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공익법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소고

        황필규 ( Pill Kyu Hwa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4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5 No.1

        ‘공익법 운동’은 법률구조, 법률가의 공익활동, 소수자의 인권 보호, 민주화와 국가권력 감시를 모두 포함하는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하게 될 수 있다. 공익법 운동은 ‘법’과 관련된 운동을 의미하지만, 반드시‘법률가’ 중심의 운동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법접근권은 기본적 인권이고 사법접근권의 보장의 문제는 헌법상 기본권 보장의 문제이다. 사법접근권의 보장은 ‘어떤 내용의 권리를 누가어떠한 요건과 절차 하에서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되고 있는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명확한 평가와 개선을 의미한다. 사법접근권은 법적 문제로 인식되지 못한 법적 문제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법적 문제로 인식되어지는 과정에서부터 그 해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 있어서의 권리라고 보아야 하며 그 전 과정에서 개입되는 주체, 법률서비스의 내용, 비용 등이 충분히 평가되고 고려되어야 한다. 현행 사법접근권 보장제도는 현존하는 법적 지원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접근 가능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못하다. 따라서 현행 정부·사법부 주도 사법접근권 보장제도의 전면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변호사 공익활동 의무제도의 실질화, 변호사단체 인권위원회 등의 공익활동 프로그램의 안정화, 개인, 로펌 등의 공익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국가기관, 변호사단체, 시민단체 등이 법률서비스중개나 법률교육 등을 통해 상호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 법학전문대학원 공익인권교육의 형해화의 원인으로 1) 로스쿨의 엄격한 학사관리 제도 및 변호사시험의 정원제라는 구조, 2) 전문분야로서 공익인권교육의 제도화 미비, 3) 임상법학의 위상 불명료 등을 들 수 있다. 관련 제도의 변화,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제도화가 관건이고 법조인의 양성시스템에서 공익적인 가치를 주류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전업적 공익변호사(단체)들은 주로 개인들의 풀뿌리 모금을 중심으로 비영리로 운영되고 있거나 기존 비영리 공익단체의 상근자로 활동한다. 제안되고 있는 ``법무법인(공익)`` 제도는 신생 공익변호사단체 등이 포함될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수용하는 형식을 취할 필요가 있고, 정부나 대법원의 지원이 가능한 ``법률구조단체``의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공익변호사에 관한 정보제공 및 멘토링을 시스템화할 필요가 있고 재정적인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인 대책들이 입안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The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can be interpreted as a fairly comprehensive term that encompasses legal aid, lawyers` pro bono, human rights protection of the marginalized, democratization and monitoring of the power of the state. The public interest law movement is ‘law-related’ but it is not necessarily ‘lawyer-centered’. Access to justice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and the issue of guaranteeing access to justice is the issue of guaranteeing Constitutional Basic Rights. Securing access to justice means an objective and clear review and improvement of ‘which contents of rights are ensured to be practiced substantially by whom and under which requirement and through which process.’ It should be noted that access to justice is a right in the whole process from identifying a legal problem where the problem was not perceived as a legal problem to the solution of it. In this whole process, involved actors, contents of legal services and their costs, etc. should be fully evaluated and considered. The present access to justice system does not meet the existing demand for legal assistance. In addition, it dose not provide enough accessible high-quality legal services. There is a need for sweeping reforms in the present government or court-led access to justice system. Various institutions and practices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make the lawyers` mandatory pro bono hours functional, stabilize public interest law programs of bar associations, and to promote pro bono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law firms. Above all, the way to interconnect governmental bodies, bar associations and the civil society through the mediation of legal services and legal training should be pursues and put into practice. The causes of the disfunctional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law education in law schools are: 1) the strict coursework management in law schools and the structure of a quota system in bar exams; 2) the lack of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law education as a field of specialization; 3) the ambiguous status of clinical legal education, etc. It is essential to have changes in relevant institution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ystematic programs. It is important to mainstream public interest values into the training system of legal professionals. Full-time public interest lawyers(or their groups) generally are run non-for-profit based on grass-root fundraising or work as staff attorneys at existing non-for-profit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The proposed system of ‘public interest law firms’ should embrace various forms to include newly established public interest lawyers` groups, and the requirements of ‘legal aid organizations’ which can rece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the Supreme Court should be alleviate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mentoring of public interest lawyers,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overcome financial vulnerabilities should be formulated and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이주민 법제의 시각과 관련 쟁점

        황필규(Hwang,Pill Kyu)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論叢 Vol.16 No.2

        The basis of the Korean policy towards migrants can be said to be statism and exclusive nationalism characterized by ① assimilation and selective reception of marriage migrants and migrants of Korean origin, and reception of highly skilled labor, and ② control and exclusion of low-skilled labor and undocumented migrants. In international legal approach towards human rights of migrant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s not only an importa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 but it also has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customary law, and even jus cogens. For this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to have a meaning in reality, there have to be some special protection measures for migrants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Besides,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international human law is based on states' consent and therefore states have legal responsibility to protect migrants' human rights. It also has be to emphasized that "state sovereignty in immigration control" is only related to immigration itself, and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 violations of migrants in reality have nothing to do with "state sovereignty". Even though migrants ar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basic righ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al Law, the Korean law aand instituton is based on complet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migrants. The Korean law and institution excludes undocumented migrants from the scope of migrants, guarantee workers' rights to only small number of people among migrants. Multi-culture is being understood as the concept subordinate to the Korean culture, discrimination against marriage migrants and indigent migrants of Korean origin is being protected by law. Concerning administrative procedural guarantee and the protection of physical freedom, law justifies extreme discrimination. Unlike most other countries, all the migrants od not have the right to political expression, and only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s applied to the remedies against states' illegal acts and general crimes. Migrants are under constant sulveillance by all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schools and hospitals, and the right to education and family unification of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is readily denied. The present law and institution, and perception towards migrants needs fundamental review and proactive reform is desperately needed. 한국의 이주민정책의 기초는 ①결혼이민자 및 재외동포의 동화.차별적 포섭과 전문기술인력의 수용, ②단순노무인력 및 미등록이주민의 통제.배제로 특징 지워진 국가주의, 배타적 민족주의라고 볼 수 있다. 이주민의 인권에 관하여 국제법적으로 접근할 때, 차별금지 원칙은 중요한 국제인권기준일 뿐만 아니라, 국제관습법, 더 나아가서는 강행규범으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차별금지 원칙이 현실에서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취약성'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하여 이주민에 대한 특별한 보호조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제인권법은 국가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이주민의 인권 보호는 국가의 법적 책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이주통제에서의 국가주권"은 이주 그 자체에만 관련된 것으로 현실에서 벌어지는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인권침해는 "국가주권"의 문제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헌법의 해석상 이주민도 기본권의 주체로 인정되지만, 한국 법제는 이주민에 대한 철저한 차별과 배제에 기초해 있다. 한국의 법제는 미등록 이주민을 이주민의 범주에서 제외하고, 이주노동자 중 소수에게만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다문화는 한국문화에 종속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고, 결혼이주민과 빈곤한 재외동포에 대한 차별은 법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행정절차에 있어서나 신체의 자유와 관련해서도 법은 극단적인 차별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대다수 다른 국가와는 달리 모든 이주민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부정되고 있고, 국가의 위법행위나 일반적인 범죄에 대한 구제도 '상호주의'만이 적용될 뿐이다. 이주민은 학교, 병원을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의 감시의 대상으로 되어 있고, 미등록 이주아동의 교육권과 가족결합권은 너무도 쉽게 부정되고 있다. 이주민에 대한 현행 법제와 인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와 적극적인 개선이 절실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