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계산 청계사의 역사와 위상

        황인규(Hwan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본고는 의왕시 청계사의 역사와 그 위상을 천착한 연구이다. 청계산 청계사는 고려 원간섭기 역관출신 趙仁規가문의 원당이 되면서 사세가 크게 부각되었다. 조인규 가문 출신의 천태종계 승려들은 과천 청계사와 수원 만의사 일대에서 활동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말선초 불교계를 주도하게 되는 무학자초와 그의 제자 철호조선이 주지에 재임하였다. 조선초 과천의 資福寺로서 지정되었으며, 圓通菴은 산내 암자였던 듯하다. 乖崖金守溫의 「圓通菴重創記」기문에 의하면 1425년(세종 7) 승려 海幢이 원통암을 세종의 비 昭憲王后의 시주를 받아 1428년(세종 10) 佛殿3칸과 禪僧兩堂등을 중창하였다. 왕후의 8남 永膺大君이 前龍門寺주지 戒眼과 문도들로 하여금 9년간 주재하여 보수 중창되었다. 청계사는 세종말년에서 단종대 초에 태종의 2녀 경정공주와 태종 2남 효령대군, 세종의 장모 삼한국 대부인 안씨 등이 주지 覺頓과 함께 『화엄경』 1,470판으로 인출하여 雜華殿을 짓고 봉안하였다. 이는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가져온 『華嚴經疏鈔』이 유실되어 없어진 것을 청계사에서 개판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청계산의 산내암자인 원통암은 세종의 비 소헌왕후와 8남 영응대군의 원당이었으며, 소헌왕후의 5남 광평대군과 7남 평원대군을 비롯하여 1445년(세종 27) 4월 삼한국 대부인 안씨 등과 함께 청계사에 머물며 독경하는 등 왕실의 관심이 컸다.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가져온 『華嚴經疏鈔』가 그 이후 세종대 당시까지 유실되어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를 바로 청계사에서 개판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청계사는 산내암자 원통사(암)과 더불어 조선초 왕실의 주목을 받은 원당이었다. 청계사는 연산군대 선교양종의 본산이 폐치되자 명종대 허응보우가 선교양종을 복립할 때까지 선교양종을 아우르는 선종의 본산이었다. 광해군대 세자의 원당이 되었으며, 고승 벽암각성과 고한희언이 주석하며 재를 올리는 등 왕실의 원당이었다. 그런 한편 조인규가문에서도 청계사의 사적비를 짓는 등 조선후기에도 원당으로서의 위상을 지녔으며, 정종의 의해 왕실의 원당이 되었다. 즉, 정조는 잠저시 인근의 화성 용주사에 앞서 청계사를 願堂으로 삼았다. 1789년(정조 13)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인 현융원에 행차시 청계사에 들려 顯隆園祭閣을 세우고 매년 두 차례 제사를 드렸다. 그리고 철종대 근대불교를 중흥하게 되는 경허선사의 출가처가 청계사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and the status of CheonggyesaTempleinUiwang. The temple was highlighted as a votive shrine by the family of Ingyu Cho, an interpreter in the occupation period of Yuan. The tien-tai monks from the family performed their activities at the Gwacheon Cheonggyesa temple and at the Suwon Manuisa temple. Then, Muhakjacho and his discipline, Cheonhojoseon, who led the Buddhism community from the end of the Goryeo to the early Joseon period, became head abbots. The Cheonggye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jaboksa; further, the wontongam became a hermitage in the mountains. The Wontongam Jungchanggi, written by Seungae Suwon Kim, stated that the Buddhist monk Haedong received an order from Empress Soheon, wife of King Sejong in 1425 (7th year of King Sejong). Following her order, he built 3 Buddhist sanctums and the Seonseungyangdang in 1428 (10th year of King Sejong). Yeongeungdaegun, the 8th youngest son of the empress, ordered Gyean, the head abbot of the jeonryongmunsa temple, and his disciplines to stay at the temple for 9 years in order to repair and establish the temple. The Cheonggyesa temple was tributed by establishing the japhwajeon from 1,470 sheets of Hwaeomgyeong with Princess Gyeongjeong, the second daughter of King Taejong, Hyoryeongdaegun, the second son of the king and Mrs. Ahn, mother- in-law of King Sejong, by the head abbot Gaksun. This means that the temple re-established the Hwaeomgyeongsocho brought by Daegakguksa Uicheon but lost. The Wontongam, a shrine in Mt. Cheonggye, was avotiveshrine of Empress Soheonand Yeongeungdaegun aswellas that of Gwangpyeongdaegun and Pyeongwondaegun, the 5thand 7thsons of King Sejong.The Cheonggyesa temple became the head abbot of both Buddhismfaiths until Heoeungbou restored the faiths in the era of King Myeongjong after the head abbot of the faiths were closed in the era of Yeonsangun. The temple became a votive shrine for princes in the Gwanghaegun era; it was also the royal votive shrine where prominent Buddhist monks of Byeokamgakseong and Gohanhuieon paid tributes. Meanwhile, the family of Ingyu Cho established a sajeokbi (stele for commemoration), which had the status of a votive shrine; it later became the royal votive shrine by King Jeongjong. During his evacuation, the king designated Cheonggyesa temple as the votive shrine prior to the Yongjusa temple near Hwaseong. In 1789 (13th year of King Jeongjo), the king visited Cheonggyesa temple on the way to Hyeonyungwon, the tomb of his father, and established the Hyeonyungwon Jegak, holding ritual ceremonies twice a year. The Cheonggyesa temple was where Gyeongheoseonsa, who revived modern Buddhism during the era of King Cheoljong, entered Buddhist priesthood.

      • 유연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통한 휠로더의 피로 해석 방법 개발

        황인규(In Gyu Hwang),차태로(Tae Ro Cha),이희종(Hee Jong Lee),최진환(Jin Hwan Choi)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wheel loader, it is desirable to measure the durability of each part of the design process to predict the weak portion in advance. In this paper, the wheel loader simulation for the Front Frame is performed for the specific operations (V-cycle) by using the Durability toolkit of RecurDyn. In this application program, the fatigue analysis is separated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search the weak portion of the wheel loader. Next step is Rainflow counting process. The last step is to perform the fatigue analysis using the load history which is already calculated. The result of fatigue analysis is also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