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의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홍후조(Hoo-Jo H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는 다교과 분산이수를 개선해 소교과 집중이수를 겨냥하여 수업, 학습, 과제, 시험에서 개선을 가져오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집중이수는 어느 학교급에서, 어떤 교과목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언명 없이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묻혀서, 학교별로 매년 다른 불안정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해당 교과목은 공통필수가 아니라 선택교과목으로 지위가 격하되었으며, 학교의 시행착오와 혼란이 예측된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라는 이름으로 맡겨두어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보다, 오히려 해당 학교급, 해당 교과목, 교과목들의 조합, 개선 순서와 시기 등을 분명하게 정해주어서 집중이수의 도입을 통해 본래 기대했던 교육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낫다는 입장에서 옹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이수를 해야 할 학교급은 중학교이며, 도덕, 음악, 미술, 기술ㆍ가정, 선택과목을 그 대상으로 하되, 기술ㆍ가정은 6학기에 걸쳐 이수하던 것을 4학기에, 나머지는 2개 학기에, 선택과목은 각각 1개 학기에 이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개설 조합은 음악-미술-선택과, 도덕-기술ㆍ가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 후속조치로써 필요한 교원 수급 조정, 담임교사 배정, 교과서 제작, 가르치지 않는 학년과 학기에 대한 대책, 고입 연합고사 개편 등을 다루었다.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learning, and tests throughout the introduction of condensed courses rather than scattered on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laborated standards of the level of schools and subjects, in the name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schools suffered from numerous trial and errors, confusion, and a waste of time. Because of the fact that each school was likely to change its curriculum every year, some of the required target subjects were appointed to become elective courses.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curriculum will improve with taking follow-up measures consisting of clear-cut directions about school levels, target subjects,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erial order of offering courses etc. The condensed lesson plan in this paper focuses on middle school subjects such as moral education, music, fine arts, vocational technology and other electives. Offering a combination of music-art-electives and moral education-vocational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mong the subjects, vocational technology which is originally earmarked for six semesters would be better completed in four semesters. Other subjects should be taught in two semesters and the elective studies are recommended to be finished in one. In addition, the necessary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the prediction of the demanded classroom teachers, altered time schedule, text book editing and the reformation of the high-school entrance exam were discussed.

      • 입학사정관제도의 2007년 시범대학 운영 현황과 성과분석

        홍후조 ( Hoo Jo Hong ),김정희 ( Jung Hee Kim ) 한국고등교육정책학회 (구 한국고등교육학회) 2009 高等敎育硏究 Vol.16 No.1

        이 연구는 2007년도 10개 대학에서 시범적으로 도입·운영한 입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입학사정관제도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는 바, 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소질과 적성, 능력과 장애, 진로를 만족시키는 입시제도여야 할 것이다. 학생이 적성과 진로에 따라 공부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어야할 것이다. 둘째, 입학사정관제는 성적과 대학이 아니라 적성과 모집단위(진로)에 따라 대학입시가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입학사정관의 중요한 역할은 국가·사회적으로 모집단위별로 최소한의 공통성을 갖는 타당한 대학입시, 대학별 특성과 모집단위별특성을 가미한 타당한 대입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수험생이나 학부모 입장에서는 고교 학업과 생활 그 자체로 대입을 준비하여야 하고, 대학입시 준비에 별도로 필요한 시간, 노력, 비용이 가급적 적게 들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d and presente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has been demonstrably introduced and operated by ten pilot universities in 20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the implications that are necessary to grope for the revitalization plan of the futur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se ar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fulfill the each single student`s various nature, aptitude, improvement, ability, academic course and career plan. It should lead the student to study after one`s academic aptitude and career plan. Moreove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ught to contribute to accomplish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fter aptitude and recruitment units not after the grades of the student and the status of the university. The important role of admission officer system is to develop a vali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hich has a minimum commonness of recruitment units nationally, individual college traits, proper students of the certain department. and let students take the reasonable course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aptitude and future plans. At last, in the student and parents` aspec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hould be simply prepared by schoolwork and high school life. Also, there should be less extra time, less extra effort, less extra money spent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reparation. Especially, there is a risk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an provoke private education to become individualized, synthesized, prolonged and more expensive. Besides, private education has a high possibility to nurture chronically passive, dependent learners. Consequently, to prevent these drawback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dmission officers should contribute to settle a system and culture that allows students to get admitted to a better university if they have a superior capability of self-directed-learning and receive less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서 학년군, 교과군 개념의 교육과정적 의의 분석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도입된 학년군과 교과군에 관한 시론적 연구이다. 선행연구가 없는 관계로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도입의 필요성, 취지와 목적, 장단점,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학년군과 교과군의 장단점을 교육목표, 교육과정, 수업, 교육평가, 교육제도와 환경, 교사와 학생의 참여와 역할 측면에서 검토해보았다. 학년군과 교과군은 다분히 집중이수를 위한 방편으로 도입되었으나, 외국의 경우를 보면 학년군은 일정한 시기와 단계의 교육의 중점을 표현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이 두 개념은 교육과정 설계의 종횡을 교직하는 두 축으로써, 장차 단계별 교육 중점의 설정과 교과의 정비를 위한 잠재적 효용이 높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ddresses grades and subjects cluster which were first introduced into the 2009 reform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ecedented research concerning these two themes were not found in Korea. Research were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problems, strength and weakness, improvement and consequent way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grades and subjects cluster. Grades and subjects cluster has some potentiality in improving the attain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frameworks, textbook publishing, tests and evaluation, teacher supply and placement, student grouping and accommodation, changed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system, and cultural environment of school. Grades cluster tied together plural grades was introduc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educational focus of each grades, students-teacher pair for several sequential years, focused course-taking, non-graded system especially for the high school, etc. And subjects cluster tied together plural subject matters was install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a focused course-taking particularly in the secondary schools. Grades cluster and grades cluster get together compose the two axles of school curriculu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wo concepts have prosperous potentiality in improving the Korean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백혜조 ( Hei Jo Baik ),민부자 ( Bu Ja Min ),변자정 ( Ja Jung Byun ),조호제 ( Ho Je Cho ),하화주 ( Hwa Ju Ha ),장소영 ( So Young Jang ),이혜정 ( Hye J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교육에서 학부모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150개 지역에서 4천여 개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복, 혼란, 낙차, 비약, 학교급 요구나 수요자 요구를 무시한 제공자 위주 등의 문제를 낳고 있어 일정한 기준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목적은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 학부모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구체적인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데 바탕이 되는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을 개발·제공하는데 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주체는 연구진, 협의진, 현장의견진, 심의진이었고, 연구진이 협의진, 현장의견진의 의견을 들어 다듬은 학부모교육과정 기준은 초안, 시안, 심의안의 단계를 거쳐 심의진의 심의 후 최종안으로 확정되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그 성격·목표·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본토대(platforms),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바탕이 되는 내용의 구성체제 및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진 구성 틀(frameworks), 그리고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데 필요한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한 실행지침(guidelines)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누가(연구진-협의진-현장의견진-심의진), 어떤 합리적이고 타당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무엇을(학부모교육과정기준의 초안-시안-심의안-최종안) 개발하였는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 과정과 결과를 반성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r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establish curriculum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parent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tire process of “who” (R&D committee, consulting group, lay group, approval council) and “how” the curriculum standards should developed adequately (draft-proposal version-approval version), based on reflective notes. We presided over the principal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by educational researchers, a consulting group and a lay group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a curriculum standards approval council. The researchers gathered preliminary opinions from the consulting and lay groups. These standards were then compiled a written draft, which was then revised as a proposal version and finally as an approval version. The finalization, through deliberation and examination, of the approval version referred to the approval council concretized the fi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tudents` parents. The curriculum standards were composed of three designated parts: platforms for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ontent frameworks for achieving the stated purpos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arrying out the first two parts.

      • KCI등재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임유나 ( Yoo Na Lim ),장소영 ( So Young Ja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2

        자유학기제는 박근혜정부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교육 정상화 추진”을 위한 첫 번째 주요 정책과제이다. 자유학기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까지 전면 도입될 계획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나 대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도입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 연구자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해 다각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자유학기제 도입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찬성의 의견이 많았으나, 실시 대상과 시기, 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집단마다 서로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시기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안에 대해서는 숙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 실시와 관계되는 각 집단은 실시 준비나 여건이 매우 미흡하다고 보았으며, 기초 연구, 이해 및 인프라 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실시 목적, 교육 내용, 대상, 시기, 운영 주체, 운영 방법, 기타 지원 사항의 측면에서 대안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자유학기제가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계적·점진적으로 시행해나가는 종합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특히 자유학기제 실시 이후 진로가 어느 정도 분명해지는 학생들에게 진로를 개척할 진로별 학습기회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s the first major policy of Park, Geun-hye government for “the propulsion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dream and talent”. Loose or slacken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s scheduled to be adopted after 2016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concrete measures or operational plan thereof have not been prepared yet. This research sympathizes with the necessity of adopting slacken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and has diversely investigated analyzed the opinions of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about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through a survey.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re were lots of consenting opinions about adopting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on the whole, however the opinions regarding the target for the implementation, timing, and operating body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refore the policy plan to apply it to all students at the same time is considered to need deliberation. Also, each group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considered the preparation or condition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to be very insufficient, and the worry about the lack of basic research, understanding and infrastructure was expressed high. Here, this research suggested alternatives variously in the aspect of the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target group, timing, operating body,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other support points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comprehensive plan of phased gradual implementation for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to make educational effect on more students, especially, it also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learning opportunity for career for those students whose hoped career becomes somewhat clear after the experience of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in order to keep developing their career.

      • KCI등재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중앙집권적 국가교육과정기준을 가진 나라에서는 그것이 전국의 교육 내용?활동?경험 제공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엇으로 채우고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국가교육과정 기준은 그것이 담을 내용과 그 내용을 빚어내는 개정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현행 교육과정의 개정 방식을 다룬 것이다.<BR>  개정은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개정 범위는 전면개정과 부분수정, 개정 방식은 동시개정과 순차개정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동시개정 방식을 폐기하고 순차개정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 개선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관련 법규 미비 해소를 통한 각 주체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규정할 필요, 세계화시대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할 재정립, 교육과정 총론에 의한 교과 교육과정 종합 비교 장치(도구/단계) 도입 등을 논하였다. 이들 네 가지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의 크고 작은 변화를 통한 질 개선을 함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긴요한 일들이다.   How to make a nation"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NCS) including its basic framework and content is very critical in the nation which has a 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because it makes an every effect on educational objectives, textbook content, instructio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all over the whole country. Almost all educational contents, activities and experiences come from and are based on the NCS.<BR>  This paper deals with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NCS improvement under the changed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Korean NCS has overly regulated and controlled local and school curricula without leaving any room for their autonomy, however paid little attention on national and global educational problems and issues such as economic competitions among global markets, global understanding and transaction, cultural conflicts among civilizations, etc.<BR>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SC has heavily relied on the total and simultaneous revision of all elements and phases of the curriculum in every revision projects, which brought forth irrational framework, principles and guidelines. This paper discussed on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s about curriculum revision and moderation and management of subject-matter curricula by the General Guidelines.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자기주도학습과 인성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후조(Hong Hoo-Jo),백혜조(Baik Hei-Jo),고영희(Ko Young-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자기주도학습과 인성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현재 학교교육의 심각한 문제인 ‘학력 과잉경쟁과 사교육’, ‘학교폭력’, ‘청소년의 왕따와 자살’을 줄일 수 있는 보다 나은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교육은 개인간 학력경쟁보다 공동체내 사회협동을 기조로, 교과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협동학습을, 생활교육에서 인성교육과 함께 사회성교육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of better school education to decrease current issues such as ‘excessive competitions due to college entrance exam,’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 outcast and suicide” by reviewing the sid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ersonal character education that school education focuses 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direction that school education requires social cooperation other than academic competition among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other than self-directed learning, and social education o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헌법 제31조 1항의 비판과 개정 방향

        홍후조 ( Hoo Jo Hong ),권혜정 ( Hye Jeong Kwon )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2

        추상성, 하위법 제정 및 해석 근거, 사회 각 분야의 기본 방향 지시성을 가진 헌법의 교육관련 조항인 제31조는 국가의 교육 이념, 방향, 제도, 실시, 과정, 결과의 평가 및 개선 등에서 가장 근본적인 교육가치관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의무교육, 대학교육, 평생교육에 대한 언명은 있지만, 취학전 교육과 진로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고교교육에 대한 언명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는 형용모순으로서 의무교육도 그 이상의 교육도 제대로 지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교육관련 하위법의 분석, 교육의 이념과 목적, 각종 교육제도의 기능, 학습자의 발달단계, 배우는 교육과정의 특성, 사회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헌법 제31조 1항은 초·중학교의무교육에 대해 “모든 국민은 어떠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초·기본교육을 의무·무상으로 균등하게 받을 권리를 가진다.”로, 고교 이후 진로교육에 대해서는 3항 이후 추가 조항으로 “모든 국민은 각 사람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알맞게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제안하였다.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Article 31 in connection with education-related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contains basic interpretation and rational abstraction about sub-laws, society, direction, system, implementation, course,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in each field. Is this Article 31, there are compulsory education, university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But there are lacked of course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pre-school education. Everyone has the right to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n this section 1, the biggest problem according to the education is rised to ranks, when students are educated by ability, Students` abilities can not be guaranteed in high school and college. Compulsory, gratuitous, common, and basic education require appropriate changes to that section. And then we focus on high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study that is required from different direction of course in a different education. Now it is lacked the course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in Constitution. Basic and fundamental education is the right to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in everyone. And deepening, spe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educated with the modest standards. In this study, there are based on analysis of education from sub-laws, purpose and philosophy of education, functions of various education systems, developmental stage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s, and needs of society.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All citizen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have the right equally to compulsory and gratuitous education. And then, the additional terms and conditions of Section 3 or later should be recommended, Everyone has the right to education as appropriate standards according to their courses and vocational ap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