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acial Nerve Paralysis with Brain Stem Cavernous Hemangioma in 1-month-old Infant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안면신경 마비는 7번 뇌신경의 기능장애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안면신경 마비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는 많지 않고 별다른 치료 없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뇌 안쪽의 병변이나 안면신경 핵 주변의 병변을 원인으로 증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진단과 치료가 초기에 이루어 지지 않으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우리는 이번 증례에서 좌측 눈이 감기지 않고 빠는 힘이 약해진 1개월 된 환자에게서 좌측 안면마비 증상을 발견하였고 영상 검사 후 뇌교의 해면 혈관종과 이와 동반된 급성 뇌출혈을 발견하였다. 이 환자는 증상이 발생한 나이가 어렸고, 산모의 주산기 문제 및 외상이나 감염의 병력이 없었다. 증상 발생 전 보챔과 삼킴장애가 있었다는 점, 빠는 힘이 약했다는 점이 전형적인 안면신경 마비 증상과 차이가 있었다. 매우 드물지만 안면신경 마비의 원인이 본 증례와 같이 치명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12개월 미만의 안면마비 환자들에게서는 추가적인 영상검사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Facial nerve paralysis is a disease caused by dysfunction of the seventh cranial nerve. It can be caused by numerous conditions, but in most cases there is no specific iden-tifiable cause of facial nerve paralysis and symptoms improve without treat ment. Moreover, when we encounter patients with both upper and lower facial paralysis, clinicians usually suspect peripheral type facial nerve paralysis. But, Facial nerve paralysis caused by a lesion of an intracranial or perifacial nerve nucleus may have accompanying neurological symptoms. In such cases, lack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could lead to permanent neurological damage or result in life threatening situations. We report a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with acute hemorrhage in a 1-month-old infant who came to our outpatient clinic presenting with left side facial paralysis.

      •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척수성 근위축 환자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목적: 척수성 근위축은 SMN1 유전자 기능이 소실되면서 운동 신경이 퇴행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SMN2 유전자는 SMN1 유전자와 구조가 상당히 비슷한 유전자인데, 그 복제수에 따라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SMN2 유전자 복제수에 따른 유전형과 표현형의 상관관계 및 임상적인 질병의 경과를 조사해 보았다. 방법: 서울대 어린이 병원에 방문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을 대상으로 SMN2 유전자 복제수와 중증도 지표들(생존 유무, 호흡 보조기 사용 유무, 독립 보행 유무)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60명의 환자들(남자 29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평균 추적관찰 시간은 3.5년(0.2년­16.7년)이었다. 한 명의 환자가 1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환자는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20명의 환자가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19명의 환자가(95.0%) 제 1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있었고 11명이(55.0%)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환자들 중 사망한 수는 4명 이었다. 37명의 환자가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36명은(97.3 %) 제 2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고 3명의(8.1%) 환자가 호흡기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7명의(45.9%) 환자가 보행 경험이 있었다. 2명의 환자가 4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제 1형, 제 3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다. 또한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보다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사망률 및 조기 호흡 보조기 사용률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시행된 첫 번째 SMN2 유전자 복제수 분석 이었다. 연구를 통해서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작을수록 더 심한 임상 경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 아형 내에서 보다 정확한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인자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Spinal muscular atrophy (SMA) is degenerative disease of motor neuron caused by loss of survival motor neuron (SMN )1 gene. SMN2 gene is highly homolo­gous to SMN1 and is known to influence disease severity according to its copy num­ber.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between the SMN2 copy number and the clinical course in spinal muscular atrophy patients. Methods: The correlation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severity (sub­type, ventilator support, mortality and independent walking) was analyzed. Results: The SMN2 copy number was analyzed in 60 SMA patients (male 29, female 31).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4.0 years (0.2 to 16.7). One patient had 1 SMN2 copy and was on ventilator support. In 20 patients who had 2 SMN2 copies, 19 (95.0%) were type I and 11 (55.0%) were on ventilator support. There were 4 mor­talities in these patients. In 37 patients who had 3 SMN2 copies, 36 (97.3%) were type II. The 3 patients (8.1%) were on ventilator support and 17 (45.9%) could walk independently. The two patients had 4 SMN2 copies, each patient was type I and III. Two SMN2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rlier ventilator dependence and higher mortality than three SMN2 copi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phenotype in Korean SMA patients. The lower SMN2 gene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vere clinical outcomes of SMA. However, additional biomarkers capable of predicting more detailed clinical outcomes within subtypes need to be further determined in an extended coh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