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alyzing the Three Temples(or Temples of the Three Jewels), Buddha Sakyamuni:Tong-Do-Sa, Dhamma Dhaima:HaeinSa, Songha: SonggwangSa. Tongdosa in Yangsan is one of Jeokmyel-bogungs (the Sacred Buddha Relic Temples) and enshrines Jinsin-saris (sacred relics of the Buddha) which symbolize the Buddha-Dharma. In the mid 7th century, Ven. Jajang Sunim (A.D. 590~ 658), one of Korea's greatest masters received relics of the Buddha from Munsubosal (Manjusri Bodhisattva) and brought them with him to Silla. He divided them into three portions and placed one each at Hwangryongsa, Taehwasa in Wulsan, and Tongdosa. He enshrined the relics in Geumgang-gyedan (Diamond Alter), the Main Dharma Hall. Thus, Tongdosa became the 'Buddha Jewel'. Haeinsa in Hapcheon is also called 'the Dharma Jewel' because it houses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complete Buddhist scriptures of the Koryo Dynasty). The Haeinsa-jangkyoungpan-jeon (Tripitaka Koreana Hall of Haeinsa) houses the collection and is one of the most precious one on site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was first placed in Ganghwa Island's Seonwonsa, then moved to Jicheonsa outside of Seodaemun in Seoul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gain moved to Haeinsa Daejanggy eongpanjeon.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jo-gye-san-song-gwang-sa-sa-won-sa-jeo 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Sambo means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and refers to Bulbo (the Buddha Jewel), Beobbo (the Dharma Jewel) and Seungbo (the Seungga Jewel, the Sangha Jewel). Bulbo represents the Buddha who teaches and guides all sentient beings. Beobbo is the Dharm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Seungbo represents the Seunga (Sangha, the Buddhist community), the group of followers who lear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practice. In Korea,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re Tongdosa, Haeinsa and Songgwangsa. They are called 'the Three Temples'. 본고는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가 언제부터 삼보사찰로 부르게 되었는가 그 과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가 모셔져 불보사찰, 해인사는 고려대장경판이 모셔져 불보사찰이라고 불린다. 송광사는 고려후기이래의 16국사가 배출되어 승보사찰이라고 하지만, 이 세 사찰을 묶어 삼보사찰로 부르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보사찰이 되었지만 해인사는 고려 대장경판이 이안된 시기인 조선초 이후일 것이다. 송광사는 고려 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를 봉안한 대표적인 사찰이었다. 자장에 의해 봉안된 불사리는 황룡사 탑, 태화사 탑 등 사찰에 봉안되었으나 고려중기 혹은 조선초에 폐사되었다. 황룡사는 대표적인 국찰이었으나 용신신앙을 대표하는 위상 보다 상위인 불사리 신앙과 계율종의 중심인 통도사가 불보적 전통을 지녔다. 여말선초와 조선 중기인 임란시 통도사의 불사리가 개성과 한성을 비롯하여 태백산 정암사와 경북 달성 용연사, 금강산 건봉사 등에 분산 봉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통도사는 조선후기 불사리 신앙의 중심을 이루면서 불가의 종찰로서 위상을 확보하여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해인사는 신라시 창건되어 화엄종의 북악파의 본산이었으며, 고려시대 국찰로서 『고려실록』과 대장경이 봉안되었다. 당시 대장경판이 인경되기도 하였는데, 이 경판은 해인사 제경판으로 추정된다. 강화도에 봉안되었던 재조대장경판을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한성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로 이안되었다. 이는 왕사 무학의 주도로 화엄종 고승설오와, 특히 해인사 주지 경남의 뜻이 반영된 듯하다. 해인사에 봉안된 재조대장경은 태조대 태조 이성계에 의해 인경되었으며, 조선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세조의 삼화상 혜각존자 신미와 묘각왕사 수미, 해인사 주지 죽헌과 학조 등에 의해 인경불사가 이루어져 전국의 대표적인 50 여 사찰에 봉안되었다. 이렇듯 해인사는 조선초 이후 법보사찰로서의 위상이 확보되었으며,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송광사는 고려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 의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송광사 제 16국사인 고봉법장이 입적한 세종 10년이후 조선중기에 국사로 추증이 된 듯하며, 그를 포한 16국사로 추념되었을 것이다. 그 시기는 임란후 송광사가 재건되면서 비롯된 듯하다. 그리고 이전의 시기에 확립된 불보사찰 통도사와 법보사찰 해인사와 더불어 한국 사찰을 대표하는 삼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었다. 송광사 16국사의 추념에 이어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이 16국사와 더불어 송광사 18주지로 추념되었다.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은 인도승 지공선현과 더불어 여말선초 삼화상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최고의 증명법사였다. 이렇듯 송광사는 조선시대 이후 사세의 부침이 있었지만 18주지의 추념을 통해 승보의 전통을 정립 계승하여 갔다. 현재 삼보사찰로 정립된 시기는 조선후기 문신 淵泉 洪奭周(1774~1842)의 문집에서 처음 보이고 있으며, 개화기 문인 김윤식도 그러한 사실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續南遊錄』 등과 같은 저술류에서는 금산사가 불보사찰이라고 특기된 바 있다. 그러한 가운데 석왕사의 고승 龍嶽 慧堅과 그의 제자 九河 天輔, 특히 송광사 주지 錦溟寶鼎, 통도사 강주였던 海曇 致益(1862~1942)과 만해 한용운 등이 삼보사찰의 지정을 특기하였다. 특히 한국불교를 집대성한 이능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삼보사찰을 그의 저술류에 특기하면서, 이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서산대사의 승군활동과 조선후기 추념사업

        황인규(In-gyu Hw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본고는 조선중기 암울했던 불교를 중흥한 서산대사 청허당 휴정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나아가 국가적 추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는 것이 그 연구목적이다. 서산대사는 그 이후 오늘날 까지 한국불교의 승려는 모두 그의 문도라고 할 만큼 그의 비중은 매우 크다. 그는 숭유억불시기 불교가 탄압을 받아 종단조차 없어져 승려는 산중으로 가야만 했고 심지어는 역모를 하였다고 모함을 받아 구금이 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하였다. 마침 일본이 일으킨 임진란으로 선조는 한양을 버리고 반도의 북쪽 의주로 피난을 가야하는 국가가 존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나이 73세의 노구의 몸을 이끌고 전국의 승도에게 격문을 돌려 승병을 일으킨 구국의 승장이었다. 불살생계를 지켜야 하는 승려였음에도, 그리고 불교가 국가의 탄압을 받았음에도 국가의 위기를 구하고자 하였던 것은 애국적 숭고한 행위였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추념은 영조와 정조대 그가 머물렀던 묘향산과 그의 대표적인 제자 사명의 출생지인 밀양, 그리고 반도남쪽의 그의 뜻을 받들어 조선후기 불교의 중심지가 되었던 대흥사 등 몇 건 외에는 그에 대한 추념사업은 찾기 힘들고 그러한 사실조차 잊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그의 국가를 위한 애국정신을 되짚어보고 그를 추념하면서 오늘날 너와 나, 우리의 공동체사회에서 그의 지고한 정신과 행위를 재음미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national respect and social status of a great monk, Seosan-daesa, Cheongheodang-Hyujeong who restored dismal status of Buddhism in the mid-Joseon Dynasty. The great monk, Seosan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Buddhism enough to consider that almost all Buddhist monks in Korea are included among his disciples. In an era in which Confucianism was respected and Buddhism was suppressed, the Buddhist orders were dismissed and monks were forced to move into the mountains. Even Cheongheodang-Hyujeong was imprisoned for false accusation of treason, although released. When the Japanese Invasion threatened Korea's existence and King Seonjo was forced to evacuate Hanyang (the current Seoul) and flee to Euiju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the 73 year old great monk was the commander-in-chief of an army that he raised, with a written appeal to monks, to save the nation. He did this patriotic and noble deed for the country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been persecuted by the government and as a monk should observe the commandment of ahimsa (no destruction of life). Nevertheless, tributes to him remain in only three places: Myohyang Mountain where the great monk stayed in the era of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Milyang, the birthplace of his representative disciple, Samyoung; and Daeheung Templ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became a center of Buddhism in the late-Joseon Dynasty. Other memorial projects for him are scarcely found and even their existence has been forgotten. This study aims to resurrect his will and deeds in our modern community while admiring and honoring him for his patriotic mind.

      • KCI등재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본 논문은 송광사의 僧寶宗刹로서의 위상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송광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삼보종찰 가운데 16國師를 배출하였다고 하여 승보종찰로 불려지고 있으나 그 연원이나 설정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는 듯하다. 따라서 고려후기 修禪社16社主의 위상이 어떠하였는가, 그리고 언제부터 16국사로 숭앙ㆍ추념되고 송광사가 승보종찰이 되었는가에 대하여 천착하고자 하였다. 송광사는 고려중엽 지눌이 신앙결사운동을 전개하면서 사세가 진작되었고 그의 제자 혜심과 몽여 등 문도들이 사주가 되어 결사정신을 선양하면서 그의 문손을 포함하여 15사주가 고려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하지만 당대에 왕사로 책봉된 인물은 2인에 지나지 않았고 입적 후에 국사에 추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의 사주는 행적조차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조선초 송광사 주지였던 고봉법장은 국사로 추증된 적이 없다. 이미 국사․왕사제도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필자가 아는 한, 기록에 의하면 송광사 16사주가 국사로 추념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중기 1621년 벽암각성의 동문인 代價希玉이 쓴 「十六國師眞影記」부터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고려말의 고승 나옹과 무학도 16국사에 버금가는 고승으로 추념되어 송광사 18주지로 설정되었다. 이는 송광사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趙宗著(1631∼1690)의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송광사가 승보종찰로 설정된 것은, 필자가 아는 한, 조선후기 1832년(순조 28) 문인 淵泉洪奭周(1774~1842)가 지은 「淵泉翁遊山錄」이다. 앞으로 더 정치한 연구를 통해 승보종찰로서의 설정과 그 의의가 좀 더 명확히 밝혀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mong the three treasure temples in Korea, the Songgwang temple has been called the sangha treasure temple, because it produced the sixteen national monks. However, its origins and when it was designated was not known accurat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sixteen master monks of the Sooseon temple (the present Songgwang temp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how long they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also when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and Mongyeo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only two monks were designated as king’s adviser at that time and designation of national monk was bestowed after they entered nirvana. Moreover, in case of some chief monks, even their performance was not known.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jo-gye-san-song-gwang-sa-sa-won-sa-jeo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Also, the fact that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c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I hope that more specific findings about its designation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nd significance will be produced by thorough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高麗後期 敎宗僧의 中國遊歷과 佛敎界의 動向

        黃仁奎(Hwang In-Gyu) 한국불교연구원 2007 불교연구 Vol.27 No.-

          The purpose of the study aim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buddhist priests in China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 But limits of these documents were so distinctive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true history of them were very difficult. Fortunately, records concerning them could be found on China"s documents, which supports existence of them. In this study I had tried to illuminate their life in China and seeking after historical truth of buddhism. Definitely, this study aim to explain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main branch of Buddhism in China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BR>  Firstly, Yuga"ca"ra(瑜伽宗)"s priests didn"t flourished during the millitary government-period of Koryo dynasty and had shared some of basic features of chinese buddhism. But at the situation of chinese Budddhism under the dominaion of the Yu"an(元) dynasty, following reqests by the mongol court, many Buddhist monks were sent to the capital Tadu(大都) in order to copy entire sets the Sutras, in which priests of Koryo dynasty particularly had well versed. Taking this opportunity, two Yuga"ca"ra"s priests became national Preceptor(國尊) during the period of mongol influence by the controll of the religion affairs of the whole country. For example, the high priest of Yuga"ca"ra appointed Hyeyoung(惠永), Meesoo(彌授) as national Preceptor(國尊) and Hyewon(海圓) acted as high priest in mongol empire.<BR>  Secondly, Hua-yen school(華嚴宗)"s priests also didn"t flourished during the millitary government-period and shared some of basic features of chinese buddhism. I investigated Hua-yen school Priest(華嚴宗僧侶), for example, Cheonhee(千熙), Wooun(友雲) as well as Dalhwan(達幻), Jeongjo(晶照), Joongjo(中向), Yarhan(若蘭), Hyewol(慧月) etc. who had acted in China under the domination of Y‘an dynasty. they were gone to China and seeked truth of Budddhism or took some of buddhist services.<BR>  Cheonhee(千熙) studied in China under the domination of Y‘an dynasty for two years. He was recommended Chunhee(千熙) who belonged to Hua-yen school buddhist sect(華嚴宗) as national Preceptor(國師). He accepted reverence from chinese buddhists when he went to China(the Y"an Dynasty). In the same manner, Chunhee(千熙) had to purify the religious buddhism. After he was appointed to Hua-yen school(華嚴宗) as national Preceptor(國師), Wooun(友雲) studied also in China at that time. they decided to reform their buddhist doctrines which is needed for new times.<BR>  Thirdly, the T"ien-t"ai School(天台宗)"s priests were unfolded buddhist movement of Baekryen-temple(白蓮社) during the millitary government-period(武臣執權期). Cheonchaek(天?) were interchanged between Koryo Buddhist and china Buddhist.<BR>  Under the regime of Y‘an dynasty, King Chungryol(忠烈王) founded Myoryensa(妙蓮寺) in Gaekyong(開京), he appointed Baekryeonsa"s priests into Myoryensa"s master priests. Euisun(義璇), who was one of the relative priests of famous aristocrat clan Cho-ingyu(趙仁規), changed Baekryonsa"s traditional, buddhist and philosophical spirit to aristocrat-oriented buddhism.<BR>  This trend appeared in Heeam(熙菴) and he studied also in China. And Dalmok(達牧) was established buddhist service in China. It was interpreted that they wanted the renovation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

      •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및 분장

        황인규(In-gyu Hw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본고는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실과 고려 및 조선 시대 진신사리의 이전 봉안, 그리고 임진왜란 무렵 통도사 진신사리의 분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 연구이다. 자장은 귀국 후 통도사를 비롯하여 진신사리를 전국의 곳곳에 봉안하였다고 하는데, 그동안 제기문에 나타난 자장의 진신사리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다루어진 바 없는 듯하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문헌 기록에 나타난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찰은 16소에 이르고 있다. 5대 적멸보궁 또는 이를 포함한 8대 적멸보궁 외에도 『삼국유사』에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는 경주 황룡사와 울산 태화사, 조선중기 이후의 기문에 보이는 천안 광덕사 등의 사찰들에도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은 한국에서의 진신사리 봉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듯하며, 흥법에 매우 큰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한다. 지금껏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실과 통도사 진신사리의 분장 및 이전 봉안 사실이 뒤섞여 이해되고 있다.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은 자장 당대뿐만 아니라, 조선중기 이후의 기문에서 보이는 경우도 적잖기 때문에 사료 비판을 통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고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제 기문에 나타나는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과 자장이 봉안한 통도사의 진신사리가 고려와 조선초에도 분장되거나 이전 봉안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렇듯 고려말 임란시 통도사의 사리가 분장된 것은 홍건적이나 왜구의 침탈을 막기 위한 불교수호의 차원이었다.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는 사실은 자장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에 자장의 흥법을 계승 및 추념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 that monk Jajang's Jinsinsari(Sakyamuni's Buddhist ashes) was enshrined in the literature records, the previous enshrinement of monk Jajang's Jinsinsari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and the makeup of Tongdosa Temple's Jinsinsari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said that monk Jajang enshrined Jinsinsari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Tongdosa Temple after returning to Korea, but it seems that monk Jajang Jinsinsari, which appeared in my article,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According to my research, there are 16 temples in Jinsin-sa Temple in monk Jajang in the literature records. In addition to the five Jeokmyeolbogung Palace or the eight Jeokmyeolbogung Palace, it is recorded that monk Jajang enshrined Jinsinsari in the Samgukyusa, Gyeongju Hwangnyongsa Temple, Ulsan Taehwasa Temple, and Cheonan Gwangdeoksa Temple, which is seen in the post-Joseon Dynasty. enshrinement of Monk Jajang's Jinsinsari seems to occupy most of the Jinsinsari, and I think it has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expansion of Buddhism.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monk Jajang's Jinsinsari enshrinement, Tongdosa Temple's costume, and previous enshrinement are mixed. Since monk Jajangsa Temple is often seen not only in monk Jajang but also in articles after the mid-Joseon Dynasty, critical understanding of historical records is needed.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this paper is that the Jinsinsari of Tongdosa Temple, which was enshrined by Jajang in th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was cremated or previously enshrined. In this way, the sari of Tongdosa Temple was dressed up as a Buddhist protection to prevent the invasion of orancae in the north-south.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ruth of Jinsinsari enshrined by monk Jajang was inherited and honored not only in monk Jajang period but also in the later generations.

      • KCI등재

        나옹문도의 양평 용문산 불교 중흥

        황인규(Hwang, In-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7

        본고는 나옹 문도의 고려말 양평 용문산 불교 중흥에 대하여 처음으로 학술적인 천착을 한 연구이다. 태고보우는 용문산 사나사를 중심으로 불교를 흥성시켰으며, 이어 나옹의 문도들이 회암사와 신륵사, 묘향산의 안심사와 더불어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시켰다. 나옹은 왕사로 책봉되기 전에 지방을 유력하면서 양평 용문산에 머물러 있었다. 나옹의 상수제자인 무학자초도 양평 용문사에 머물렀다. 무학은 수선사 13세 사주 혜감국사 만항의 제자 소지선사의 지도로 양평 용문산 혜명국사 법장에게서 수행하였다. 무학과 그의 도반인 達空이 사사받았던 龍門藏公이 바로 혜명국사 법장이라고 추정된다. 달공은 무학과 함께 묘향산 안심사에서 나옹의 추념사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무학과 달공을 비롯한 나옹의 문도는 전국에 걸쳐 나옹의 추념사업을 전개하였는데 양평 龍門山의 추념 사업도 나옹의 문도 志先이 담당하였다. 이와 같이 나옹의 입적후인 우왕대 용문산 불교의 불사는 나옹의 문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옹의 문도는 나옹의 추념사업을 전개하면서 불사를 통해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하고자 하였다. 우왕대 覺照의 죽장암 중창(1377), 志安과 志守의 윤필암 중창(1378), 正智國師 智泉의 용문사의 대장경 봉안(1378) 등이 바로 그것이다. 즉, 覺照는 신륵사와 향산 안심사에서 나옹의 추념사업을 하였으며, 1377년 용문산 죽장암을 중창하였다. 또한 志安과 志守은 용문산 윤필암을 중창하였는데, 정안군 부인 비구니 妙德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무학의 도반인 지천은 양평 용문사에서 『대장경』을 봉안하는 등 양평 용문산 불교의 중흥에 앞장섰다. 이렇듯 나옹의 문도들은 나옹의 입적후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고려말에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시켰다. 이는 숭유억불기 여말삼사인 나옹의 문도들이 불교를 중흥시킨 중요 사례로서 주목되고 있다. This study is the first academic study by Naong-Hyegeuns student on the revival of Buddhism around Yongmunsan Mountain, located in Yangpyeong-gun, late Goryeo. Taego-bowoo developed Buddhism around Sanasa Temple in Yongmunsan Mountain, and then Naongs disciples re-enacted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Yongmun Mountain in Yangpyeong, along with Hoeyamsa Temple in Yangju, Sinreuksa Temple in Yeoju, and Ansimsa Temple in Myohyangsan Mountain. Naong once visited Yongmun Mountain in Yangpyeong, and stayed with his disciple. Muhak was taught by Hyemyung-Byupjang Guksa, who was staying at Yongmunsan Mountain in Yangpyeong at the recommendation of Haegam Guksa. Byupjang Guksa is assumed to be Yongmoon-ByupJang, he had tauht Mukhak and Dalgong. Mukhak and Dalgong held a memorial campaign for his teacher, Naong, in Ansimsa Temple. As such, the disciples of Nayong, including Muhak and Dalgong, conducted a nationwide campaign to commemorate their teacher, which was also in charge of Naongs memorial service in Yangpyeong-gun. But he wanted to revive the Buddhism of Yongmunsan Mountain. Gakjo a disciple of Naong, rebuilt Jukjangam Temple, and Yun Pil-am Temple was rebuilt by Jian and Jisoo In particular, Jicheon had built DaejangJeon at Yongmunsa Temple and was kept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end, Naongs disciples tried to revive Buddhism around Yongmun Mountain, which is located in Yangpyeong-gun, in support of his teachers support after his death.

      • KCI등재

        조선시대 금산사의 역사적 전개와 사격

        황인규(Hwang, In-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3

        본고는 금산사의 조선시대 역사와 사격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그간 금산사의 조선 전기의 역사는 알려진 바 거의 없었는데 본고에서 나름대로 복원 시도하여 사찰의 역사 흐름을 가름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태조대 무렵 양가도승통 종림이 금산사 장로로 있었다. 조선 태종 대 금산사의 주지도징이 비행을 하였다는 죄목을 씌워 사원전과 노비를 환수받는 등 탄압을 당하였다. 그 후 세조에 의해 금산사의 5층 석탑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성종대 세조의 서자 덕원군 이서가 인근 승도 사장들과 더불어 탑을 중수하였다. 중종대 호남 유생들은 금산사에 회합하여 문묘 배향을 논의하였던 사실이 찾아지며, 임진 난이 발발하면서 금산사는 의승군의 중심 도량이 되었다. 금산사에서 출가한 청허 휴정의 문도 뇌묵처영과, 최초의 의승군 봉기를 하였던 기허영규와도 조우하여 금산사를 중심으로 의승군 전투에 참여하였다. 영규와 조헌의 금산전투와 영규의 행주 대첩 등은 왜군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주게 되어 정유재란시 왜군의 보복으로 금산사는 금강문, 노주 등을 제외한 전각이 전소 되었다. 전란이 끝난 지 3년이 지난 직후 금산사의 고승 수문과 천택 등에 의하여 무려 35년간의 중창불사가 이루어 졌으나 대사구만 복원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하지만 금산사는 호남 일대의 명찰로서 미륵전과 장육존상은 조선후기에도 국중의 으뜸이었다고 회자되었다. 임란후 금산사를 이끌어간 주요고승은 청허휴정과 부휴선수의 문도였는데 그 가운데 백곡처능을 제외하고는 청허휴정의 문손, 특히 편양파의 법손인 소요태능이나 중관해안, 환성지안, 남악태우 등이었다. 따라서 금산사는 조선초 이래 선종계 사찰이었지만 지안을 통해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선종과 더불어 화엄이 아우러진 종풍을 지니면서 본래의 유가의 전통이 기저에 잠재되어 왔으며, 일제강점기 금강문에 편액에 미륵본부 도량이라고 했듯이 유가종풍이 강한 도량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금산사는 미륵의 장육존상의 도량이라는 자부심은 더욱 강조되어 조선말기에 한국의 삼보사찰 가운데 불보사찰이라는 설도 제기되기도 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for the study to look over Geumsan Temples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So I tried to restore its story and define the temples historical flow by tracing the history of Geumsan Temple of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the result is like the below. Around the time of King Taejo, the top officer who managed monks lists, Jongrim was the elder of Geumsan Temple. At the time of Taejong in the Joseon Dynasty, the abbot of Geumsan Temple, Dojing was laid on criminal sin, so he was repressed. At the time of Sejo, it was done for the re-establishment of a five-story stone pagoda at Geumsan Temple under the protection of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at the time of Seongjong, a child of concubine, Deokwon-gun, Lee Seo reconstructed pagodas with the monks in the nearby are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Geumsan Temple came to the center for the military of monks to fight against Japanese. Noemuk Cheoyoung, a disciple of Cheongheo Hyujeong, who became a monk at Gemsan Temple, and Giheo Younggyu who rose up the first military of monks also joined together and participated into the combat by the monks military with this temple as the center. Geumsan Combat with Younggyu and Joheon, Seige of Haengju by Younggyu etc gave a big blow to Japanese military, so they revenged Koreans in Jeongyujaeran, all the houses, except for Geumgangmun, Noju, were fired in Geumsan Temple. Passing 3 years after finishing the war, the re-establishment of temple had been done for over 35 years by the high priests, Sumun and Cheontaek, at Geumsa Temple, but only the reconstruction of Daesagu was accomplished. However, it still kept its fame as the most famous temple in the region of Honam, it has been said that Mitreya Hall and Maitreyas big statue were the best national treasures also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high priests who led Geumsan Temple were disciples of Cheongheo Hyujeong and Buhyu Seonsu, among those, except for Baekgok Cheoneung, most of them were disciples of Cheongheo Hyujeong, especially the dharma disciples of Pyeonyang faction. For example, Soyo Taeneung or Junggwan Haean, Hwanseong Jian, Namyak Taewoo etc, they were representative high priests of Geumsan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 Geumsan Temple had been a temple in the sect of Dhyana school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for the example of Jian, it had a strong tendency of the Yuga“ca”ra as the writing on the framed picture on Geumgangmun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ith the harmony of Dhyana school and Hwayeom based on the original tradition of the Yuga“ca”ra. In this aspect, Geumsan Temple more emphasized its proud as the house of Maitreyas big stat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me people said that it was the temple of Buddhist treasure among the Koreas three treasure temples.

      • 여말선초(麗末鮮初) 선승들과 불교계의 동향

        황인규 ( Hwang In-gyu ) 성철사상연구원 1999 백련불교논집 Vol.9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high Buddhist priest in early Chosun dynasty. Since three outstanding masters’s activities in the Koryo dynasty(麗末三師), Chan-Yeong(粲英) and Hon-Soo(混修) of Gajisanmoon(迦智山門) initiative in leading Buddhist Circle and rebuilt such temples as Yeon-Bok Sa (演福寺) and Kwang-Am Sa(光巖寺) in Kaegyeong(開京). Hye-keun(慧勤) and his disciples rebuilt Hoe-Am Sa(檜巖寺) Temple on purpose of reforming heir Buddhist doctrines suitable for new times. Since failing his religious plan Po-u(普愚) and his disciples, Ja-cho(自超) encuraged Yi Sung-kye(李成桂) to rebel against Koryo dynasty, and participated in building Chosun dynasty with Shin-jo(神照) the head priest of Chun-Tae Sect(天台宗). Two years later, Jo-ku(祖丘) the head priest of Chun-Tae Sect(天台宗) was also appointed to the same position in terms of setting in political order. During his term of office, Ja-cho(自超) not only intervened in transferring of the Capital but also completed three main temples for such great priests as Ji-kong(指空), Hye-keun(慧勤) and himself. Holding a unique position in Buddhism, he presided main Buddhist rituals including Kwang-Am Sa(光巖寺) Buddhist lecture meeting(文殊法會), Yeon-Bok Sa(演福寺), and Kwang-Myong Sa(廣明寺), subsequently, he intervened in fixing the tomb place for royal family. All of such behaviours were deeply concerned with his earlier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organizing the religious system including Buddhist reformation. Such reformative ideas can be easily found in his strong recommendation for establishing four Bi-bo Temples(裨補寺刹) around the Capital. But Ja-cho(自超) and Jung Do-jun(鄭道傳) lost political power after 1st and 2nd Royal family’s rebellions. After his death, his partisanships in Buddhism assumed the Buddhist leadership during early Chosun dynasty. Even during the middle years of the dynasty, three Buddhists including Ji-kong(指空), Hye-keun(慧勤), Ja-cho(自超) had hold outstanding positions in terms of the greatest figures with religious dignity and learning. Consequently Moo-hak developed the Meditation style based on Ji-kong(指空)’s Seon-style(指空禪風) and Im-je’s Seon-style(臨濟禪風) which is definitely to be discriminated from Tae-go Po-u(太古普愚) based on only Im-je’s Seonstyle.

      • KCI등재

        환암혼수의 불교계 활동 재검토

        황인규(Hwang, In-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1

        본고는 그동안 환암에 관련해 아직 미흡하거나 논란이 있는 사실에 대하여 검토하면서 환암의 주요 생애와 불교계 활동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그간 환암에 대한 논고는 나름대로 진척되고 있지만 실증적인 문제가 남아 있으며, 불교사의 흐름에서 그간의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정밀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본고는 환암의 불교계 활동 가운데 스승 계송과 식영 연감, 승과인 공부선 응시, 환암이 머물렀던 궁궐의 내원당, 광암사와 송광사, 국사 책봉과 고려말 불교계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환암의 스승인 계송이나 식영은 강화도 선원사에 머물렀으므로 환암도 수선사계통의 사굴산문계로 간주하고자 하였다. 환암은 오대산에서 머물면서 나옹과 교유하였으며, 믿음의 표식을 받았다. 그 후 나옹이 주도한 공부선에 응시하여 유일하게 합격하여 불교계에서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옹에게 다시 한번 인증받았다. 그 후 환암은 나옹이 왕사로 책봉되어 머물렀던 송광사 주지에 재임하였으나 나옹과 무학이 인도의 승려 지공의 유지를 받들어 회암사의 중창불사에 참여하지 않았다. 환암은 아마도 그들과 다른 뜻을 가지고 불교계의 흥성을 위해 노력하였던 듯하다. 환암은 1374년 무렵 궁궐의 내원당에 들어가 재임하면서 공민왕과 대비에게 불법을 가르치는 등 왕실불교를 주도하였다. 환암은 회암사 주지직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1378년(우왕 4)에 공민왕과 비의 원찰인 광암사에서 3년간 머물면서 『나옹화상어록』을 교정하였다. 나옹 입적 후 무학 등이 나옹의 추념사업을 전개하였으나 환암은 역시 동참하지 않았다. 환암은 1383년(우왕 9) 왕사를 거치지 않고 국사로 책봉되었으며, 충주 청룡사 등에 머물면서 『호법론』 등 불서를 간행하였다. 이렇듯 환암은 무학 등과는 달리 왕실 불교의 중흥과 불서 간행사업을 통해 불교계를 수호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1391년(공양왕 1) 공양왕이 즉위하자 환암은 국사로 다시 책봉되었으나, 이성계가 실권을 잡자 조선 건국 직전 이성계와 함께 『대장경』 간행불사에 참여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축하의 글을 올렸다. 조선 건국 직후 무학이 왕사로 책봉되었지만 환암은 국사로 재임하다가 2개월 만에 입적하였다. 이렇듯 환암은 고려말 조선 건국초 국사로 재임하면서 당시 불교계를 대표하는 위상을 지녔던 것이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life and activities of Hwanam, who led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Buddhist community of the late Goryeo Dynasty, including Sikyeongam, and Naong Hye-geun, and that of Gwangamsa Temple and Songgwangsa Temple, alongside the Buddhist activities of Hwanam. As the teachers of Hwanam, Sikyeong-Yeongam stayed at the temple of Ganghwa. Hwanam was part of the Sagulsan sect and a disciple of Naong, but he stayed and interacted at Odaesan Mountain and received a sign of faith. Subsequently, he applied for the “Gongbuseon,” led by Naong which was the only opportunity to be accepted. Furthermore, Hwanam served in Songgwangsa Temple, and he was an enshrined Buddhist monk. However Naoong and Muhak did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of Hoeamsa Temple in favor of the Indian monk’s retainer. But Hwanam played a leading role in royal Buddhism by teaching illegalities to King Gongmin and his queen while in office in 1374. Although he did not accept the request of Hoeamsa Temple, in 1378, he stayed at Gwangamsa Temple for three years and presided over royal Buddhism. Next, I corrected “Naonghwasang-eurok.” When Naoong died, Naong’s disciple Muhak, and others, began a memorial project for him, but Hwanam did not participate in that project. This is possibly because, unlike Muhak, Hwanam tried to protect the Buddhist community. Hwanam was enshrined as Guksa in 1383, and he stayed at Chungju Cheongnyongsa temple to publish Buddhist books of “Hobeoplon” to protect Buddhism, in contrast to other Buddhist monks of his time. After King Gongyang took the throne in 1391, Hwanam was re-enacted as a national historical figure, but when Lee Seonggye came to power, he participated in publishing the Yi Seonggye and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and posted a congratulatory message when Joseon Dynasty was founded. Following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Muhak was crowned king, but Hwanam’s name was engraved was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but it was only two months later. As such, Hwanam’s status in the Buddhist world was representative of the Buddhist community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