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성신호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피로도 분류 모델

        이수화,권철홍,Lee, Soo Hwa,Kwon, Chul Ho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Fatigue lowers an individual's ability and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work. As fatigue accumulates, concentration decrease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increases. Awareness of fatigue is subjective, but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level of fatigue in the actual field. In previous studies, it was proposed to measure the level of fatigue by expert judgment by adding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bio-signal analysis to subjective evaluations such as multidisciplinary fatigue scales. 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evaluate fatigue in real time in daily lif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fatigue classification model that determines the fatigue level of workers in real time using speech data recorded in the field. Machine learning models such as logistic classification,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are trained using speech data collected in the fiel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good performance with accuracy of 0.677 to 0.758, of which logistic classificat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fatigue level using speech signals.

      • KCI등재

        인지의 시대: 인지과학이 열어가는 인문학과 인공지능의 결합

        이수화 국제언어인문학회 2017 인문언어 Vol.19 No.2

        The intelligence defined by the cognitive science of the past was a kind of function, that is, the analogy of the input, processing, and outpu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achine. The embodied cogni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 human beings strictly distinguish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ystem by organism of 'body' as an individual unit, self-generated autopoiesis and self organizing. This defines the more advanced and radical constructivist aspects of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intelligence is not merely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By overcoming the definition of intellig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the 1950s and by extreme constructivist view that everything is alive and constantly evolving through self-generation, thinking and body, Humberto R. Maturana, Francisco J. Varela and Niklas Luhman have develope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What is ultimately important in the cognitive science of this embodied cognition is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that communicates each system, not each of the thought, the body, and the world – environment. At the bottom of this idea is the Information Theory, which deals with entropy and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 is a phenomenon and existence that has meaning and information volume only through communication. The ess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reates space for all things to live and think, i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이수화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5

        이 연구는 말하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교육은 대학 교육의 한 양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의 발표 수행 또한 대면과 비대면이라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맥락이의사소통 방식과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면 및 비대면 발표 상황에서 발표 수행과 동료피드백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말하기 교과목 참여자총 60명을 대상으로 대면 발표 자료와 비대면 발표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수행 시 발표자들이 사용한 언어표현적 요소, 음성적 요소, 시각적 요소등에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동료피드백에서도 논평형 피드백의 비중과 발표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 등이 수업 방식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토대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시 차별화된 교육 전략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비대면 발표 교육을 위해 학습실재감을 높이고, 발표문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centered on the cas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eaking classes. Since COVID-19, non face-to-face education has become a for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earners' presentations have been made in a completely different context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made in face-to-face or non face-to-face classes. Therefore, based on the previous study showing that the context can affect communication methods and perceptions, the presentation and the peer feedback pattern in th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situations were examined. To this end, the face-to-face presentations of 60 participants enrolled in speaking courses were collected, to which their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re compared. As a result, in terms of presentation, the language expressions, voice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in thei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 -face presentations showed different aspects. In addition, peer feedback also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class methods, such as evaluating the proportion and the adequacy of the presen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learned that we need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strategy fo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 also discussed how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realism of learning and to use presentations to achieve this goal.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 태도가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화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ttitude of interpersonal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influence rela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attitude of interpersonal,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argeting total 156 students of four-year-course colleges in Gwangju and Jeonnam,.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theoretical basis.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and the mediating effectiveness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Macro process model 4 of Hayes(2013).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if the mediate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factor of interpersonal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 of interpersonal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the cognitive factor of interpersonal attitude and emotional factor of interpersonal attitude had indirect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 mediation of self-acceptance as a being. Therefore, it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he intervention which improve positive interpersonal attitude and self-acceptance to impro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태도가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후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태도와 자 기수용,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를 바탕 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2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2013)의 Macro process model 4번을 사용하여 매개효 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태도와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 태도의 정서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이 대인 의사소통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 태도의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존재로서의 자기수 용을 매개로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정서와 행동 특성을 갖는 것이 대인 의사소통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바람직한 사고와 정서를 가지는 것은 존재로 서의 자신을 수용하는 것을 매개로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대인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대인관계 태도와 높은 자기수용 수준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의 일상 대화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0

        목적: 이 연구는 성인들의 일상 대화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상 대화 교육요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도구를 개발하고, 만 25-7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교육내용 선정은 Borich 요구도 점수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두 방법 모두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문항을 최우선순위로 확정하였다. 결과: 총 1066명의 성인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일상 대화 교육의 최우선순위 문항 11개를 선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 성별, 연령, 지역, 최종학력, 직업 유형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조금씩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상 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최우선순위 교육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 내용을 달리 설계할 필요가 있다.

      • 민속현상에 나타난 소금의 쓰임새의 민중들의 의식

        이수화 안동대학 민속학회 1994 민속학연구 Vol.2 No.1

        민속현상에 나타난 소금의 쓰임새를 민중들의 인식과 연관시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민속현상은 어떤 분야에 한정되기 보다는 다방면에 걸쳐 민중들의 의식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식생활에서 소금이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물질이기 때문에 아주 옛날부터 소금을 먹어 왔으며 또한 중요시하는 신앙이 싹트게 되었다. 그리고 소금구이라든지 소금이 무엇을 절일 수 있다는 기능 때문에 소금절임의 대표적인 종류인 김치가 생겨나고 거기에 따른 의식이 파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설화 속에 나타난 소금이야기를 토해서도 민중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선을 권장하는 의미에서 악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여러 이야기 중 소금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고 또한 영웅시된 소금장수이야기를 보면 그 만큼 그 시대에 소금이 귀중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이런 이야기가 생성될 수 있었던 것은 소금이 민중들의 의식 속에 깊게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민간의료에서 살펴본 소금의 효용성은 여러 측면에서 나타났는데, 이것도 민중들의 의식을 엮어가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인 신앙과 관련이 있지만 전문화된 의술과도 관련이 있다. 백일 감기 퇴치나 초상집에서 음식을 잘못 먹어 걸리는 병 같은 것은 신앙과 관련이 있고, 두드러기, 눈병, 토란다듬기 같은 것은 의술에서 강조하는 삼투압유지가 목적이다. 넷째, 신앙적 측면에서 소금의 신성한 의미는 많은 것에 내포되고 있다. 부정퇴치굿, 혼인할 때, 아이가 오줌을 쌌을 때 등 소금은 옛부터 부패를 방지하고 인간의 건강과 정력을 유지하는 힘이 있는 것이라 하여 신비적인 의미가 부여되어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졌다. 또한 신당형태로 나타나는 소금단지도 민중들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일반적인 동신과는 달리 그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위해 소금을 신봉하는 행위는 소금을 통해 초자연적인 대상으로부터 화기를 방지하여 풍요로운 마을을 지키고자 하는 행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