특성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사회관계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별 평균 효과크기와 변인 간 평균 효과크기의 차이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효과모형에 의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1.51로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다문화 교육이 특성변인별로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출간 유형, 출간 시기, 연구 대상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차이가 있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기간, 실험 집단 인원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 교육이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사회관계 향상을 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social relationship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using the data of previous effort papers, to confirm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social relationships. Twenty-five papers, comprising Master``s or PhD theses or peer-reviewed articles that had been published from 2001 to 2015, were chosen t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acceptance for publication in the review journal. In terms of variables that affect society,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 age effect size among variables such as relaxa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sults demonstrated that, first, the magnitude of impact due to the effect of the probabilistic model calculation infant was as follows: the over all multi-cultural education demonstrated a large average effect size of 1.51 on social relationships. Second, the magnitude of impact on creativity was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region. These results have been newly discover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ing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a support system for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and teaching methods for post-modern social relationships are required.

      • KCI등재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윤세(Yoon-se Hwang),신재한(Jae-han Shin),김언진(Eon-ji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40편의 논문으로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창의성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별 평균 효과 크기와 변인 간 평균효과 크기의 차이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효과모형에 의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1.32로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 별로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출간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출간시기, 활동 영역, 연구 대상 연령, 프로그램 적용 기간, 실험 집단 인원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유아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owards this,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papers that sought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creativity. Forty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were selected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acceptance as a master’s or doctoral thesis or for publication in a peer-reviewed journal. The moderating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creativity effect are dependent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o the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the average effect siz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was found between publication types. Secondly, the size of the effect on creativity was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region. Thirdly,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depend on the test tool used to measure creativity, so when choosing a measurement tool, researchers must take the nature of the target into consideration. Taken togethe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s a great impact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 KCI등재

        COVID-19 상황을 맞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

        김병희(Kim Byung-Hee),정미애(Jeong Mi-Ae),김언진(Kim 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집합적으로 이루어지던 대학교육에 코로나-19로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그에 대처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도입된 온라인 수업을 겪은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고 2020학년도 1학기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일부터 2주간 실시 한 설문결과에 기초하여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수업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3.28점, 학습성과에 대한 효과는 3.49점으로 중상수준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로는 전문대학이 일반대학보다 높게 나타나고 학년별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4학년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를 보였다. 대학생들이 요구하는 개선방안으로 온라인 강의에서 가장 필요한 지원영역으로 멀티미디어 활용방법 및 제작 지원, 교육자료 제작비 등 예산 지원, 온라인 교수설계와 평가방법에 대한 교육 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학생에게 추천할 의향에 대한 문항과 온라인 강의를 선택 수강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강의도중 버퍼링이나 끊김현상, 음질과 같은 온라인 시스템의 개선과 실습과목에 대한 일부 대면수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시대와 4차 산업혁명의 산물로 교육계는 온라인 원격교육이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미래형 교육에 대한 모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udden online classes in college education that have been collectively made by Corona-19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For this study,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214 colleg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experienced in online class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quality of the class of college students was 3.28 points and the effe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was 3.49 points. By school type, colleges were higher than general universities, and similar levels were found by grade, but the fourth grade was relatively low. As a result of improvements required by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the support of multimedia utilization method and production support, educational materials production cost, and education support for online teaching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as the most necessary support areas in online lecture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questions about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 students and the questions about taking online lectures were relatively low., It was found that some face-to-face classes on improvements in online systems such as buffering, interruption, and sound quality during lectures and practical courses were desired., This is the product of the post-corona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and the educational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education at the present time when online remote education is expected to be the main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