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 동부지역 저지대 시추코어 화산암류의 암석화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고기원,박준범,박윤석,Koh, Gi-Won,Park, Jun-Beom,Park, Yoon-Su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1

        제주도 동부 저지대 (해발 200m 이내), 한동-종달-우도-수산-삼달-하천 지역의 20개 시추공에서 얻어진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징과 $^{40}Ar/^{39}Ar$절대연대를 보고하고, 이에 근거하여 이 지역의 지형형성과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이 지역의 지하에 분포하는 화산암류는 주로 현무암류(알칼리 현무암, 전이질 현무암, 솔리아이트질 현무암)와 솔리아이트질 안산암 및 현무암질 조면안산암으로 구성된다. 솔리아이트질, 전이질 및 알칼리암류가 서로 호층을 이루어 분포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이들 화산활동이 동시에 일어났었음을 지시한다. 특히, 조면현무암 혹은 현무암질 안산암이 이 지역의 기저부에 분포하는 점은 비교적 분화된 알칼리 화산활동이 먼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의 $^{40}Ar/^{39}Ar$ 절대연대는 최고 $526{\pm}23Ka$에서 최저 $38{\pm}4Ka$이다. 동부 지역 저지대에서 용암류의 분출과 같은 하와이형 화산활동은 퇴적층의 관계, 화산암류의 전암 화학성분 및 $^{40}Ar/^{39}Ar$ 절대연대의 변화로 부터 다섯 단계로 구분된다. 즉, 서귀포층이 퇴적할 동안의, I-U기$(550{\sim}400Ka)$, II기$(400{\sim}300Ka)$, III기$(300{\sim}200Ka)$와 퇴적 이후 IV기$(200{\sim}100Ka)$, V기(100Ka이후)이다. 화산암류의 성분 변화 및 분포 지역의 차이 그리고 이들 시기 간에 분포하는 다양한 퇴적층(수성화산기원퇴적층 포함)의 존재는 화산활동이 오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지대의 육지지형이 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에 의해 내륙에서 해안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특히 시추코어 화산암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제주도 동부 저지대 지역 대부분이 IV와 V 화산활동기 동안 분출된 200Ka 이내의 비교적 젊은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및 지형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며, 화산암류의 K-Ar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구분이 재고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에 근거한 화산 층서의 해석은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과 함께 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presents petrochemistry and $^{40}Ar/^{39}Ar$ absolute ages of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from twenty(20) boreholes in the eastern lowland (altitude loom below) of Jeju Island, Handeong-Jongdal-Udo-Susan-Samdal-Hacheon areas, and discusses topography and volcanism in the area. The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are mainly basalts in composition with minor tholeiitic andesites and basaltic trachyandesites. Sequences of intercalated tholeiitic, transitional and alkalic lavas suggest that tholeiitic and transitional to alkalic lavas must have erupted contemporaneously. Especially, occurrences of trachybasalts and basaltic trachyandesites at the bases in the area imply that the volcanism in the area was initiated with slightly differentiated alkaline magma activity. The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range from $526{\pm}23ka\;to\;38{\pm}4Ka$. The lava-forming Hawaiian volcanic activities of the eastern lowland can be divided into five sequences on the basis of sediment distribution, whole rock geochemistry and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stage I-U$(550{\sim}400Ka)$, stage II$(400{\sim}300Ka)$ and stage III$(300{\sim}200Ka)$ during syn-depositional stage of Seoguipo Formation, and stage IV$(200{\sim}100Ka)$ and stage V(younger than 100Ka) during post-depositional stage. In the eastern lowland of Jeju Island, compositional variations and local occurrences of the subsurface volcanic rocks as well as existences of various intercalated sediment layers (including hydrovolcanogenic clasts) suggest that the volcanism must have continued for long time intermittently and that the land has been progressively glowed from inland to coast by volcanic activities and sedimentation. It reveals that the subsurface volcanic rocks in the eastern lowland of Jeju Island must have erupted during relatively younger than 200Ka of stages IV and V.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artly in contras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tresses the need that previous reported volcanic activities in Jeju Island based on K-Ar ages of volcanic rock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that stratigraphic correlation from boreholes should be conducted by quantitative criteria combined with petrography and petrochemstry as well as radiometric studies of volcanic rock cores.

      • KCI등재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II): $^{40}Ar/^{39}Ar$ 절대연대자료에 근거한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 기록

        고기원,박준범,Koh, Gi-Won,Park, Jun-Beo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2

        2001년부터 제주도 전역의 중산간 이하 저지대에서 시행된 69개 시추공으로 부터 획득된 시추 코어 용암류와 66곳의 노두에서 분석된 전암 암석화학 및 전암 $^{40}Ar/^{39}Ar$ 절대연대 자료(539개)를 검토하여, 그 중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 산물로 확인되는 20개의 자료를 보고한다. 시추공 중 남부와 남서부의 법호천공(고도 235 m, 섬도 210 m), 돈내코공(고도 240 m, 심도 230 m), 동홍S공(고도 263 m, 심도 270 m), 05동흥공(고도 187.6 m, 심도 340 m), 도순공(고도 305 m, 심도 287 m), 상예공(고도 230 m, 심도 260 m), 무릉1호공(고도 10.2 m, 심도 160 m), 가파공(고도 17.5m, 심도 92m)에서만 확인되었고, 노두 중에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산방산, 월라봉, 원만사, 각수바위 지역에서 재확인하였다. 이들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1 Ma-0.7 Ma를 나타내어,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시기 및 그 지화학적 특정을 규제할 수 있다. 특히 05동홍공의 심도 143~137 m와 135~123 m 구간에서 조면현무암 성분인 용암으로 부터 각각 $992\pm21$ Ka와 $988\pm38$ Ka인 가장 오래된 연대를 보고한다. 이 연구는 제주도 형성 초기의 용암분출이 약 1 Ma 경 조면현무암질 용암 분출로 시작하여, 이후에 약 0.9-0.7 Ma 기간 동안 주로 조면암-조변안산암-현무암질 조면안산암 성분을 지닌 용암류의 용암 돔 형성 그리고 간헐적인 알칼리현무암 및 조면현무암질 용암의 분출로 진행하였음을 제시한다. 산방산, 각수바위 등 현재 지표에 노출되어 돔상 지형을 이루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초기 용암류는 지표 하에서 서귀포층에 협재하거나 피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제주도 형성 초기 용암 분출이 간헐적이며 국지적이었고, 주변에서 수성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이 동시에 진행되었음을 지시한다. We report twenty data for early lavas erupted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formation of Jeju Island on the basis of review on 539 data of whole-rock greochemistry and $^{40}Ar/^{39}Ar$ age dating out of mainly core samples from 69 boreholes drilled in the lower land since 2001 and 66 outcrop sites. Out of 69 boreholes, the early lava flow units are identified from samples collected from Beophocheon (EL 235 m, 210 m deep), Donnaeko (EL 240 m, 230 deep), Donghong-S (EL 187 m, 340 m deep), 05Donghong (EL. 187.6 m, 340 m deep), Dosoon (EL 305 m, 287 m deep), Sangye (EL 230 m, 260 m deep), Mureung-1 (EL 10.2 m, 160 m deep), and Gapa (EL 17.5 m, 92 m deep),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ern and southwestern portion of Jeju Island. While, the well-known outcrops from Sanbangsan, Wolrabong, Wonmansa, and Kagsubawi are also reconfirmed. $^{40}Ar/^{39}Ar$ age dating results of these lavas range from 1 Ma to 0.7 Ma, indicating that the data can be useful to constrain on ag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lava effusion period in the formation of Jeju Island. Especially, samples with trachybasalt in composition collected from 143 m to 137 m, and from 135 m to 123 m below ground surface at 05Donghong hole have the oldest ages, $992\pm21$ Ka and $988\pm38$ Ka,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Jeju Island the first lava with trachybasalt in composition may have effused around 1 Ma ago, and the effusion style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vas must have changed to the formation of lava domes with trachyte-trachyandesite-basaltic trachyandesite and the eruption of lavas with alkali basalt and trachybasalt intermittently during the period from 0.9 Ma to 0.7 Ma ago. It also indicates that the initial lava flows below the ground are intercalated with or underlain by the Seoguipo Formation except for several exposed domal structure areas such as Sanbangsan and Kagsubawi, implying that the early lava effusion may have intermittently and sporadically occurred with nearby hydrovolcanism and sedimenta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I):

        고기원(Gi Won Koh),박준범(Jun Beom Par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1

        이 연구는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가파도와 마라도를 구성하는 용암류에 대한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를 포함한 암석학적 특징을 보고하고 그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가파도의 용암류는 판상절리가 발달되어 있고 담황색 내지 담회색을 띠는 비현정질 부분과 진회색의 괴상질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암질에 따라 차별적 풍화 침식을 받았다. 한 편, 마라도의 용암류는 비록 용암단위별로 그 조직이 미약한 차이를 가지지만, 주로 다공질 혹은 취반상 조직의 용암 류이다. 시추코어의 지화학 자료는 가파공의 경우 현무암질 조면안산암(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이, 마라공은 솔리아이트질 안산암(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가 파도 암류의 40Ar-39Ar 절대연대는 824±32 Ka에서 758±9 Ka로서, 인접한 산방산 조면암(Won et al., 1986)에 대비된 다. 한편, 마라도의 것은 259±168 Ka로서, 비록 오차 범위가 넓어 정확한 연대를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인접한 덕수 공과 상모2호공에서의 암석 성분과 연대 관계를 고려하면 260-150 Ka기간 동안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암 류의 산상, 인접 시추공과의 대비 및 해수면하의 지형을 고려하면, 제주도 남서부 지역에서 가파도는 산방산 조면암 의 분출시기와 유사한 시기에 화산활동으로 한편, 마라도는 이후 260-150 Ka기간 동안 화산활동에 의해 각각 육상 환 경에서 독립된 화산체를 이루었으며, 이후 해침에 의해 침식이 많이 진행되어 현재의 형태를 이루었음을 지시한다. We report petrologic characteristics including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lavas recovered from borehole cores in two islets, Marado and Gapado,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Jeju in southernmost Korea and discuss on the volcanism in the region. The lavas in Gapado are apparently divided into one unit with bright colored, aphanitic texture and sheet jointed, and another unit with dark colored and massive. The outcrops often show differentially weathered pattern due to textural difference. While, the lavas in Marado have vesicular and glomerporphyric texture, even though each lava flow unit in Marado has slight unique texture with variation of vesicularity and phenocrys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ock core samples from Gapa borehole and Mara borehole shows that the lavas from Gapado and Marado are classified into basaltic trachyandesite(SiO2 52.6-53.6 wt%, Na2O+K2O 7.3-7.5 wt%) and tholeiitic andesite(SiO2 51.7-52.8 wt%, Na2O+K2O 3.6-4.1 wt%), respectively. The measured 40Ar-39Ar plateau ages range from 824±32 Ka(MSL -69 m) to 758±9 Ka(MSL 19 m) for core samples of Gapa borehole and 259±168 Ka(MSL -26 m) for a core sample of Mara borehole, respectively. The absolute age of Gapado basaltic trachyandesite is well correlated with that of Sanbangsan trachyte(Won et al., 1986). Meanwhile, the age of a sample in Marado has 259±168 Ka(MSL -26 m) with poor plateau age formation and high error range. We report the data in caution but the rock composition and absolute age of Marado tholeiitic andesite are rel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of lava units from Duksu and Sangmo-2 boreholes, indicating the volcanism during 260-150 Ka.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occurrences of exposed and subsurface volcanic rocks of the study area, stratigraphic relationship with adjacent borehole cores and the bathymetry chart of surrounding area, it indicates that the lavas in Gapado were formed around 800 Ka during relatively early stage of volcanic activity in Jeju Island. Meanwhile, Marado may have originated around 260-150 Ka during relatively young stage of volcanism in Jeju Island. It is inferred that the volcanisms have originated in land and these islets were individual ancient volcanoes. The apparent topography has been re-shaped by tidal erosion due to transgress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