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章太炎的『齐物论释』的语言观 ― 语言的“空”

        황정일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2

        본고에서는 장타이옌(章太炎)의 『齐物论释』에 드러나는 언어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장타이옌은 『齐物论释』에서 불교의 유식으로 장자의 제물론을 해석하는 것을 시도하면서 언어의 ‘비어있음’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는 장타이옌이 식(识)에 기반하여 사물에 집착하는 언어관이 허구임을 폭로하는 것과 언어로써 언어를 부정하고 있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장타이옌은 『齐物论释』에서 언어의 허구성을 직시하면서 이를 불교의 유식(唯识)개념으로 풀어내고 있다. 유식에서는 한 개념에 상응하는 객관적 실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 개념의 의미는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의 관계 안에서 다른 개념들을 통해서만 규정될 수 있다고 보는 것처럼, 장타이옌은 언어의 허망함을 직시하고 일체의 전복을 시도하였다. 장타이옌은 언어의 혁명론적 사고를 통해 ‘언어’로써 ‘언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타이옌은 이러한 文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개인과 언어와의 관계성에 근거하여 차이 있음의 평등(‘以不齐为齐’)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장타이옌은 “無我”의 상태를 견지함으로써 『齐物论释』에서 언어를 포함한 일체의 고정된 실체를 부정하였고 이로써, ‘말하고자 하는 것’과 ‘말하는 것’ 사이의 긴장관계에 주목하였다. 장타이옌의 文의 혁명론은 중국의 현대성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노력의 실천적 자세를 전제로 한다. 장타이옌은 보편이라고 불리는 것을 “끊임없이” 반성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였다. 장타이옌의 혁명론의 중요성은 새로운 대안에 대한 그 깨달음 자체에 있지 않다. 장타이옌의 혁명적 사유는 단순히 깨달음의 차원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장자를 유식으로 해석함으로써 『齐物论释』에서 얻은 깨달음을 “文”의 전복적 사유로써 실천하고자 한 데 있다. 그러므로 언어를 언어로써 부정하고 관계론적 사유를 강조하는 노력이야말로 장타이옌이 상대주의 평등론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관된 혁명의 자세라 할 수 있다.

      • 예인삭용 합성섬유로프의 아이스플라이스 안전기준 개발

        황정일,이희준,이경훈,김경우,Hwang, Jeong-Il,Lee, Hee-Joon,Lee, Kyoung-Hoon,Kim, Kyoung-Woo 선박안전기술공단 2014 선박안전 Vol.36 No.-

        본 연구는 예인선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사건 중 예인삭 절단사건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인명사고 예방이 시급한 가운데 예인 로프의 아이스플라이스에 대한 기준이 현재 국내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본선의 임의대로 제작?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 공단에서 수검 중인 예인선을 대상으로 예인선에서 주로 사용하는 예인삭의 종류와 구조, 재질 등에 대한 국내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로프의 인장강도 시험을 통하여 스플라이스 횟수에 따른 유의성 평가를 시행하며, 국내 외 유사 기준 및 표준을 조사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인삭 아이스플라이스 기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탈정치화의 정치’로의 충칭사건 ― 왕후이의 「충칭사건 ― 밀실정치와 신자유주의의 권토중래」를 중심으로

        황정일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2 中國現代文學 Vol.0 No.62

        This essay analyzes the 2012 Chonqing Incident on the dismissal of Bo Xilai, the former party secretary of Chongqing written by Wang Hui,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event in China since 1989. This case is concerned with depoliticized politics, in other words, the repudiation and forgetting of the sixties. As we know, the Chinese sixties had the Cultural Revolution as its main content. The Chongqing model involves quite distinctive social reforms. Large-scale industrial and infra-structural development went with an ideology of greater equality. Open debate and public participation were encouraged, and policies adjusted accordingly. This analysis hence engages four intimately linked realms of inquiries. First, this essay explores the meaning of social movement in 1978 in the context of depoliticized politic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ransference to the state-party concerning depoliticized politics. Depoliticized politics came out of the transformation of party politics from a party-state system to a state-party system,whereby the party lost its independence and representative character and became wholly an organ of state power. Third,, this inquiry concentrates on the memory of Cultural Revolution and the tendency of depoliticized politics. The continuing “thorough neg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beginning in the late seventies and continuing to this day, gradually became a negation of the entire Chinese revolution, and under these conditions. Lastly, this essay explores the meaning of revolution for the project of re-politiicization. This era is a crisis of representatives and in this perspective Wang hui starts to think the new form of politicized politics, the party - state system where it is possible to have a concept of performative pracice and equality.

      • KCI등재

        『밀린다팡하(Milindapañhā)』에서의 나가세나 시간론 고찰 -학파 소속적 문제를 중심으로-

        황정일 보조사상연구원 2016 보조사상 Vol.46 No.-

        This thesis demonstrates Nāgasena’s view of time based on the dialogue between King Milinda and Nāgasena. Through studying Nāgasena’s ideas in time,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ich Buddhist School he would belong to or his idealogical tendency. Echoing the dialogue between King Milinda and Nāgasena, it can be said that Nāgasena is partly stating Theory of real existence of the three time-periods(三世實有論). He remarks that only a part of past and a part of future exist with the present moment. Comparing and analysing North and South Buddhist Canon of Abhidharma about time, Nāgasena’s view is similar to what it says in Kāśyapīya. North Canon of Abhidharma, such as Abhidharmamahāvibhā(大毘婆沙論), Abhidharmakośaśā stra(俱舍論), Samayabhedoparacanacakra(異部宗輪論) by Vasumitra, and the two other translations by Paramārtha (『部執異論』과 『十八部論』), are used for this research. Although it is not clearly stated that Nāgasena’s view of time is same as that of Kāśyapīya in the North Canon, it is more clarified in the South Canon of Abhidharma, especially from Kathāvatthu. It provides a decent source to review and compare the views of Nāgasena and Kāśyapīya. From this research paper, and according to Venerable Hojin’s study on Bareau, it can be said that Nāgasena belongs to Kāśyapīya at this point. Nonetheless, rushing in to conclusion referring only to Nāgasena’s view of time may be insufficien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confirm that Nāgasena belongs to Kāśyapīya school. 본 논문은 『밀린다팡하』에서의 밀린다 왕과 나가세나의 시간을 둘러싼 대화를 통해, 나가세나의 시간관을 논구했다. 그리고 이 시간관의 연구를 통해, 나가세나가 어떤 부파의 소속 혹은 사상적 경향을 갖고 있었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이에 나가세나와 밀린다 왕의 대화를 분석해 보면, 나가세나의 시간관은 부분적 삼세실유론을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찰나적인 현재를 기점으로 해서 과거와 미래의 일부분만 존재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간관을 근거로 남북 양전의 아비달마 논서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나가세나의 시간관은 飮光部(Kāśyapīya)의 시간관과 유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북전 아비달마불교 논서 중에서는 주로 世友의 『異部宗輪論』을 비롯한 『部執異論』, 『十八部論』 그리고 『大毘婆沙論』과 『俱舍論』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지만, 그들 논서만으로는 나가세나의 시간관이 음광부의 시간관과 일치한다고 확언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남전의 논서, 특히 『論事(Kathāvatthu)』에서 언급된 음광부의 사상은 북전의 논서보다 명확한 정의를 제시하고 있어, 나가세나와 음광부의 시간관을 비교․검토하는데 좋을 자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나가세나의 시간관만을 통한 연구결과만으로 나가세나가 음광부 소속의 논사였다고 단정하기에는 좀 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즉 바로(Bareau)를 비롯한 여러 선학들의 연구결과물과 이에 근거한 호진의 선행연구 및 논자의 본 연구에 의하는 한, 나가세나의 학파 소속은 음광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지 아유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께따와의 관련성 문제를 중심으로 -

        황정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dentity of Ayodhya which is controversial not only in Korea but also overseas. In particular, the story of Queen Huh, described in 「駕洛國記(Garakgukgi)」, was discussed with focus on the grounds for the argument on the mere mythology thereof. This study thus found that such criticism traced back to studies by western scholars such as Cunningham and Hans Becker. In other words, the main argument over the fictitious theory of Queen Huh transfer comes as Hans Becker argued that, although Ayodhya did not exist before the 5th century, the place called Sāketa, after King Skandagupta, substituted Ayodhya, thus resulting in the existence of Ayodhya. Further, the story of Queen Huh coming from Ayodhya in the first century CE is argued as a fictitious mythology at home as well a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rgument, the place name of Sagi or Sāketa appears in 『高僧傳(Goseungjeon)』 by Beophyeon while there is no place name called Ayodhya, and as the place name of Ayodhya only appear in 『大唐西域記(Daedangseoyeokgi)』 by Hyeonjang in the 7th century. Unlike such arguments, however, the West offers assertions over the reality of Ayodhya, such as by Rhys Davids, Pathak and Kunal. In particular, Kunal, through the study of classical Sanskrit, proved that place names of Ayodhya and Sāketa had been used before the 5th century CE, refuting that the Hans Becker argument is wrong. Kunal's stud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is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and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Hans Becker argument by analyzing transliterations. Further, this study sought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lace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求法記(Gubeopgi) by Beophyeon or Hyeonjang. In other words, 『大唐西域記(Daedangseoyeokgi)』 by Hyeonjang aimed to seek the Buddhist Truth, so his records are presumably very accurate concerning Buddhist trends, schools, Buddhist scholars, Buddhist books, etc. in the various places that he visited. Based on this, the argument of Sāketa=Sagi(Visākha)=Ayodhya by Hans Becker or Lee Gwang-su is deemed to be more seen as Sāketa=Sagi(Visākha)≠Ayodhya as based on the records of Hyeonjang.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see Ayodhya as a real place in any form rather than the argument that there was no place name of Ayodhya in the period of Buddha or in the first century CE. 본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아유타(Ayodhya)의 정체성에 대해 논구하고자 했다. 특히, 「가락국기」에 나오는 허왕후 관련 이야기를 단지 만들어진 신화로 치부하는 근거는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서 그 주장의 근거가 서구 학자인 커닝햄과 한스 베커 등으로 이어지는 연구결과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한스 베커가 아유타는 5세기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도시였지만, 스칸다 굽타 왕이 사께따라는 지역을 『라마야나』에 나오는 전설의 도시인 아유타로 치환하면서 존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한스 베커의 주장은 국내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법현(法顯)의 『고승전(高僧傳)』에는 사기, 즉 사께따(Sāketa)라는 지명이 나오지만 아유타라는 지명은 없으며, 7세기 현장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서 비로소 아유타라는 지명이 나오기 때문에 CE 1세기에 허왕후가 아유타에서 왔다는 이야기는 만들어진 신화일 뿐이라는 주장의 배경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주장과 달리 서구에서도 아유타의 실재성을 주장하는 리즈 데이비드(Rhys Davids), 파타크(Pathak), 쿠날(Kunal) 등의 견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쿠날은 고전 산스끄리트 연구를 통해 CE 5세기 이전에 아유타와 사께따의 지명이 함께 사용됨을 증명함으로써 한스 베커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했다. 더욱이 쿠날의 연구는 논자의 선행연구와 일맥상통한 것으로 논자 역시 한역 음역어(音譯語) 분석을 통해 한스 베커의 주장을 저적한 바가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구법기(求法記)가 갖는 특성을 통해 두 지역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했다. 즉 현장의 『대당서역기』는 구법을 목적으로 한 것이므로 그가 방문한 각 지역에 대한 불교적 경향이나 학파(學派), 논사(論師), 논서(論書) 등에 대해서는 매우 정확히 기록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에 근거한 본 연구에 따르면, 한스 베커나 이광수가 주장하는 것처럼 ‘사께따=사기(비색가)=아유타’라는 주장은 현장의 기록에 근거하는 한, ‘사께따=사기(비색가)≠아유타’로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붓다 당시 혹은 CE 1세기 전후에는 아유타라는 지명이 없었다는 주장보다는 그 당시 어떤 형태로든 실재했던 지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이다.

      • KCI등재후보

        說一切有部의 작용론에 대한 논쟁__ 세친의 비판에 대한 중현의 반론을 중심으로

        황정일 인도철학회 2005 印度哲學 Vol.19 No.-

        It is generally said that, Within the Sarvāstivāda ontological system, there requir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heories: the existence of all dharmas in the three time periods and the existence of the intrinsic nature (svabhāva) of dharma in the three time periods. The former has been traditionally demonstrated from the four proofs, the two proofs taken from hearing from others (sūtra) and the two proofs based on inference (anumāna) presented at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while the letter has been insisted from the four theories fomulated by the four Sarvāstivāda masters, Dharmatrāta, Ghoṣaka, Vasumitra, and Buddhadeva, since the Mahāvibhāṣāśāstra. The theory of activities (kāritra) seems to be the core theory which link the two ontological theories mentioned above. For the Sarvāstivādins, it is possible through the theory of activities (kāritra) that past, present, and future time is distinguished and the activities of dharmas, arising, duration, decay and ceasing, is explained. According to the theory, a past dharma is one whose activities have been cease to exist, a present dharma is one whose activities are operating, and a future dharma is one whose activities hava not operated yet. What changes momentarily is not the intrinsic nature (svabhāva) of a dharma but its activities through the inherent characteristic (svalakṣaṇa). There still are problems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visual organ, the present tat-sabhāga, alo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sabhāgahetu and present niṣyandaphala. Saṅgabhadra seems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introducing the concept of capability (vyāpāra) into the Sarvāstivāda ontological system. 유부 존재론은 ‘三世實有法恒有’로 정의된다. 그리고 이 명제의 근거는 雜阿含經에 나와 있는 二經二敎證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삼세실유의 근거는 되지만, 법체항유의 근거는 되지 않는다. 법체항유는 大毘婆舍論에서의 4대논사의 說을 계기로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부의 실유사상은 二經二理證에 의해서 삼세실유를 주장하고, 그 논리적 귀결로 법체항유를 이론적으로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삼세실유·법체항유’의 상호관계를 뒷받침하는 것은 세우(Vasumitra)의 位不同說(avasthanyathika)에 따른 作用論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부의 작용론은 ‘피동분(tat-sabhga)의 눈’이나 ‘과거 동류인(sabhga-hetu)’ 등의 문제로 인해, 세친에 의해 철저히 비판 받는다. 이에 중현은 세친의 비판을 작용(kritra) 이외에 공능(vypra)의 개념을 들어 반론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부 작용론을 둘러싼 세친과 중현의 논쟁을 통해, 유부 작용론의 의미를 검토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