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조선문학』(2012-2019)를 중심으로

        이상숙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5 No.-

        This i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 of the “mother” in North Korean poetry since 2010. The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generally entails a perception of gender or femininity. The mother as it is represented in North Korean poetry reconfirms that North Korea is still rooted in patriarchy, not only in the private sphere but also in the sociopolitical sphere. In general, the mother, the person who gives birth to a child, is the child’s source of existence and life as well as a symbol of unconditional love. However, in North Korean poetry, the political meanings of the word “mother” are conveyed through its rhetorical use in support of a political party, and the connotations of revolu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political system, and of the family of Kim Il-sung overshadow its original meanings, which are the life and love given by one’s own mother. In North Korea, the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changes depending on the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but the mothers of the Kim family, especially Kim Jong-il’s mother Kim Jong-sook, is still revered as one of the three most admirable Baekdusan anti-Japanese heroes, which is clearly shown in North Korean poetry. In North Korea, a country where the state and the party are seen as one, the party is called the “mother party.” or the “mother country.” Here, the word “mother” is used as a rhetorical tool to strengthen the political system. Even in poems where the mother is the speaker or the theme, her role as a rearer of revolutionary warriors who protect the Kim family and North Korean socialism, laborers, and warriors in the military-first policy is stressed, rather than her status as the source of unconditional love. This is also found in the Mothers Contest, which has been promoted more widely recently. The core theme of this contest is fecundity, which seems to be a measure whose goal is to counter the growing trend of women’s reluctance to give birth and the decreasing fertility rate, which in North Korea are perceived as resulting in a decline in the number of revolutionary workers. 이 논문은 2010년 이후 북한 시에 나타난 ‘어머니’ 의 이미지 연구이다.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에는 개인의 사적 영역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영역에서도 가부장적 제도와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북한의 ‘젠더’, ‘여성’ 인식이 담겨있다. ‘어머니’는 나를 낳은 사람으로서 존재와 생명의 근원이자 무조건적인 사랑의 상징이다. 그러나 북한시에서는 육친인 어머니가 주는 생명과 사랑의 의미보다는 당과 조국과 같은 수사적 ‘어머니’가 가지는 ‘혁명’, ‘체제’, ‘김일성 일가 옹위’와 같은 정치적 의미가 더 강조된다. 북한에서 활용되는 ‘어머니’ 이미지는 경제 상황과 정치지향에 따라 변하지만 김일성 일가의 어머니 특히 김정일의 어머니 ‘김정숙’은 3대 백두산 항일영웅으로 여전히 추앙된다. 이는 북한 시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국가와 당이 한 몸인 북한에서 당은 ‘어머니 당’, ‘어머니 조국’으로 불리며 체제 강화의 수사로 자리잡고 있다. 어머니가 화자인 시나 육친의 어머니를 소재로 한 시에서도 ‘어머니’는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에 앞서 김일성 일가와 북한 사회주의를 지키는 혁명 전사를 기르고, 노동일군, 선군시대의 전사를 키워내는 양육자로 표상되고 그 역할을 최고의 기쁨과 자랑으로 삼는 사회주의 구성원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는 최근에 더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어머니 대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 대회의 핵심은 ‘다산’인데 이는 심화되는 출산 기피와 출산율 감소를 혁명 세대의 감소로 인식한 북한의 조치일 것이다. 북한시에서 ‘어머니’는 다산의 어머니, 어머니 당, 김정숙 어머니로 드러나고 세 유형의 어머니는 모두 가부장제도 속 아내, 어머니의 역할에 한정되어 있는 한편 ‘혁명’, ‘수령 옹위’ 등의 사회주의 혁명의 보조자로 제시되었다. 이는 여전히 깨어나지 못하고 제한적인 북한의 여성인식, 젠더 인식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글쓰기 교과에 대한 대학생들의 전공별, 학년별 인식 분석 -성격유형, 학습유형, 교과 필요성, 효과적 학습법 설문을 활용하여-

        이상숙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인문사회, 자연공학, 예술체육, 의료보건의 전공과 학년으로 구분된 대학생의 글쓰기 교과에 대한 인식을 학생들의 성격유형, 학습유형과 관련하여 파악하여 교과 설계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 학년 및 성별로 글쓰기 교과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는 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는 대학교육 설계 과정에서 학생의 성격유형 및 학습유형을 고려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전공별로 글쓰기 교과의 필요성, 학습목표 및 보완점에서 예술체육계열학생과 자연공학계열학생들이 좀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서도 글쓰기 교과의 필요성과 성과인식에서 차이를 보여 학년에 따른 글쓰기 교과가 설계될 필요성을 증명했다. 대부분 글쓰기 교과는 1학년에 개설되어 있는데 이 설문 분석은 글쓰기 교과가 학년에 따라 다른 목표를 가지고 배치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 논문이 대학글쓰기 교육이 수요자인 학생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 전공별, 학년별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설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regarding writing courses. An examination of students’ personality types, learning types, and preferred teaching methods is essential to redesign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consumer needs. A survey was therefore administered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HEXACO personality type, learning approach type, preferred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courses. The items on the survey were classified into the necessity of writing, learning approaches to writing, learning objectives of writing, and limitations of writing courses. Respondents’ varying opinions were categorized based on students’ personality type, learning type, major, year in university, and gender.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perceived writing education to be necessary. In addition, significant variations were revealed in preferred teaching methods based on major and year in university, while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learning 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students—the consumers of education—and that instructional design should consider students’ major and year in university.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 Ⅰ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이상숙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08 No.17

        <P>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P><P>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P>

      • KCI등재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11 No.23

        <P>이 논문은 1945-1948년을 북한시학 형성기로 정한다. 이 시기는 북한시의 모습을 문예지 『문화전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북한시가 김 부자 찬양 문학이며, 정치 선동의 구호일 뿐이라는 것은 일반의 상식이지만 이 상식을 실증적이거나 체계적으로 살핀 연구는 많지 않았다. 북한시가 김일성, 김정일 찬양과 체제 선전 일색의 정치 문학인지, 그렇다면 언제부터 어떻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인지, 감정과 정신의 예술인 문학이 정치화되는 과정의 충돌과 고민은 어떻게 드러나고 사라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당시 간행된 문예지 『문화전선』 전 5권을 살펴보고자 한다.</P><P> 1946년 7월에 창간된 『문화전선』은 시기적으로도 앞서 있을 뿐 아니라, 북조선예술총동맹 기관지로 당시 문학계의 대표 잡지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잡지에 실린 시와 관련 평론들을 통해 북한문학이 형성되는 초기의 상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문화전선』 전 5권에는 총 12명의 시인 27편의 시가 실렸다. 안룡만, 백인준, 리찬, 이원우, 조기천 등 북한 시단의 대표적 시인들의 시 27편은 다음 몇 가지 주제로 분류된다. 해방의 기쁨과 귀환, 토지개혁으로 대표되는 새시대에 대한 희망, 소련에 대한 우호감정 등이 대표적인데 이는 북조선인민위원회 탄생을 기점으로 시의 정치성이 강화되고 김일성에 대한 찬양이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P><P> 이러한 경향은, 새로운 시대에 대한 환호에서 출발하는 북한문학 초기 시와 평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제도에 대한 호감과 이를 시로 표현하는 소박한 장르인식이 권력자에 대한 환호와 그에 대한 우상시로 쉽게 변화하게 하는 바탕이 된 것이다. 한설야의 「모자」 수거 사태와 「응향」 사건은 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를 보여 주었을 뿐 아니라, 북한당국과 문학과의 수직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P>

      • KCI등재

        북한 김정은 시기 당․정관계의 변화

        이상숙 북한연구학회 2019 北韓硏究學會報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party-cabinet relations on Kim Jung-en era and that of Kim Il-sung era and Kim Jung-Il. Kim Il-sung made the head of state and the Central people`s committee guiding the Administration Council. However, Kim Jung-Il made the National Defense Committee guiding the cabinet and reinforced the ministerial responsibility. Comparing the previous generation, the character of the party-cabinet relations on Kim Jung-en era as follows; first, the State Affairs Committee(SAC) is similar to the Central people`s committee with the coordinative committee, because most SAC`s members doubled as the party executive. Second, the Chairman of SAC and have in common with the head of state on Kim Il-sung era, because it has the authority representing the state. Third, the character of the party-cabinet relations on Kim Jung-en era succeeded the head of state on Kim Il-sung era. The the party-cabinet relations of SAC system reinforced the ministerial responsibility and improved the political status of the cabinet. And the cabinet close relations with the party and the party guided the cabinet. They can contradict each other. Therefore, North Korea is able to adapt ‘ruling nation with the law’ as Chinese Communist Party. 이 글은 김정은 시대 당정관계의 변화를 이전 김일성 및 김정일 시기와의 비교분석하였다. 김일성 시기 북한은 국가주석제를 중심으로 중앙인민위원회가 정무원을 직접 지도하는 당정관계를 형성하였다. 반면 김정일 시기는 내각 책임제를 주창하기는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국방위원회가 국정 운영의 중심으로 되었기 때문에 당정관계에서 당은 국방위원회를 통해 김정일 시기 내각을 지도하였다. 김일성 시기 국가주석제 및 중앙인민위원회와 김정일 시기 국방위원회와 비교하여, 김정은 시기 당정관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국무위원회 시스템은 당과 국무위원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당직과 국무위원회 직함을 겸직하는 사례를 확대시켜서 당과 정을 연합하는 합의체 형식의 중앙인민위원회와 공통성이 있다. 둘째, 국가를 대표하는 권한이 국무위원장에게 있다는 점은 김일성 시기 국가주석제와 공통적이다. 셋째, 김정은 시대의 북한 당정관계는 이전 김정일 시기 시도되었으나 실현하지 못한 내각중심제, 내각책임제가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김정은 시기 당정관계가 경제 개혁․개방을 위한 정치 개혁인가 하는 점은 아직 평가하기 어려우나 경제 효율성 강화를 위한 방향으로 내각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명확하다. 중국과 북한의 당정관계의 차이는 결국 법률에 의한 집정의 여부이다. 이러한 김정은 시대 당정관계의 긴밀화는 내각 중심제, 내각 책임제와 상충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과 같이 북한 역시 법률에 의해 집정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된다.

      • 현대건축의 대지와의 상관성에 의한 형태표현에 관한 연구

        이상숙,윤도근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19 No.2

        The study means more the background of the building in architecture and the relation to it influence on the acquisition of identity. This article shows that the site has interrelation to architecture a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the form and the formal ex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al form and the site in this study, is shown by representing dual interpretation of the site in the architectural form. The detailed expressions are first, the accepture of the individuality that represent the defect of the site to the personality, second, correlation order to the urban drganization by symbolizing or allowing as constructing the environment, third, sensual continuity for preventing the obstruction of the flow in memory, visuality, movement caused by the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