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균성 뇌막염에서 척추천자 시기에 따른 백혈구수와 분획의 변화

        황규근(Kyu Geun Hwang),정진아(Jin A Jung),조남철(Nam Cheol Chl)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2

        목적: 무균성 뇌막염에서는 수액중 백혈구의 중가는 세균성에 비해 적고 단핵구 우위의 증가를 나타내지만 병경과의 초기에는 때때로 과도한 백혈구수의 증가와 다핵구 우위를 보여 세균성 뇌막염과 감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무균성 뇌막염의 이환시기에 따른 수액과 말초혈액내 백혈구수와 분획을 조사하여 수액내 백혈구수의 변화와 다핵구에서 단핵구로의 이행시기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6년 6월부터 10월까지와 1997년 6월부터 10월까지의 enterovirus에 의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던 시기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입원하였던 환아중 뇌막염의 초기 주증상시기를 알 수 있었던 18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척추천자시기에 따라 4군으로 분류하여 수액내 총 백혈구수와 백혈구분획의 비율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말초혈액중의 다핵구 비율과 수액내 다핵구 비율의 연관성에 관해서도 조사하였다. 1군은 주증상 출현일로부터 12시간이내에 척추천자를 한 경우, 2군은 12시간에서 24시간 이내, 3군은 24시간에서 36시간이내, 4군은 36시간 이후에 뇌척수액을 채취한 경우로 하였다. 결과: 1) 대상환아중 성별비는 남녀 2.0:1이고, 연렬별로는 1-5세까지가 96명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2) 무균성 뇌막염의 초기 주증상으로는 발열(93.6%), 구토(88.4%), 두통(82.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복통, 설사를 보였으나 뇌막자극증상을 보인 예는 적었다. 3) 뇌척수액중의 백셜구수의 평균은 각군간에 유의한 차가 없어 모두 병의 급성기에 뇌척수액을 검사한 결과로 생각된다. 4) 뇌척수액중의 다핵구비율은 1군이 57.0±31.6%, 2군이 44.1±32.3%, 3군이 39.4±33.1%, 4군이 26.9±27.9%로 1군은 3군과 4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또한 다핵구우위였던 환아의 비율도 1군이 3군과 4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뇌척수액검사와 동시에 시행한 말초혈액검사에서도 호중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군이 76.5±15.7%로 가장 높았고, 1군과 2군은 3군과 4군에 비해 유의있게 높아(p<0.05), 24시간 이후는 발병 24시간 이내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백혈구중의 호중구 비율이 낮았다. 6) 뇌척수액중의 다핵구비율과 말초혈액중의 호중구비율간에는 r=0.62와 p<0.001로 강한 상관관계를 다타내었다. 결론: 무균성 뇌막염에서 뇌척수액내 벽혈구중다핵구 우위가 단핵구 우위로 이행하는 시기는 초기 증상발현 후 12시간에서 24시간 이후로 생각되며 척수액내 다핵구 비율과 말초혈액내 호중구 비율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r=0.62와 p<0.001)를 보여 말초혈액중의 호중구비율도 뇌척수소견과 함께 변화추이를 관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hanges of total leukocytes and leukocyte types in CSF and peripheral blood(PB) in the early course of aseptic meningitis.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nine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who were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t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6 to October 1997 were includ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12-hour intervals according to the time between the onset of illness and initial diagnostic lumbar puncture. We analyzed clinical pictures, total leukocytes and leukocyte types in CSF and peripheral blood(PB) in each group.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r total leukocyte counts in CSF between each group, and all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acute stage of illness. 2) The PMNL proportion of CSF leukocytes was 57.0±31.6% in group Ⅰ, 44.1±32.3% in group Ⅱ, 39.4±33.1% in group Ⅲ and 26.9±27.9% in group Ⅳ. The PMNL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than group Ⅲ and Ⅳ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it a predominance of PMNL was higher in group Ⅰ the group(Ⅲ and Ⅳ (p<0.05) 3) The proportion of neutrophils in PB was highest in group Ⅰ(76.5±15.7%) and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and(Ⅱ than group Ⅲ and Ⅳ(p<0.05). Conclusion: The change from a predominance of PMNL to a predominance of mononucler leulocytes was occurred 12-24 hours after onset, and there was s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neutrophils in CSF and PF.

      • KCI등재후보

        포르말린에 의한 동통자극이 흰쥐 뇌 신경세포의 c-F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황규근(Kyu Geun Hwang),신명동(Myeong Dong Shin),유기수(Ki Soo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1

        목 적 : 동통이 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고 체성 및 내장성 동통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상태이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동통자극을 준 후 흰쥐 뇌의 신경세포에서 발현하는 조기발현유전자 c-Fos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이용하여 동통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포르말린을 이용해 체성 및 내장성 동통을 유발시킨 다음 일정한 기간(30분, 1시간, 2시간, 6시간, 1일, 3일, 7일)이 경과한 후 뇌를 적출하여 뇌절편을 만들었다. 뇌절편으로 냉동 연속조직절편을 제작하여 효소조직화학적 방법으로 c-Fos 단백질의 출현여부를 확인하였다. Interaural 5.70-6.70 ㎜를 통과하는 관상 뇌절편의 연속조직표본에서 나타난 염색반응성을 토대로 특정부위(대상피질, 일차체성감각영역, 해마)를 관찰하였고, 단위면적 (0.2㎜²)당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를 계수하고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1) 체성 동통자극을 준 흰쥐 뇌의 대상피질, 일차체성감각영역 및 해마 부위 모두에서 c-Fos 면역양성반응을 일으킨 신경세포의 수가 동통유발 2시간이 경과 후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대부분 동통유발 후 7일에는 정상과 가깝게 회복되었다. 2) 내장성 동통자극을 준 경우도 세 부위 모두에서 면역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가 동통유발 1일 후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대부분 동통유발 후 7일에는 정상치과 가깝게 회복되었다. 3) 전 시기에 걸쳐 체성 동통군에서 내장성 동통군에서 보다 면역양성반응 신경세포의 수가 더 증가되었고 동통유발 2시간 후가 가장 심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위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체성 동통이 내장성 동통보다 뇌신경세포들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체성 동통이 내장성 동통보다 더 신속히 자극을 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c-Fos 단백질이 동통자극을 준 후 뇌의 특정부위에서 특이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는 동통의 기전을 연구하는 분야와 동통치료의 기초자료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effects of pain on brain is not well known. Also, differences between somatic and visceral pains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c-Fos protein after somatic and visceral pains were induced by formalin. Methods : Male rats(n=65) were underwent one of three procedures : (ⅰ) Control group, rats were left undisturbed in their cages; (ⅱ) Somatic pain group, rat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0.1 ㎖ of 10% formalin in the plantar surface of right hindpaw; (ⅲ) Visceral pain group, rats were administered with same amount of formalin, as described above, in the rectum. Rats were sacrificed at increasing times(30 minutes, 1 hour, 2 hours, 6 hours, 1 day, 3 days and 7 days) after noxious formalin stimuli to hindpaws and rectums. Rat brains were removed and sliced in rat brain matrix. Brain slices were coronal sectioned at interaural 5.70-6.70㎜. Serial sections were immunohistochemically reacted with polyclonal c-Fos antibody. The numbers of c-Fos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in cingulate cortex, primary somatosensory area, and hippocampus were examin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with Mann-Whitney U test. Results : 1) The numbers of c-For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in cingulate cortex, primary somatosensory area and hippocampus peaked at 2 hours after somatic pain stimuli and reached almost normal conditions at 7 days. 2) The numbers of c-Fos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in cingulate cortex, primary somatosensory area and hippocampus peaked at 1 day after visceral pain stimuli and reached almost normal conditions at 7 days. 3) The numbers of c-Fos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of somatic pain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visceral groups at all times and the difference of numbers peaked at 2 hours after pain stimuli. Conclusion : Reactions of somatic pain stimuli influenced more changable than visceral pain stimuli to brain. Conduction velocities of somatic pain were more faster than those of visceral pain. Higher numbers of c-Fos protein 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in specific regions. These results provide some basic knowledge in understanding the mechanism and control of pain.

      • KCI등재후보

        흰쥐 뇌의 냉동 손상 후 발현되는 중간세사단백

        노규태(Kyu Tae No),황규근(Kyu Geun Hwang),유기수(Ki Soo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7 No.1

        목 적:뇌의 외상은 직접적인 기계적 손상, 실질내출혈 및 거미막 밑 출혈, 혈액 뇌 장벽 파괴, 흥분독성, 그리고 허혈 등을 일으키는 종합적인 손상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새로운 냉동 손상법을 이용하여 흰쥐 뇌에 외상을 유발시킨 후 신경아교흉터형성에 관여하는 중간세사단백인 신경교 섬유산 단백(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비멘틴 및 네스틴의 발현 양상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방법:실험동물로는 생후 2개월(평균 300 g)된 웅성 흰쥐(Sprague-Dawley)를 사용하였다. 흰쥐를 3.5% chloral hydrate(1 mL/100 g)로 복강내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두피를 절개하여 머리뼈를 노출시킨 다음 정수리점과 시옷점 사이에서 머리뼈 절제를 시행하여 왼쪽 전두엽을 노출시킨 뒤 액체 질소로 미리 얼려 두었던 직경 3 mm 철막대로 1분간 전두엽을 냉동 손상시켰다. 실험군은 냉동손상 후 경과시간에 따라 6시간, 24시간, 4일, 7일 및 14일군으로 분류하였고, 정상군을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뇌 조직을 연속동결절편으로 제작한 다음 GFAP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인 mouse anti-rat GFAP 항체와 비멘틴에 대한 mouse anti-rat vimentin, 그리고 네스틴 중간세사단백에 대한 mouse anti-rat nestin항체를 각각 적용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GFAP, 비멘틴 및 네스틴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반응성 성상교 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6시간째에 출현하였다. GFAP 및 네스틴 양성반응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24시간째부터 증식을 시작하여 손상 후 4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손상 후 7일째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비멘틴 양성반응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24시간째부터 증식을 시작하여 손상 후 4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손상 후 14일째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반응성 성상교 세포는 냉동손상 후 4일째에 특징적인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위의 실험결과로 미루어보아 GFAP, 비멘틴 및 네스틴 양성반응세포들은 신경아교흉터를 형성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Traumatic brain injury is a multifaceted injury that involves direct mechanical damage, intraparenchymal and subarachnoid hemorrhage, breakdown of the blood-brain barrier, excitotoxicity, and ischemia. Even though much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acceptable mechanical informations were r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xpression pattern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s associated with gliotic scars in cerebral cortex of rats after cryoinjury. Methods:A total of 18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 g, 2 months old, were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s. To injure the brain, rats were anesthetized for surgery with 3.5% chloral hydrate(1 mL/100 g, intraperitoneally); the frontal bones were exposed by elevating the skin; and craniectomies were per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suture, midway between lambda and bregma. A cryoinjury was then created by applying a cold probe(3-mm-diameter steel rod chilled in liquid nitrogen) to the left frontal cortex(ipsilateral cortex) for 1 min. Rats were sacrificed at 1, 4, 7 and 14 days postsurgery(n=3, per time point), and three rats were sacrificed as normal controls. Serial brain cryosections were made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brain tissue sections were allowed to react with mouse anti-rat GFAP antibody(1:200), mouse anti-rat vimentin antibody(1: 200), and mouse anti-rat nestin antibody(1:200). Results:Reactive astrocytes expressing GFAP, vimentin and nesti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t 6 hours after cryoinjury. Proliferation of GFAP and nestin positive cells started at 1 day after cryoinjury, reached its maximum on day 4,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the 7th post-injured day. Proliferation of vimentin positive cells started at 1 day after cryoinjury, reached its maximum on day 4,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the 14th post-injured day.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changes in reactive astrocytes were seen at 4 days after cryoinjury. Conclusion: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FAP, vimentin and nestin positive cells attend in the formation of gliotic scars.

      • KCI등재후보

        흰쥐 뇌에 분포하는 MHC Class II 양성 면역반응 수지상세포의 연령에 따른 변화

        양필순(Pil Soon Yang),황규근(Kyu Geun Hwang),유기수(Ki Soo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항원제공세포인 MHC Class II 양성 면역반응성 수지상세포를 두개강내에 투여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수지상세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 뇌에서 수지상세포의 분포 상태 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른 세포수 및 형태의 변화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연령에 따른 세포수 및 형태학적인 변화를 구명할 목적으로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생후 1개월, 12개월, 및 24개월 된 흰쥐의 뇌를 적출하여 냉동 연속조직절편을 제작한 다음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뒤 MHC Class II 양성 면역반응성 수지상세포를 관찰하고 계수하였다. 결과: 1)MHC Class II 양성 면역반응 수지상세포는 맥락막총과 백색질에서 관찰되었다. 2)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수지상세포는 증가되었다. 3)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지상세포는 세포질돌기의 분지양상은 더욱 복잡해졌고, 일부 세포들은 군집을 이루었다. 결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맥락막총 및 백색질에 분포하는 수지상 세포들은 수적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세포질돌기도 복잡해져 면역반응성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추측된다. PURPOSE: Dendritic cells are antigen presenting cells(APC) that express class I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gene products on their surface. Recently, it was proved that dendritic cells activate antitumor immunity for intracranial germ cell tumo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ge-related changes of MHC class II-immunoreactive dendritic cells in the rat brain. METHODS: Male rats(Sprague-Dawley) were sacrificed at 1 month, 12 months and 24 months after birth. Brains were removed and sliced in rat brain matrix. Brain slices were cryosectioned coronally at interaural 5.70-6.70 mm. Brain tissue sections were immunohistochemically reacted with monoclonal MHC class II antibody. RESULTS: MHC class II-immunoreactive dendritic cells were observed in choroid plexuses and white matter(corpus callosum, cerebral peduncle and external capsule). The number of MHC class II-immunoreactive dendritic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with age. As age increases, shapes of MHC class II-immunoreactive dendritic cells became more complex and aggregated together. CONCLUSION: As age increases, MHC class II-immunoreactive dendritic cells in choroid plexuses and white matter of the brain became not only more complex in shape, but also increased in number to improve immunity.

      • KCI등재

        케톤생성 식이요법 후 급성신부전 및 단백열량부족증 소견을 보인 영아성 경축 1례

        김영명,김태홍,정진아,황규근,Kim, Young-Myoung,Kim, Tae-Hong,Jung, Jin-A,Hwang, Kyu-G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저자들은 영아성 경축 환아에서 케톤생성 식이요법 중 단백열량부족증(Kwashiorkor)을 포함한 중증의 탈수, 급성신부전과 흡인성 폐렴을 동반한 영아성 경축 1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여 케톤생성 식이요법시 참고를 하고자 한다. The ketogenic diet is a high-fat, low-protein, low-carbohydrate diet developed in the 1920s for the treatment of difficult-to-control seizures. Despite advances in both the pharmacotherapy and the surgery of epilepsy, many children continue to have difficult-to-control seizures. In this situation, a ketogenic diet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herapy.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associated adverse events in the ketogenic diet. We report a case of infantile spasm associated with acute renal failure, lipoid pneumonitis and kwashiorkor after ketogenic di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adverse event profile will allow the pediatric neurologist to have a true informed consent discussion with the care giver when considering initiation of the ketogenic diet.

      • KCI등재후보

        시상 출혈을 동반한 급성 괴사성 뇌증 1례

        박상수(Sang Soo Park),노규태(Kyu Tae Noh),최순섭(Sun Seob Choi),황규근(Kyu Geun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2 No.2

        저자들은 생후 6개월 환아에서 급성 호흡기 감염 후 급격하게 발생한 의식 장애와 경련 등의 신경학적 증상과 뇌자기공명영상으로 양측 시상, 뇌간, 뇌실 주위의 백직을 대칭적, 다발적으로 침범한 전형적인 급성 괴사상 뇌증을 진단하였고, steroid를 투여하여 입상 증상 및 뇌 병변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predominantly affects young children and infants living in Japan and Taiwan, and is characterised by acute encephalopathy with seizures and decreased level of consciousness. The Hallmark of the disease is diffuse and symmetrical CNS lesions of both thalami, brainstem tegmentum, cerebral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and cerebellar medula.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this disease, a disease entity established recently, is proposed by Masashi Mizuguchi et al in 1995. The aetiology is unknown but infectious or parainfectious process seems likely. The diagnosis can be made without difficulty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a typical clinical figures and characteristic radiologic findings. There is no specific therapy or prevention. The prognosis was poor in the 1980s but has improved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6-month-old female infant with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and a thalamic hemorrhag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쥐의 뇌손상 후 출현하는 항원제공세포에 관한 연구

        홍수영(Su Young Hong),유기수(Ki Soo Yoo),황규근(Kyu Geun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1

        목 적 : 외상성 뇌손상은 직접적인 기계적 손상, 실질내출혈 및 거미막하출혈, 혈액뇌장벽 파괴, 흥분독성, 그리고 허혈 등을 일으키는 종합적인 손상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뇌 외상 후 면역세포들의 활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새로운 소작손상법을 이용하여 흰쥐 뇌에 외상을 유발시킨 후 항원제공세포의 출현 양상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로는 생후 2개월(평균 300 g)된 웅성 흰쥐(Sprague-Dawley)를 사용하였다. 흰쥐를 3.5% chloral hydrate(1 mL/100 g)로 복강내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두피를 절개하여 머리뼈를 노출시켰다. 정수리점과 시옷점 사이에서 머리뼈 절제를 시행하여 왼쪽 전두엽을 노출시킨 뒤 배터리 소작기를 이용하여 전두엽을 소작손상시켰다. 실험군은 소작손상 후 경과시간에 따라 6시간군, 1일군, 4일군, 7일군 및 14일군으로 분류하였고, 정상군을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뇌조직을 연속동결절편으로 제작한 다음 수상세포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인 mouse anti-rat MHC class II 항체와 대식세포에 대한 mouse anti-rat ED2항체를 각각 적용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어서 H-E 염색을 시행한 다음 검경 및 계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정상적인 전두엽 대뇌피질의 뇌실질에서는 관찰되지않았지만, 소작손상 후 7일째에는 소작손상 부위에서 정상대조군보다 28배 이상 증가하였다. 2)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는 정상적인 전두엽 대뇌피질의 뇌실질에서 관찰되지 않았지만, 소작손상 후 7일째에는 소작손상 부위에서 정상대조군보다 16배 이상 증가하였다. 3)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소작손상 후 4일 이전에는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보다 세포수가 적었으나 4일 이후에는 많았다. 4) 혈관주위나 손상부위 가장자리에서는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가 ED2 양성반응 대식세포보다 더 많았다. 5) MHC class II 양성반응 수상세포는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위와 같은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두 종류의 항원제공세포는 소작손상을 받으면 정상부위에서 손상부위로 이동하여 세포의존성 면역반응과 포식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raumatic brain injury is a multifaceted injury that involves direct mechanical damage, intraparenchymal and subarachnoid hemorrhage, breakdown of the bloodbrain barrier, excitotoxicity, and ischemia. Despite the dozens of previous investigations, the information about its pathogenic mechanism is still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ppearance of antigen presenting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of rats after cauterization. Methods : A total of 18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 g and 2 months old on the average were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frontal bones were exposed by elevating the skin and craniectomies were per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suture, midway between lambda and bregma. Cauterizing injury was then created by battery-operated small vessel cauterizers to the left frontal cortex. The rats were sacrificed on the 1st, 4th, 7th and 14th days after the surgery(n=3, each time), and three rats were sacrificed as normal controls. Serial brain cryosections were made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brain tissue sections were allowed to react with mouse anti-rat MHC class II antibody(1:500) and mouse anti-rat ED2 antibody(1:200). Also, brain tissues were routinely stained by H-E, and the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ell counts were performed. Results : 1)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absent in normal cerebral cortex parenchyme, but were found 28 times more in number in injured rats on the 7th day after cauterization. 2) ED2 positive macrophages were absent in normal cerebral cortex parenchyme, and were found 16 times more in number in injured rats on the 7th day after cauterization. 3) The number of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smaller in number than that of ED2 positive macrophages 6 hours and 1st day later after cauterization, but it was higher in number on the 4th, 7th and 14th days. 4) The number of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higher in number than that of ED2 positive macrophages around blood vessels and peripheral regions in the injured brain. 5) MHC class II positive dendritic cells were usually aggregated. Conclusion :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increase in number of two kinds of antigenpresenting cells affec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and phagocytosis.

      • KCI등재후보

        The Effect of Topiramate on Status Epilepticus-Induced Neurotoxicity in Immature Mouse Brain

        Sang Soo Park(박상수),Hae Rahn Bae(배혜란),Kyu Geun Hwang(황규근)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2

        목 적 : 미성숙 뇌는 경련에 대한 감수성, 경련의 특징 및 항간질약제의 반응성 등에서 성숙 뇌와 다르다. 출생 초기의 간질 경련과 항간질약제의 사용이 이 후 뇌 성숙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가 소아신경학 분야의 주요 관심사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성숙 쥐에서 간질중첩증을 유발시킨 후 신경세포의 손상 및 신경 흥분성 정도를 성숙 뇌와 비교하고 항간질약제인 topiramate가 신경세포 손상 및 뇌 성숙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14일된 미성숙 쥐에 kainate를 주입하여 간질중첩증을 유발시킨 뒤 실험군은 1주 혹은 1달 동안 topiramate를 투여한 뒤 뇌를 적출하여, 간질중첩증으로 인한 지속적인 신경흥분성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glutamate 및 GABA 수용체의 발현 차이로 관찰하였고, 신경세포 손상 유발 정도는 공촛점현미경을 이용하여 TUNEL 및 HE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미성숙 쥐에서 간질중첩증 유발 1개월 후 해마의 유의한 세포손상과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간질중첩증으로 인해 GluR2에 비해 GluR1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여 신경세포 흥분독성이 유발될 수 있는 Ca²+ 투과성 AMPA 수용체의 형성이 증가되었다. Topiramate 치료군에서는 간질중첩증으로 인해 유발된 GluR1의 발현 증가가 억제되었다. GABAB 수용체는 간질중첩증 1개월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GABAA 수용체의 발현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이는 topiramate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Topiramate 치료군에서는 간질중첩증으로 인해 유발된 해마 CA1 및 CA3 부위의 세포 손상과 구조적 변화가 감소됨으로써, topiramate는 미성숙 뇌에서 간질중첩증으로 인한 해마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opiramate는 미성숙 쥐의 GluR1와 GABAA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at status epilepticus (SE) induces longterm neuronal damages in an immature brain and to evaluate that topiramate (TPM) has a protective effect. Metho ds :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 subtype expression of glutamate and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receptors,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due to cell losses in the mouse pup hippocampus after SE using an immunoblot and confocal microscopy. Resu lts : SE induced significant cell losses with structural changes in the hippocampus 1 month later. SE up-regulated the glutamate receptor1 (GluR1) expression with an increased ratio of GluR1 to glutamate recptor2(GluR2), leading to the formation of Ca²+ permeable 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epropionic acid (AMPA) receptors for the enhanced neurotoxicity. TPM prevented the SE-induced GluR1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GABAA receptors was highly increased 1 month after SE, whereas that of GABAB receptors was not changed. The TPM treatment attenuated SE-induced upregulation of GABAA receptors. SE induced significant cell losses and disruption of structural integrity in the hippocampus CA1 and CA3 regions, but the TPM treatment for 1 month in developing brains reduced the SEinduced hippocampal damage. Conclusio n : TPM has a neuroprotective action, which might be mediated by the modulation of GluR1 and GABAA receptors.

      • KCI등재후보

        만성 반복성 두통 환아에서 간질양 뇌파 소견에 대한 연구

        배윤진(Yun Jin Bae),최진성(Jin Sung Choi),황규근(Kyu Geun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만성 두통 환자에서 뇌파 검사상 일반인에 비해 간질양 이상 뇌파의 출현율은 높지만, 이에 대한 조사는 적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두통시 동반되는 간질양 이상파에 대한 출현 양상과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9년 1월 1일부터 2005년 7월 1일까지 만 6년 6개월간 1개월 이상의 비진행성, 반복성 두통을 주소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였던 환아 449례 중 뇌파검사를 시행하였던 336례 중 간질양 이상파를 보였던 3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도 국제두통학회의 분류에 의해 두통을 분류하였으며, 뇌파 검사는 두통 간헐기에 시행하였고, 안정 각성시, 수면, 광자극 및 과호흡 유발을 포함하여 검사하였다. 만성 두통형에 따른 간질양 이상파의 출현율, 간질양 이상파의 출현부위, 출현빈도, 이상파의 파형, MRI 소견 및 간질 동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 과: 만성 두통시 간질양 이상 뇌파의 출현빈도 10.7%로 정상인의 빈도에 비해 높았다. 간질양 이상 뇌파의 출현 부위는 국소성(9.2%)이 전반성(1.5)%에 비해 많았다. 두통의 병형별로 간질양 이상 뇌파의 출현 빈도는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 국소 뇌파 이상은 중심 측두부(61.1%)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간질양 이상파의 출현 양식은 빈번한 출현이 63.9%로 다른 출현 양식에 비해 많았으며 간질양 이상파의 파형은 국소 극파형(83.3)%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간질양 이상파를 보인 환아 36례 중 2례(5.6%)에서 추적 검사상 간질을 나타내었다. 간질양 이상파를 보인 소아 36례 중 2례(5.6%)에서 MRI검사에서 이상 소견(AV malformation)을 보였다. 결 론 : 만성 두통시 나타나는 간질양 이상파는 주로 중심 측두부에 국소성의 산발성 극파 양상의 양성의 형태를 나타내나 극히 일부에서 간질이나 뇌이상이 동반 될 수 있기 때문에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the meaning of epileptiform discharges accompanied by chronic recurrent headaches. Methods : We selected 449 cases of children who visited Dong-A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recurrent headaches from January 1999 to July 2005. The headaches were classified by the criteria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Headache Research Committee in 2004. The electroencephalography was performed in 336 cases and 36 cases who showed epileptiform discharges were selected.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epileptiform discharges, MRI findings and the relationship with epilepsy. Results : The incidence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ILED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headaches was 10.7%,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a normal population. In the location of ILEDs, focal areas(9.2%) were more common than general areas(1.5%). The incidence of the ILED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headaches(P<0.01). The focal ILEDs were concentrated at the central temporal areas. The most common type of ILEDs was frequent epileptiform discharges(63.9%). For the wave forms of ILEDs, focal spike activities were 83.3%, and bursts of slow waves mixed with spikes were 13.9%. Among the 36 cases that showed the ILEDs, 2 cases were associated with epilepsy and another 2 with AV malformation on the MRI images. Concl usi on : The ILED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recurrent headaches mainly occurred in the central temporal areas as focal spike wave forms, which shows a benign course. Because a few cases can accompany epilepsy and brain abnormalities, close observation and follow-up test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Effect of Gestational Exposure to Bisphenol A on Neuronal Stem Cell Differentiation in the Neonatal Rat Hippocampus

        왕승문(Sheng Wen Wang),김종민(Jong-Min Kim),황규근(Kyu Geun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3

        목적 : 신생아기의 뇌신경세포 발생은 일련의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및 분화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시기는 평생의 뇌기능을 결정하게 함으로 뇌의 성장 및 발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임신기 태아 발생과정 중 물리화학적 환경의 영향은 정상적인 뇌 발생에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알려진 비스페놀 A (BPA)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며, 생체 노출시 여러가지 악영향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BPA가 임신 중인 흰쥐모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신생 흰쥐의 뇌신경세포의 발생과정 중 해마의 뇌신경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상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BPA를 임신기 휜쥐 모체에 노출 후, 생후3, 7 및 14일째에 각각 신생 흰쥐의 뇌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 및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 대조군의 경우, PCNA 면역염색 결과, 생후 3일째와 7일째 해마조직에서는 활발한 세포증식 현상이 관찰되었고, 생후 14일째에는 세포증식도가 낮고 형태학적으로 핵이 크고 세포질이 뚜렷한 세포가 관찰되었다. Nestin은 생후 7일째의 해마조직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고, 생후 14일째에서는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GFAP 면역반응 양성을 나타내는 별아교세포는 생후 7일째부터 관찰되었다. 그러나 BPA에 노출된 해마조직의 경우에서는, 1) PCNA-양성을 나타내는 증식세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많았고, 2) nestin-양성세포가 생후 3일째에 일찍 발현하였다가 7일째에는 소멸되었으며, 3) GFAP-양성세포가 생후 3, 7, 14일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수적으로 많았다. 뇌조직 내nestin 단백질의 양적변화를 Western blot법으로 분석한 결과, BPA 노출군은 대조군에 비해 nestin 단백량의 유의한 증가가 생후 3일째에 확인되었으나, 오히려 7일째에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론 :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BPA에의 노출은 출생후 소아뇌 해마조직 내 신경세포의 조기분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분자생화학 수준의 추가적인 신경학 연구 및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Neurogenesis in neonatal period after birth occurs consequently through a series of neuronal stem/progenitor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is stage is critical for determining of normal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the brain throughout the life. Therefore, exposure to a certain physical or chemical factor(s) during pregnancy can result in serious damage in the developing brain. Bisphenol A (BPA), a plasticizer, is generally known as an endocrine disruptor exhibiting adverse effects when exposed to animal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neuronal stem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during neonatal brain development in BPA-exposed pregnant rats. Methods : After exposure of BPA to pregnant rats, infant brains were excised at days 3, 7, and 14 after birth, and tissues were processed for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Results :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immunostaining showed thatwhereas cells in the hippocampus at days 3 and 7 after birth were highly proliferating, the cells at day 14 divided less ofte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nestin in the control group revealed that nestin-positive cells were only observed at day 3 after birth, but the immunoreactivity was not observed at day 14. In additio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from days 7 to 14 in control tissues. However, in the BPA-exposed groups, 1) the number of PCNApositive cells in the BPA-exposed groups at days 3 and 7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2) nestin-positive cells were observed at day 3 which is earlier than that of control, and 3) GFAP-positive cells were detected in the hippocampus tissue from day 3. Furthermore,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exposure to BPA in pregnant rats resulted in earlier expression of nestin in the neuronal rat brain compared to the controls. Conclusion : Taken together, it is assumed that precocious neurogenesis in the infant rat hippocampus might be due to BPA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al period. Further studies on adult brain perinatally exposed to BPA are needed to evaluate the pathological status of the hippocam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