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재생계획의 색채디자인 특성 분석 - 광주시 서하리 마을을 대상으로 -

        황상윤(Sangyun Hwang),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최초의 국내 도시 재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거주환경과 경관의 향상에 기여해 왔지만, 지역적 특성을 배제한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인해 정체성 저하로 이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지역 재생과 관련된 색채계획은 가로 방향 및 배색 제시 정도에 그치고 획일화된 경관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개성적인 도시 재생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의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시 서하리 마을을 대상으로 경관 환경 분석과 기본구상에 기반한 색채계획을 실시하여 다른 지역의 자연 및 역사문화를 고려한 지역 경관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서하리의 지형과 경관 환경 분석 및 지역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대해 정리하고 마을 주민 대상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색채계획을 제시하여 실제 공간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마을 주민들은 서하리의 대표 이미지로 친환경 도시(45%)를 연상하였고, 마을의 경관 이미지가 뛰어나며(50%) 그 중에서 자연경관(75%)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을의 지향성으로는 역사문화도시(49%)로의 발전을 희망하여 서하리 마을 재생 디자인의 과정에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 자원의 고려가 우선되어야 하는 점이 파악되었다. 이후 주변 환경에 측색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인공적이고 주변 경관과 조화롭지 못했던 경관색채를 중명도 저채도의 안정된 색채의 사용과 자연 재료를 이용한 변화로 풍토색과 조화된 색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개성적인 경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정비가 요구된다.

      • KCI등재

        Grayness 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에서의 내러티브 디자인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사인을 중심으로 -

        황상윤 ( Hwang Sangyun ),배용진 ( Bae Yong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공공공간은 개념적 확장이 발생하고 있다. 정보 전달이 주목적인 대표적 공공공간으로서 박물관은 관람자가 사인을 쉽게 이해하고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공적인 공간이다. 이에 따라 박물관의 공간기획은 내러티브 개념을 도입하여 전시 콘텐츠와 유기적 상보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에서는 전달 매체에 대한 효과 검증의 객관성과 효율적 개념전달을 위한 실현단계에서의 분석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공공공간 내 시각매체는 정보 전달 과정에서 색채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저채도·무채색의 사용으로 인지적 저하가 발생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박물관인 국립중앙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공시설물인 사인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정보 전달력 향상에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디자인의 구조 분석 및 색채 Grayness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여 공공공간 내러티브 구조의 객관적 검증 가능성을 발견한다. 국립중앙박물관 3층 선사·고대관 및 중·근세관의 상설전시공간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구조 및 사인 특성을 조사한다. 이후 사인 색채의 채도 특성과 Grayness를 분석하여 내러티브 구조와 사인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공공공간 내 바람직한 사인의 방향을 제언 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서 관람객의 정보 획득을 높이기 위해 내러티브 디자인 관점에서 대상 공간의 사인을 분석하여 Grayness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내러티브 디자인의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인의 Grayness의 평균값은 선사·고대관이 중·근세관에 비해 낮았으며, 플롯 간의 차이가 명확하고 시대별 대표색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공간 내 휴식공간은 인접한 전시실과 다른 고채도 색상을 사용하여 서사적 연속성이 낮았지만, 두 개의 대주제가 연결되는 플롯들은 공간상 분리되어 있지만 사인의 Grayness가 유사하여 인지적 차원에서 연속적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결론) 조사대상 공간은 플롯의 진행적·단속적 구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Grayness로 분석한 사인과 플롯의 위계 및 배열의 관계에서 선사·고대관은 서사적 연속성이 낮았으며, 중·근세관은 위계 구분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따라서 공공공간에서 초기 공간 설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플롯의 구성을 고려하여 공공시각매체를 연속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채도 정도를 조절하여 시인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조사 과정에서 시감측색에 따른 오차 발생의 한계가 존재한다. 향후 다층적인 내러티브 구조 분석을 위해 다양한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한 추가적인 내러티브 디자인의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As a representative public space with the main purpose of information delivery, museum is a public space that should be organized so that visitors can easily understand and access signatures. Accordingly, a museum's spatial planning introduces a narrative concept to form an organic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xhibition content. However, in related research, the objectivity of effectiveness verification on the delivery medium and analysis at the realization stage for efficient concept delivery are insufficient. Additionally,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 public spaces, but cognitive degradation occurs due to the use of low chroma and achroma. Therefore, this study objectively verifies characteristics of the autograph, which is a public facility,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to improv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narrative·narrative designs and identif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grayness to discover the objective verifiability of public space narrative structur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signature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n the permanent exhibition space of prehistoric·ancient and medieval·early modern history on the third flo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grayness of sign colors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endency of the sign based on which, the direction of desirable signs in the public space are suggested. (Results) To increase the acquisition of visitor’s information in public spaces, this study analyzed signage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design to extract grayness, which presented improvements in narrative design. The average value of signage grayness in prehistoric·ancient history was lower than that of medieval·early modern history. The differences between plots were clear, and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era were clearly evident. Furthermore, the rest areas had low narrative continuity using different high chromatic colors from the adjacent spaces, but plots with two main themes separated in space could be recognized continuously at a cognitive level due to similar grayness of signs. (Conclusions) The space had characteristics of a combination of ongoing·controlled composition of the plo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tures analyzed by grayness and hierarchy·arrangement of plots, prehistoric·ancient history exhibition had low epic continuity, and medieval·early modern history exhibition had difficulties in classifying hierarchy. Therefor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itial spatial design in public space and increase information transfer, the public visual media should be adjusted to increase visibility. During the investigation, there was a limitation of error due to visual inspection. In the future, supplementary research on additional narrative designs for various public facilities would be needed for multi-layered narrative structural analysis.

      • 가이드패스를 이용한 스몰오버랩 슬레드 평가법 개발

        이재현(Jaehyun Lee),최유훈(Yoohoon Choi),양두원(Doowon Yang),고민석(Minseok Koh),김기용(Giyoung Kim),황상윤(Sangyun Hwang),박남해(Namhae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0 No.11

        The vehicle’s lateral mo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to generate the dummy’s behavior during the IIHS small overlap crash event. In this respect, to accomplish sled tests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simulate the vehicle’s longitudinal and transverse motion simultaneously. This paper describes a new test method on a small overlap sled test by simulating the vehicle’s dynamic lateral motion. The lateral motion was generated by using guide path which includes vehicle’s analysed lateral movement information, and linear motion guides and rails that could be allowed to move to lateral direction of vehicle’s body for sled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