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인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황소진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said that the ultimate goal ta educate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is to bring them intergration. They not only have different progress levels, diverse behaviors, and imitating abilities, but they also are of sexual desires. Since growing number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have returned to their community nowadays, there has been a need for them to have had basic level of sex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r look for the right direction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who is capable of being trained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x education which is developed to improve their knowledge of sex and sexual attitudes.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organized to four groups of 38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who is capable of being trained in the CRC(ChunMa Rehabilitation Center) from 21 July to 23 December 1999. In order to see how effective the sex education program is,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s applied: that is to say, the same questionnaire was circula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the results are compared in respect of their knowledge of sex and sexual attitud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x education program carried out in this research is effective for adult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who are in a advanced level,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general knowledge of sex, the function of body parts, and sexual identity. 2. The effectivenes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their sexual attitudes could not be proved since the program was made up of short them lecture, discussion and role-play and was helpful in the knowledge of sex. 3. The sex education program is more effective for less handicapped people: It was more effective in the superior two group of which member is less handicapped among four groups. Therefore, not only does this research clarify detailed areas where the sex education is effective, but it also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evel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also is affirmative,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knowledge of sex, which suggests that the sex education program can help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s to have the affirmative knowledge of sex. Use of this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professionalization and upgrading of social work in Korea.

      •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의 구문표현능력 비교 : 설명담화를 중심으로

        황소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구문표현 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한국인 남성과 일본, 라오스, 몽골, 필리핀, 이란, 키르키즈스탄 등의 국적을 가진 외국인 여성이 결혼하여 이루어진 국제결혼가정에서 자란 아동으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2,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 12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아동에게 ‘피구, 축구, 숨바꼭질’의 게임을 제시한 후 그 중 한가지의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방법을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수집한 아동의 발화를 분석하여 구문표현 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각 집단별로 수집한 아동의 발화를 전사한 후 C-unit 총수와 C-unit 당 평균 낱말의 수(MLC-w), C-unit 당 절의 수와 종속절 수 및 종속절 유형별(관형절, 부사절, 명사절) 사용률을 산출하여 구문복잡성을 측정하였으며 각 항목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C-unit당 구문 오류율과 오류 유형별 빈도를 산출한 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문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이 산출한 C-unit 총수와 C-unit 당 평균 낱말 수 (MLC-w)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에 따른 C-unit 당 절의 수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unit 당 종속절 수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을 분석 한 결과 C-unit 당 명사절과 관형절 사용률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사절 사용률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와 연령의 차이는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 3-6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구문적 능력을 분석한 결과 단문과 복문의 수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집단에 따른 C-unit 당 구문 오류율을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류 유형에서 다문화가정아동의 오류 수는 총 14개, 일반가정아동의 오류 수는 총 8개로 다문화가정아동의 오류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구문복잡성 측정 결과 총 C-unit 수와 C-unit 당 평균 낱말 수 (MLC-w), 구문오류율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속절의 수와 종속절 유형 중 부사절 사용률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학령기 이후에도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구문표현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평가와 중재가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령기 이후 구문표현 능력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OVID-19와 관련된 중환자실 간호사의 우울,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소진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황소진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해 본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우울과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소진 정도 사정하고,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분석하여 회복탄력성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 및 재직 의도 증가를 통해 유능한 간호 인력을 확보하고 간호 서비스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H대학 산하 2곳의 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서 교대 근무경력과 COVID-19 환자를 간호해 본 경험이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8월 12일부터 2022년 9월 12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9.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와 관련된 우울은 60점 만점 중 평균 15.50(±9.02)점이었고,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 중 평균 2.52(±0.73)점, 수면의 질은 21점 만점 중 평균 5.29(±2.56)점, 소진은 7점 만점 중 평균 2.78(±0.80)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 중 평균 2.27(±0.56)점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정도는 성별(t=2.053, p=.042), 종교(t=2.596, p=.011), 최종학력(F=3.906, p=.023), 직급(t=2.347, p=.020), COVID-19 감염 환자 간호 교육 여부(t=2.660,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정도는 우울(r=-.352, p<.001), 소진(r=-.51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r=-.113, p=.200)와 수면의 질(r=-.165, p=.062)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β=-.497, p<.001)과 직급(β=-.163, p=.031)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소진 요인을 파악하여 회복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교육, 힐링을 위한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to secure competent nursing personnel and improve nursing service quality by assessing depression, job stress, sleep quality, burnout, and improving resilie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2, 2022 to September 12, 2022, for 131 intensive care nurses with shift work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nursing COVID-19 patients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s of two general hospitals under H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9.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OVID-19-related depression averaged 15.50 (±9.02) out of 60, job stress averaged 2.52(±0.73) out of 5, sleep quality averaged 5.29(±2.56) out of 21, burnout averaged 2.78(±0.80) out of 7, and resilience averaged 2.27(±0.56) out of 5. The degree of resil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s gender (t=2.053, p=.042), religion(t=2.596, p=.011), final academic background (F=3.906, p=.023), rank(t=2.347, p=.02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rsing education(t=2.660, p=.009) of COVID-19 infected patients. The degree of resilience of the subj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r=-.352, p<.001) and burnout(r=-.510,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r=-.113, p=.200) and sleep quality(r=-.165, p=.062). The factor influencing the subject's resilience is burnout(β=-.497, p<.001) and rank(β=-.163, p=.03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apacity-building education and heal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dentify the exhaustion factors of intensive care nurses nursing COVID-19 patients and improve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