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산ㆍ학ㆍ연 논단] 당뇨병연구를 위한 유전학적 접근 :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

        김양하(Yangh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산업과 영양 Vol.4 No.3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is characterized by insulin resistance and impaired insulin secretion. The transgenic technology, in which a specific gene can be introduced or deleted to study its function, has been established. A number of transgenic mice, altered the expression of genes potentially involved in insulin action or pancreatic β-cell function,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address questions concerning NIDDM. Transgenic mice model may help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complex patho-physiologies of NIDDM. This review outlines the new insights obtained from the studies of transgenic mice that overexpress or show decreased expression of putative key gene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pancreatic β-cell function, therefore in the control of glucose homeostasis.

      • KCI등재
      • KCI등재

        초기진단 고지혈증 환자의 식습관 조사와 양파가루 섭취가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경혜(Kyung-Hea Lee),김양하(Yangha Kim),박은주(Eunju Park),조성래(Sungra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에서는 고지혈증 판정을 받은 40~50대 남성 14명에게 12주 동안의 양파가루 섭취가 고지혈증의 완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파섭취 전과 후의 식이조사, 식생활조사, 식습관 조사 및 혈 중 지질의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고지혈증 환자의 대부분이 식사 시에 ‘콜레스테롤’, ‘지방’을 주의한다고 하였다. 건강유지 방법으로는 주로 ‘운동’을 생각하고 있었다. 지방 식품의 섭취빈도는 ‘기름이 많은 고기 버터, 생크림’은 ‘1주일에 3~5일(12명)’, ‘계란노른자, 어육류 내장, 오징어’는 ‘1주일에 3~5일’(9명), ‘기름이 많은 음식, 마요네즈’는 1주일에 3~5일’(8명)로 나타났다. 열량영양소의 섭취비율은 고지혈증 치료지침에 비하여 당질은 낮게, 지방과 콜레스테롤은 다소 높게 섭취하고 있었다. 조사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외식 빈도의 증가에 따라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p<0.01)으로, 알코올 섭취량은 BMI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운동의 경우 HDL-콜레스테롤에는 양의 상관성(p<0.01)을, AI에는 음의 상관성(p<0.05)을 보이면서 영향을 주었다. 양파가루 섭취 후의 건강의 느낌 변화 및 기대에서는 대부분의 환자들(12명)이 건강이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앞으로도 양파가루를 계속 섭취하겠다고 응답한 환자는 8명이었다. 양파가루 섭취로 환자의 체성분에서 어떤 유의적인 변화도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양파가루 섭취로 총 콜레스테롤(p<0.01)과 LDL-콜레스테롤(p<0.01) 및 동맥경화지수(p<0.05)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GOT와 GPT는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루의 보충 섭취가 고지혈증 환자들에서 혈중 지질수준과 동맥경화지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록 정상 범위의 값을 보이고 있었으나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은 유의해야 할 점이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환자들만을 상대로 12주간의 중재기간을 통한 실험을 하였으나 짧은 기간이었고, 위약군을 실시하지 못하여 양파의 충분한 효과를 논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분명히 있다. 다만 다른 식생활의 변화나 약물의 사용 없이 양파가루의 섭취만으로 혈중 지질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은 양파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은 보여준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더 많은 실험대상자들을 상대로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교를 통한 장기간의 임상실험을 통하여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reeze-dried onion powder (OP) which contains rich in quercetin (22 ㎎/10 g) on hyperlipidemic participants. Fourteen participants (total cholesterol level in plasma 270.8±21.4 ㎎/dL) 40~59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as hyperlipidemia by a physician at Fatima Hospital in Changwon took part in this study for 12 weeks. We investigated the anthropometric data and dietary habit by using questionnaires. Also,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in fasting before and after this 12 weeks intervention study. 78.6% of the patients showed interest in health diet management and weight control; however, they also showed some problems in their dietary habit (meal irregularity, food choice, calorie nutrient balance, high fat and cholesterol etc.) and life style (smoking, eating out, alcohol intake) that could have adverse effect on hyperlipidemic therapy. Most participants (85.7%) thought that OP was good for their health. Th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OP intake. The HDL-cholesterol increased and the Atherogenic index (AI)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ing the correlations of dietary habit and life style with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the alcohol intake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eating out and body mass index (BMI). Exercise leve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DL-cholesterol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therogenic index (A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ake of polyphenol rich onion may decrease the risk of hyperlipidemia by reducing cholesterol level. We consider these hypolipidemic effects of OP as a possible functional food. However, further research such as a well designed longterm clinical study with experimental and placebo groups is needed.

      • KCI등재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특성에 관한 연구

        유현정(Yoo HyunJung),김양하(Kim Yangha)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6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조사하고,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의 특성과 성별과 연령별에 따른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 17%, 여자 4.5%로 전체 평균 10.3%를 나타냈다. 2)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정상군 39.0세, 대사증후군 42.8세였으며, BMI는 정상군 22.5 kg/㎡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등이 27.5 kg/㎡로 대사증후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1). 혈당, 중성지방, 이완기 혈압에서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3) 영양소 섭취에서 열량은 정상군 1699.5 kcal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이 2047.1 kcal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01), 동물성지방 (p < 0.01), 콜레스테롤 (p < 0.001), 나트륨 (p < 0.05)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을 나타냈다. 4) 성별에 따라서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의 특성은 남녀 모두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대상자들의 열량섭취가 높았다. 남자는 지방 (p < 0.05), 콜레스테롤 (p < 0.01)에서, 여자는 탄수화물 (p < 0.05), 단백질 (p < 0.05)에서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이 높은 섭취량을 나타냈다. 5) 연령별에 따라서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의 특성을 살펴보면 30대는 열량, 동물성지방, 콜레스테롤에서, 40대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에서, 50대는 열량, 탄수화물, 식물성지방에서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전체대상자의 영양소 섭취 특성은 총열량, 동물성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에서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대상자들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and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S subjects by gender and age. The subjects were 957 (447 men and 510 women) who visited medical center for regular medical check-up. The diagnosis of MS subjects was adapted from NCEP-ATPⅢ with blood glucose,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blood pressure and Aisa-Pacific definition with waist-circumferenc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practiced, then the nutrient intake analysis was assessed through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MS prevalence of all subjects was 10.3% in average -17% in men and 4.5% in women, respectively. The energy intake in MS group was 2047.1 kcal and 1699.5 kcal for normal group,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in M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For intakes of anim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M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In respect of gender, men subjects of M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intakes than normal group for energy, fat, and cholesterol. Women subjects of MS group showed higher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For 30s, MS group showed higher intakes of energy, animal fat, and cholesterol than normal group. Fat and cholesterol for 40s and energy, carbohydrate, vegetable fat for 50s, M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akes than normal group. In summary, MS group showed higher intakes of energy, animal fat, cholesterol, and sodium than normal group. (Korean J Nutr 2008; 41(6): 510 ~ 517)

      • KCI등재

        폐결핵 환자의 입원기간동안 영양상태 변화 연구

        유현재(You Hyunjai),김양하(Kim Yangha)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7

        본 연구는 폐결핵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기간 동안의 영양상태 변화를 평가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7.3세였으며, 폐결핵 유병기간은 평균 11.2개월로 대상자의 58.5%가 유병기간 3개월 이하의 초기발병환자였고, 대상의 73.1%가 처음 입원한 환자였다. 입원기간은 평균 112.4일로 약 4개월 정도의 입원치료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입원 시점의 영양 상태는 평균 신장 168.9 ㎝, 체중 52.6 ㎏으로 한국인 성인남성의 표준 키, 체중과 비교하여 키는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성인 남성 표준치의 약 76%에 불과하였으며, 체질량지수 역시 평균 18.4 ㎏/㎡로 전체 대상의 53.8%가 저체중 상태였다. 생화학적 지표로 혈중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은 각각 12.3 g/dL, 35.4%로 정상 수치보다 낮았고, 혈청알부민 수치는 3.5 g/dL로 경계치 수준이었으며, 총 단백질 수치는 7.2 g/dL로 정상범위였다. 3) 평균 체중은 입원 시 52.6 ㎏에서 입원 3개월 후 56.5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체질량지수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01). 혈중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알부민, 총 단백질의 수치 역시 모두 입원 시점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p < 0.001)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4) 입원기간 중 체중 및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량을 각 요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증가량은 감소하여, 특히 60세 이상 연령의 환자들의 증가량은 29세 이하와 30대 환자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고, 입원 시의 체질량지수가 18.5 ㎏/㎡ 미만인 저체중그룹의 증가량이 정상체중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입원기간 동안 식이섭취 정도가 보통 또는 양호한 그룹에서의 증가량이 섭취불량 환자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5) 연령이 낮은 그룹에서는 식사섭취가 양호한 환자의 비율이 높았고, 연령이 높은 그룹에서는 식사섭취가 불량한 환자의 비율이 높아 저 연령의 환자일수록 제공식사 섭취량이 높았다. 입원기간 동안의 식사섭취가 불량한 그룹은 식사섭취가 보통이거나 양호한 그룹과 비교하여 평균연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유병기간은 짧았으며 입원기간이 긴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폐결핵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의 입원시점의 영양 상태는 일반적으로 취약한 상태로 영양적 중재가 필요하며, 입원기간 동안의 영양상태의 변화는 환자의 연령과, 입원시점의 체질량지수, 입원기간 동안의 식이섭취 등과 관련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 of nutritional status and to analyze related factors in hospitalized tuberculosis (TB) patients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The subjects were 398 men patients (mean age: 47.3 ± 14.4 y) who had hospitalized more than 3 months at TB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anthropometric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were measured, and dietary intakes were assessed.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body weight of subjects was about 76% of the average body weight of Korean men with same age,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as 18.5 ㎏/㎡, and 53.8% of subjects were under weight status. Average level of blood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subjects was lower than the normal value. After 3 months of hospitalization period, th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admission by 3.9 ㎏ (7.41%) and 1.4 ㎏/㎡ (7.61%)(p < 0.001), respectively. Blood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albumin, and total protein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months of hospitalization period compared to admission (p < 0.001). The increment in the body weight and blood indic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elow 29 years group than over 60 years group (p < 0.05). The increment in th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body weight group compared to the normal-body weight group (p < 0.05). In conclusion th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of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3 months of hospitalization period, and the age and body weight of subjects at admission were supposed to influenc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nutritional status.

      • KCI등재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체중 감량에 대한 인식 조사

        두미애(Doo Mi Ae),김양하(Kim Yangha)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7

        본 연구는 체격, 체중감량 목표 및 개념, 지식정도 등의 체중감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성 39.9세 여성 39.3세였고, 신장, 체중과 BMI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p<0.05)를 나타내였다. 2) 비만도의 분포는 연령이 높고 남성의 경우 과체중과 비만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3)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연령이 낮거나 여성의 경우 체중이 저체중이거나 정상체중임에도 불구하고 희망체중은 낮아 왜곡된 체형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4) 체중감량에 대한 목표는 연령이 낮을수록 외모적 이유로,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의 이유라고 대답하였다 (p < 0.05). 체중감량 개념에 대해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약간 마르거나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인식한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정상 체중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는 “병에 걸리지 않도록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라고 대립하여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p < 0.05). 5) 체중감량과 식습관, 운동 및 영양지식과 같은 체중감량에 관한 지식에 관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총 정답률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물도 살을 찌게 한다”라는 문항은 68.5%의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은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라는 문항에 91.7% 의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성별, 연령별에 따라 체중감량에 대한 인식 · 목적 · 희망체중감량 목표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체중감량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 개발 시 성별, 연령별로 특화된 맞춤형 영양교육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mong current health-related issues, obesity is considered one of the foremost, and the importance of this subject has fostered a national interest in body weight los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re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0 (male: 360 and female: 360) aged between 10 - 60 years, who had experienced to try body weight loss during 6 months prior to this study. Anthropometries,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reasons for body weight loss, comprehension of body weight loss, and a knowledge of diet-related issues were assess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body weight (present and desired) and BMI (p < 0.05) by age and gender. The difference between desired body weight and actual body weight was greater for younger subjects or fema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under- or normal body weight (p < 0.05). Reasons for body weight loss varied; younger subjects and female tended to lose body weight "to enhance their appearances", whereas the older subjects and male desired "to improve their health" (p< 0.05). Subjects had different concepts concerning body weight loss; younger subjects and female considered body weight loss as "maintenance of a slender figure, or becoming more lean". On the other hand, older subjects and male thought body weight loss to be "effects approaching normal body weight" (p < 0.05). From our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attitude on concerning body weight loss varied according to a age and gender. Thus, consideration of this individual differences would be vital in developing contents of a particula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body weight loss.

      • KCI등재

        Isorhamnetin의 근육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막순(Mak-Soon Lee),김양하(Yangha K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4

        Purpose: Muscle mitochondria play a key role in regulating fatty acid and glucose metabolism. Dysfunction of muscle mitochondria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sorhamnetin (ISOR), also known as 3-O-methylquercetin, a quercetin metabolite, is a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in many plan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ISOR on the regulation of the mitochondrial function of C2C12 muscle cells. Methods: C2C12 muscle cells were differentiated for 5 days, and then trea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ISOR. Cytotoxicity was determined by assessing cell viability using the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8 assay principl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SOR and time points. Levels of the mitochondrial DNA (mtDNA) content and gene expression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itrate synthase (CS) activity was quantified by the enzymatic method. Results: ISOR at a concentration of 10 μM did not show any cytotoxic effects. ISOR increased the mtDNA copy number in a time- or dose-dependent manner. The messenger RNA levels of genes involved in mitochondrial function,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1α, and uncoupling protein 3 were significantly stimulated by the ISOR treatment. The CS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time- or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SOR enhances the regul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which was at least partially mediated via the stimulation of the mtDNA replication, mitochondrial gene expression, and CS activity in C2C12 muscle cells. Therefore, ISOR may be useful as a potential food ingredient to prevent metabolic diseases-associated muscle mitochondrial dysfunction.

      • KCI등재

        녹차 및 커피 음용과 혈중 지질 성상과의 관계

        최소영(So Young Choi),김양하(Yangh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9

        본 연구는 국내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녹차와 커피를 섭취하는 군에서의 식이 섭취 상태를 분석하고, 녹차와 커피가 혈중 지질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 되었다. 전체 대상자의 남여 비율은 56.1%, 43.9%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고, 전체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40대와 50대가 전체의 80% 수준을 차지했다. 남자 대상자의 대조군, 녹차섭취군, 커피섭취군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 체질량지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자 대상자의 세 군 비교 결과 신장, 체지방률, 허리둘레, 체질량지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체중에서 커피섭취군이 대조군과 녹차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남녀 모두 총 에너지 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남자 대상자의 경우 지방섭취량에서 녹차섭취군과 커피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Atherogenic Index, Cardiac Index에서 녹차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차섭취군이 커피섭취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녹차와 커피 섭취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의 비교 결과, 녹차의 섭취가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커피의 섭취는 혈중 지질성상 중 총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or coffee consumption on the serum lipids profile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1,343 participants (753 males and 590 females) among the people who underwent medical check-up. The subjects were divided by three groups as pattern of green tea or coffee consumpti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iochemical analysis and nutrient intake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height, %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energy intake. Fat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een tea and coffe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men subjects. The intakes of dietary Fe, vitamin A, β-carotene, and folate was the lowest in coffee group (p<0.05). The intakes of dietary fat was the highest in coffee group in male subjects (p<0.05).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green tea< control< coffee group in order by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een tea group than coffee group by multivariate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between green tea an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tea consumption didn't show positive effects in preventing hyperlipidemia but coffee consumption showed negative effects in hyperlipidemia.

      • KCI등재

        PGC-1α 형질전환 생쥐에서 마늘 분말의 체지방 감소 효과

        이막순 ( Mak-soon Lee ),김양하 ( Yangha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ody fat-lowering effect of garlic powder 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 α (PGC-1α)-luciferase transgenic mice (TG). In this study, we generated transgenic mice with a PGC-1α promoter (―970/+412 bp) containing luciferase as a reporter gene. Mice were fed a 45% high-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ity. Subsequently, mice were maintained on either a high-fat control diet (CON), or high-fat diets supplemented with 2% (GP2) or 5% (GP5) garlic powder for an additional 8 weeks. Dietary garlic powder reduced the body weight in the GP2 and GP5 groups, compared to the CON group. Furthermore, garlic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eptin in the GP5 group, compared to the CON group. Specifically, luciferase activity in liver, white adipose tissue (WAT), and brown adipose tissue (BAT) was increased by garlic supplement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fat-lowering effect of garlic powder might be related to PGC-1α by the increase in luciferase activity in liver, WAT, and BAT. Furthermore, transgenic mice might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body fat-lowering effect of various health functional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