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트레스 대응전략 -정신역동적 접근-

        황익근,Hwang, Ik-Ke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5 정신신체의학 Vol.3 No.1

        The author introduced 12 session short term dynamic psychotherapy for the intervention of stress related disorders. An examplary case was introduced to suggest the clinal usefulness of time limitted short term dynamic psychotherapy for stress related disorders. It was suggested that the term "stress" should be limitted to certain natural and man-made catastrophies and disasters whose consequences rep quire a total reorganization of the person. Common defensive manuver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in the stress disorders were also reviewed.

      • SCOPUS
      • SCOPUSKCI등재
      • 한국인 주요 우울장애 환자에서 단가아민 산화효소 A 유전자 다형성

        오근영 ( Keun Young Oh ),정상근 ( Sang Keun Chung ),황익근 ( Ik Keun Hwang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4 全北醫大論文集 Vol.28 No.1

        Objectives: Genetic polymorphisms of Monoamine oxidase A (MAO-A) have been investigated in affective disorders. The results were controversial and even contradictory. In order to evaluate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MAO-A in Korean major depressive disorder, I investigated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ies of MAO-A in the patients group,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healthy control group. Method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lectrophoresis, MAO-A genotypes were identified in 42 major depressive disorders and 100 healthy controls. Results: When genotypes of MAO-A were classified as g/g, g/t, t/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etic polymorphisms of MAO-A seem to be unrelated to pathogene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 KCI등재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황익근,Chung, Sang-Keun,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1997 수면·정신생리 Vol.4 No.1

        연구목적 : 범불안 장애환자에서 스트레스작업에 의한 정신 생리적 반응양상이 건강대조군과의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고, 정신생리적 반응과 불안평가척도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범불안장애환자 23명과 건강군 23명을 대상으로, 기저기전 해밀턴 불안평가척도, 상태-특성불안검사, 기저기직전 스트레스작업직후 검사종료시 주관적 스트레스정도, 기저기와 휴식기 및 두 가지 스트레스작업(암산과 이야기작업) 동안의 정신생리적 측정치들(피부온도, 근전도, 맥박, 피부전도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근전도는 암산작업 직후 및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에, 맥박수준은 암산작업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기간에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피부온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반응, 근전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 모두,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작업 직후 회복 반응에서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 불안장애군내에서 스트레스작업시 피부전도반응만 놀람반응에 비해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3) 기저기전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의 피부전도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해밀턴 불안평가척도와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암산과 이야기 작업기간중,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중 피부전도반응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4) 근전도에서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피부전도반응에서 해밀턴 불안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암산작업시 놀람반응이, 이야기작업시 놀람반응이, 상태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놀람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다. Objectives: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rating scales and those patterns in patients were examine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D) and 23 healthy subjects were evaluat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RSA)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fore baseline stressful tasks.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were evaluated just before baseline period, immediately after stressful tasks, at the end of the entire procedure, and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electrodermal response(EDR) during baseline & rest and during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 (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1) 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G level during rest after stressful tasks and higher HR level during all period except TM compared to control group. 2) AD group showed lower change in the startle response(SR) of ST, in the SR &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during TM, and in the RR of EDR immediately after TM than control group. AD group showed that the RR of ED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R during stressful tasks. 3) We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RR of EDR after TT in AD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RSA score and the SRs of EDR during stressful tasks, and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SR of EDR during TT.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healthy subjects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 KCI등재

        소위 '홧병'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과 이야기작업에 의한 정신생리반응:심혈관계 반응

        정상근,신준호,황익근,Chung, Sang-Keun,Shin, Jun-Ho,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2

        목 적 : 저자들은 홧병 환자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와 관련된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의 특징적인 정신생리반응양상을 파악하였다. 방 법 :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소위 '홧병'으로 진단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노(Spiel-berger의 분노평가척도), 불안(상태특성불안척도, Hamilton 불안척도), 우울(Beck 우울 척도, Hamilton 우울 척도) 수준을 생리적 측정 전 평가하고, 홧병의 원인이 되는 분노유발사건을 조사하였다.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작업동안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SUDS)와 사건의 생생한 정도(VIVID)도 평가하였다. 스트레스 작업으로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작업 전의 기저기, 작업기간, 작업 후 휴식기동안 혈압과 맥박이 측정되었다. 심리적, 생리적 평가항목들에 대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분노유발사건 상상보다 이야기작업에서,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의 놀람(모두 p=.000) 및 회복반응(각각 p=.000, p=.017), 맥박(p=.000)의 놀람반응이 유의하게 더컸고, 분노유발사건의 생생한 정도(p=.000) 및 분노유발사건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p=.000)가 더 높았다. 즉, 홧병 환자는 분노유발사건을 상상하는 경우보다 이야기하는 경우에 자율신경계 기능이 유의하게 더 항진되고, 사건에 대한 생생한 정도 및 주관적 스트레스를 더 강하게 느꼈다. 결 론 : 상기 연구결과, 저자들은 홧병 환자들이 분노유발 사건에 대해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회상하고 분노표출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 반응의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cardiovascular respons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imagination and discussion of anger-provoked events in patients with hwa-byung. Methods: Forty-three female patients with hwa-byung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ust before the task.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SUDS) and Vividness of the event (VIVID) during the imagination and discussion of the event were evaluated immediately after tasks.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during baseline, rest, and task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Both startle and recovery responses of BP, startle response of HR, SUDS, and VIVID in discussion task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the imagination task.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it is undesirable for the patients to excessively and repeatedly recall and talk about the anger events.

      • 전환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 ( Sang Keun Chung ),최명수 ( Myung Soo Choi ),정애자 ( Ae Ja Jung ),황익근 ( Ik Keun Hwang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2 全北醫大論文集 Vol.26 No.1

        연구목적: 저자들은 전환장애환자들의 정신생리적 반응양상을 분석하여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DSM-IV진단기준상 전환장애로 진단된 환자 15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모두 불안상태를 평가 후, 정신생리적 변인들(수지온도, 전두근 근전도, 맥박, 전기피부저항)을 평가하였다. 정신생리적 변인들은 기저기, 스트레스작업(암산, 이야기 작업) 기간, 휴식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환장애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해밀턴 불안척도점수, 상태불안, 특성불안수준이 유익하게 더 높았다. 정신생리적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저기동안 근전도와 맥박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암산작업직후기간동안 모든 생리적 변인들의 놀람반응이 유의하게 더 적었다. 셋째, 암산과 이야기작업기간동안 수지온도를 제외한 근전도,맥박, 전기피부반응의 회복반응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또한 저자들은 전환장애환자에서 암산작업기간동안 심박동수의 회복반응과 불안수준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전환장애환자가 정상대조군보다 자율신경계 각성수준이 더 높고, ‘생리적 유연성’ 또는 ‘자율신경계의 유연성’이 감소되어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약물치료(bezodia-zepine계 등), 정신치료(환기, 최면요법 등), 정신생리적 치료법(biofeedback 등)의 병행이 필요하다. Objective: We examined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in Korean female patiens with conversion disorder(CD). Methods: 15 female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20 healthy female subjects were evaluated b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ur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 (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and elctordermal response(EDR) during rest and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Results: CD group showed : 1)significantly higher EMG, HR level during baseline, 2)significantly lower in the startle response of all psychophysiologic measure during TM. 3)significantly lower change in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HR, and EDR during stressful tasks than control group (by t-test).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R during TM and state (r=551, p<.05)& trait(r=.549, p<.05) anxiety in CD group. Conclusion: Abov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normal control group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 KCI등재

        교통사고관련 환자에서 사건상상에 대한 정신생리반응

        정상근,최명수,황익근,Chung, Sang-Keun,Choi, Myong-Su,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목 적 : 교통사고경험은 환자에게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한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항진되어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교통사고와 관련된 환자중 교통사고에 대한 기억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의 정신생리반응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환자들중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교통사고 관련 환자들이었으며, 연구목적상 이들을 교통사고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환자군(12명, 연령 $41.42{\pm}9.10$세 ; 교육수준 $10.33{\pm}3.14$년)과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환자(12명, 연령 $44.08{\pm}9.83$세 ; 교육수준 $10.92{\pm}3.40$년)군으로 양분하였다. 심리적 평가항목으로서 불안, 우울 수준은 상태특성불안척도, Beck 우울 척도, Hamilton 불안 및 우울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리적 평가항목으로서 자율신경계의 정신생리반응을 측정하였는데, 맥박, 피부전도반응, 근전도 등은 J & J I-330모델을 이용하였고,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은 DINAMAP XL Monitor mode 9340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작업은 '대본이용 및 상상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게 그들이 실제로 경험했던 교통사고상황을 대본으로 작성된 것을 읽어주고 사고상황을 상상하도록 교육시켰다. 정신생리반응의 측정순서는 생리반응 측정전 약 15분간의 휴식후 '기저기간(3분)-대본낭독기간(30초)-교통사고상황의 상상(3분)-휴식기간(3분)'으로 하였다. 두 군사이의 스트레스작업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평가항목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정신생리반응중 피부전도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기억군의 기저기간과 상상기간, 휴식기간의 측정치가 비기억군에 비해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근전도는 휴식기의 측정치가 기억군이 비기억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28). 그러나, 다른 생리반응항목들은 두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상기 결과, 저자들은 교통사고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군에서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군보다 피부전도반응과 같은 일부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각성수준이 더 높은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통사고관련 환자의 치료시, 그들이 경험했던 교통사고의 반복적인 기억(재경험)을 최소화시키고, 일부 자율신경계반응의 각성수준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기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The experience of traffic accident is a kind of the psychosocial stressors to person. The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may show the psychophysiologic hyperarousal. So w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sychophysiologic respons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the memory of experienceing a traffic accident. Methods: Twenty-four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r memory of a traffic accident. In psychological assessment,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b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Hamilton Rating Scales For Anxiety and Depression. Heart rate, electrodermal response (EDR),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EMG) were measured by biofeedback system,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y automated vital sign monitor during baseline, task, and rest periods. We utilized script-driven imagery technique as a stressful task. The patients listened to the script describing their own traffic accident experience and were instructed to imagine the event during the task period. Statistically analytic data were obtained from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 data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memory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EDR than the none memory group, but showed higher tendency during baseline, imagery, and rest periods. The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MG than the none memory group during rest perio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psychophysiologic re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emory group had higher tendency in autonomic arousal level such as electrodermal response than the none memory group. We suggest that physicians need to minimize repetitive imagery of traffic accident (reexperience), and decrease the autonomic hyperarousal in the treatment of traffic accident-related patients.

      • KCI등재

        흡연의 정신의학적 고찰

        정상근(Sang-Keun Chung),황익근(Ik-Keun Hwang) 한국중독정신의학회 1997 중독정신의학 Vol.1 No.1

        Cigarette is not any more favorite food, and nicotine is one of addicting drugs. Despite of adverse health effects due to cigarette smoking, there are several factors(i.e. social, psychological, genetic, biological) that make smoking behavior initiate, maintain, relapse. Cigarette smoking is diagnosed and classified as ‘mental and behavioral disordrs due to use of tobacco’ and as ‘nicotine-related disorders’ in ICD-10, and as ‘nicotinerelated disorders’ in DSM-Ⅳ. The prevalence of smoking is higher in psychiatric patient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chronic relapsing illness. Because nicotine dependence is as complex in its components and determinants as other addictions, more comprehensive multicomponent treatments may be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of successful abstinence. Because of above background, we reviewed psychiatric aspects of references about cigarette smoking to established guideline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