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주어 방향어의 의미 확장 연구 -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

        고경재 ( Koh¸ Kyeong-jae ),남향림 ( Nam¸ Hyang-rim ),문현수 ( Moon¸ Hyun-soo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고는 만주어 방향어를 의미론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주어 방향어는 형태나 의미 면에서 흥미로운 양상을 보여준다. 먼저 형태 면에서 만주어 방향어는 대부분 파생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즉, 만주어의 거의 모든 방향어는 어근에 접미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방향어를 파생시키는 접미사를 중심으로 각 접미사들이 어떤 방향 의미를 파생시키는지를 살펴보면서, 개별 방향어들이 기본적으로 어떤 방향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하였다. 한편, 만주어 방향어들은 방위나 시간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언어에서도 나타나는바, 본고에서는 여러 언어에서의 의미 확장 양상을 함께 제시하면서 만주어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의미 확장이 일어나는 이유를 해석해 보았다. 만주어 방향어의 의미론적 특성을 살핌에 있어 본고에서 주로 사용한 자료는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 『한청문감(漢淸文鑑)』 등의 만주어 사전류이다. 이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자료이다. 그러나 이들 자료는 당시 사람들이 만주어 방향어의 의미를 어떻게 파악하였는지를 알려주는 자료이므로, 만주어 방향어 의미 도출을 위한 1차적인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는 이들 만주어 사전류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자료에서 만주어 방향어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만주어 방향어의 의미론적 양상을 해석해 보았다. 본고를 통해 만주어 방향어의 의미론적 특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mplate the Manchu language direction words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The Manchu language direction words show interesting aspects both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First of all, morphologically, almost all of the Manchu language direction words are derivative words. In other words, almost all of the direction word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ffixes are combined in the root. Therefore, this paper revealed how individual direction words are formed, and looked at what the individual direction words basically mean. On the other hand, semantically, the Manchu language direction words were also used to express the meaning of bearing and time. This phenomenon also occurs in other languages, and vary depending on language, region and time. In this paper, based on the pattern of meaning extension in various languages, we interpreted why meaning extension takes place in a particular way in Manchu language. The materials used in this paper are Manchu dictionary of 『御製增訂淸文鑑(Yuzhi Zengding Qingwenjian)』, and 『漢淸文鑑(Hancheng Mungam)』. This is data that has not been noted much in previous studies, and we think that by analyzing Manchu direction words through these data, we can gain a clearer picture of Manchu direction words.

      • KCI등재

        15세기 국어 ‘특수 어간 교체’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 주로 후음 ‘ㅇ’의 음가와 ‘흔적’을 중심으로 -

        고경재(Kyeong-Jae Koh)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2 No.-

        본고에서는 15세기 국어에서 나타나는 특수 어간 교체형들을 음운론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 특수 어간 교체형들을 형태·의미론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입장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보았다. 3장에서는 음운론적 해석을 위한 전제로 15세기 국어 ‘ㅇ’의 음가와 종성 ‘ㅿ’의 음가를 다루어 보았다. ‘ㅇ’과 관련해서는 『訓民正音』의 ‘ㅇ’ 관련 규정과 『朝鮮館譯語』의 표기, 그리고 기타 몇 가지 점을 검토하여 ‘ㅇ’에는 음가가 없는 것으로 보았으며, 종성 ‘ㅿ’과 관련해서는 기존 논저를 참고하여 [tㄱ]로 중화되었다기보다는 그대로 실현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놀이’[獐], ‘아’[碎]와 같은 어형이 [nol$i]([nol][i]), [pʌz$a]([pʌz][a])와 같이 실현된 것으로 보았다. 이 같은 어형 및 발음은 15세기 이전에 일어났던 /*ㄱ/ 탈락의 ‘흔적’이 일정 기간 유지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국어사적으로 ‘흔적’이 어형 및 발음의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예를 통해 이 같은 해석이 타당할 수 있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phonologically interpret some special stem alternations appearing in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To this end, in Chapter 2, I raised questions about the stance which interpreted special stem alternations morpho-semantically. And as a premise for phonological interpretation, in Chapter 3, I dealt with the phonetic value of ‘ㅇ’ and the final consonant[終聲] ‘ㅿ’ in the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3, in this paper concluded that ‘ㅇ’ had no sound value, and the final consonant ‘ㅿ’ was not neutralized with [tㄱ], but was realized as it was. Based on this discussion, in Chapter 4, I saw that words such as ‘놀이’(deer) and ‘아’(break) were phonologically realized as [nol$i]([nol][i]), [pʌz$a]([pʌz][a]) in 15th century Korean. This form and pronunciation appeared because the ‘trace’ of /*ㄱ/(/*k/) deletion which occurred before the 15th century wa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KCI등재

        문법화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고경재(Koh, Kyeong-Jae)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4 No.-

        본고는 문법화를 둘러싼 쟁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화를 ‘덜 문법적인 형식’이 ‘더 문법적인 형식’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볼 때, 본고에서는 문법화의 결과인 ‘더 문법적인 형식’ 안에는 ‘실질형태소’도 포함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법형태소와 문법형태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문법형태소가 만들어진 경우는 문법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문법화’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문법화가 끊임없이 진행되면 최종적으로 해당 형태는 공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문법형태소>공형태의 변화는 문법화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형태는 결국 어기의 일부로 인식되므로, 공형태로의 변화는 어휘화와도 밀접히 관련된다. 여기서 문법화와 어휘화 간 접점이 마련된다. 어휘화도 문법화 논의에서 쟁점이 된다. 어휘화가 문법화의 전제가 된다(Lehmann 2002)는 논의도 있고, 어휘화는 문법화의 결과(고영진 1997)라는 논의도 있으며, 최근에는 어휘화는 문법화의 반대가 된다는 논의나 어휘화는 역문법화와 같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어휘화, 역문법화, 문법화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문법화의 반대가 되는 현상은 ‘역문법화’이며, ‘어휘화’는 ‘역문법화’를 포함하는 과정이기는 하지만 ‘역문법화’와 ‘어휘화’는 다른 과정이기 때문에 ‘문법화의 반대=어휘화’라는 도식은 성립될 수 없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issues of grammaticalization theoretically. If we consider the grammaticalization as the change from ‘the less grammaticalized form’ to ‘the more grammaticalized form’, ‘the more grammticalized form’ could have ‘lexical morphemes.’ In addition, If the two grammatical morphemes fused together to one grammtical morpheme, that change is not ‘grammaticalization’ but ‘morphologization.’ If the grammaticalization constantly progresses, the ‘empty morpheme’ rises. So the change ‘grammatical morpheme > empty morpheme’ is considered to be grammaticalization. But the empty morpheme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part of the stem, the change ‘grammaticalization > empty morpheme’ is related to ‘lexicalization’ as well. Here, we could recognize the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have the point of contact.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ation among lexicalization, degrammaticalization, and grammaticalization, and derived a conclusion that the degrammaticalization is the reversal of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includes degrammaticalization but lexicalization is a different process from degrammticalization, so ‘the reversal of grammaticalization=lexicalization’ is not correct.

      • KCI등재

        『훈민정음』의 각자병서자와 전탁음의 음가에 대한 재론

        김유범(Kim Yu-Pum),고경재(Koh Kyeong-Jae)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본고는 이른바 각자병서자의 문자적 특성과 쓰임을 토대로 전탁음의 음가적 특성과 역사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각자병서자의 음가가 무엇이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는 『훈민정음』에서 각자병서자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15세기에 각자병서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각자병서자의 음가 파악에 기초가 되는, 전탁음의 음가와 역사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각자병서자의 음가에 대해 크게 유성음설과 경음설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각자병서자는 기본적으로 전탁음의 유성음 표기를 지향하여 만들어졌지만 실제로는 경음으로 실현되었다고 결론하였다. ‘ㆅ’의 경우에는 ‘ㅎ’의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등을 근거로 실제로는 경음이 아닌, 무성음 [h]로 실현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honetic value of the Double Consonantal Letters. To that end, Chapter 2 looked at how each Double Consonantal Letter was stipulated in the Hun-min-jeong-eum, and how each Double Consonantal Letter was used in the 15th century. Since each Double Consonantal Letter was made for the transcription of Chinese Voiced Obstruent and was mainly used for the writing of Chinese Voiced Obstruent, Chapter 3 looked at the phonetic value and historical changes of Chinese Voiced Obstruent. Based on what was discussed up to here, Chapter 4 discussed whether the phonetic value of each Double Consonantal Letter should be regarded as a voiced sound or a fort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ach Double Consonantal Letter was originally designed for the phonetic value of the Chinese Voiced Obstruent, but was actually realized as a fortis sound. However, the ‘ㆅ’ would have been realized with a voiceless sound [h] rather than a fort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fortis of [h] does not exist.

      • KCI등재

        『만독사전』(2007)의 만주어 혼성어 분석 오류 고찰 ―『어제증정청문감』의 뜻풀이를 중심으로―

        남향림 ( Nam,Hyang-lim ),문현수 ( Moon¸ Hyun-soo ),고경재 ( Koh¸ Kyeong-ja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본고에서는 『만독사전』(2007)에 혼성어로 분류한 표제어들을 모두 검토하여 분석 오류로 생각되는 혼성어의 목록과 올바른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들이 보다 정밀한 만주어 혼성어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만독사전』(2007)의 혼성어 분석 오류는 대체로 그 형성어의 일부를 누락한 경우와 잘못된 형성어를 제시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형성어 일부를 누락한 오류는 한어 형성어 일부를 누락한 경우와 만주어 형성어 일부를 누락한 경우, 한어 및 만주어 형성어 모두를 누락한 경우로 나뉜다. 한어 형성어를 누락한 경우는 ‘tildargan’을 ‘題肩+baldargan’이 아니라 ‘題+baldargan’로 분석한 것과 같이 2자 한어로 분석되어야 하는 것을 1자 한어로만 분석한 경우가 많고, 만주어 형성어를 누락한 경우는 ‘gungkeri’를 ‘gu+šungkeri ilha’가 아니라 ‘gu+šungkeri’로 분석한 것과 같이 구로 분석되어야 하는 것이 단어로 분석되어 있는 것이 많았다. 또 한어와 만주어 형성어를 모두 누락한 경우는 ‘furhun’과 같이 ‘鶝䲹+indahūn cecike’가 아니라 ‘鶝+indahūn’로 분석된 경우가 있었다. 한편, 잘못된 형성어를 제시한 경우는 한어 형성어를 잘못 제시한 경우와 만주어 형성어를 잘못 제시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lorin’은 ‘騾+morin’가 아니라 ‘驢+morin’로, ‘danggiri’는 ‘鐺+kanggiri’가 아니라 ‘鐺+conggiri’로 분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오분석은 형성어의 의미에 대한 고려 없이 소리의 유사성만을 우선시한 결과로 생각되는데, 이들은 대체로 혼성어와 그 형성어에 대한 『어제증정청문감』의 뜻풀이를 참고하면 올바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In this paper, we reviewed all the headwords classified as blends in Hauer(2007) Handwörterbuch der Mandschusprache, and presented a list of blends thought to be analytical errors and the correct analysis results, so that the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Manchu blends research. Errors in the analysis of blends in Hauer(2007) may be devided into cases where the part of the formative words is omitted and where the formative words are incorrectly presented due to incorrect analysis. The cases where the part of the formative words is omitted are divided into three cases. In the first case where the omitted part of the formative word is Chinese, what should be analyzed as two-letter Chinese is frequently analyzed only as one-letter Chinese. For example, “tildargan” is analyzed not as “題肩+baldargan” but as “題+baldargan”. In the second case where the omitted part of the formative word is Manchu, what should be analyzed as phrase is frequently analyzed as words. For example, the blend “gungkeri” is analyzed as “gu+šungkeri”, not as “gu+šungkeri ilha”. There is also a third case where the omitted parts of the formative words are both Chinese and Manchu. In this case, the blend “furhun” is analyzed as “鶝+indahūn”, not as “鶝䲹+indahūn cecike”. The cases where the formative word is incorrectly presented are divided into two cases), where Chinese formative words were incorrectly presented or Manchu formative words were incorrectly presented. For example, “lorin” should be analyzed as “驢+morin” rather than “騾+morin”, “danggiri” should be analyzed as “鐺+conggiri” rather than “鐺+kanggiri”. These incorrect analyses a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prioritizing only the similarity of sounds without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formative words. In most cases, correct analysis could b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interpretation of 『御製增訂淸文鑑(Yuzhi Zengding Qingwenjian)』 about blends and their formation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